만약 인간이 화성에 도착한다면, 화성에 거주하는 동안 머물 곳은 어떤 형태여야 할까?
화성에 오랜 시간을 걸려 방문했기 때문에 단 며칠이나 몇 시간 머물고 돌아올 수는 없다. 화성이 지구에서 아주 멀기 때문에 지금도 우주상공에 떠 있는 국제우주기지(ISS International Space Station)처럼 지을 수도 없다.
에스키모 이글루 같은 ‘둥근 얼음집’ 제안
화성탐사에 대한 국제적인 관심인 높아지는 것에 맞춰서, 우주과학자들은 슬슬 인간이 화성에서 ‘머물 곳’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했다. 미국 우주항공국(NASA) 과학자들은 ‘화성집’의 기본 개념도를 ‘얼음으로 뒤덮힌 집’으로 정의하고 정식 이름을 ‘화성얼음집’(Mars Ice Home)으로 발표했다.
버지니아 주 햄프턴에 있는 랭글리 연구센터(Langley Research Center) 연구원들은 새해를 앞두고 가진 집중적인 토론을 거쳐 “최소한 수 주 이상 머물러야 하므로 집과 같은 개념이어야 한다”고 화성얼음집을 발표한 배경을 설명했다.
나사가 발표한 ‘화성얼음집’은 겉 모양은 에스키모인들이 거주하는 이글루(igloo)와 같이 둥근 돔 형 구조이다. 그리고 이글루처럼 외벽은 모두 두꺼운 얼음으로 채워질 것으로 예상했다.
과학자들은 “화성의 높은 온도를 견디고 우주에서 쏟아지는 우주선에서 인간을 보호하려면 두꺼운 얼음으로 된 얼음집이 가장 적합하다”고 나사 웹사이트에 올린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화성얼음집은 많은 장점이 있다. 풍선처럼 부풀려서 만들므로 일단 가볍다. 또 간단한 자동기계장치만 있으면 사람이 없어도 설치할 수 있다. 더욱 중요한 것은 많은 재료를 화성에서 직접 구해서 제작한다는 점이다.
화성얼음집의 주요한 목적은 우주선(cosmic rays)같이 높은 에너지에서 우주인을 보호하는 것이다. 우주선은 인간의 세포를 파괴해서 암 같은 질병을 유발한다.
얼음은 수소가 풍부하기 때문에 우주선을 막아주는 보호막 역할을 한다. 화성얼음집은 하늘에서 쏟아지는 우주선을 막기 위해 지붕쪽을 매우 두껍게 설계했다. 화성얼음집은 자외선 노출이나 입자노출 혹은 때로는 원자 산소에서 보호해야 한다. 영화 ‘마션’에 나온 것 같이 과장되지는 않았지만, 먼지폭풍에도 견뎌야 한다.
그리고 화성얼음집의 물은 필요할 경우 화성에서 귀환하는 비행체의 로켓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더구나 화성에 이미 있는 물을 이용하는 것이 얼음집 아이디어가 나온 배경 중 하나이다
화성에 있는 물, 이산화탄소 이용 가능
그렇다면 현재 구상중인 크기의 화성얼음집을 짓는데 필요한 물을 채우려면 얼마나 긴 시간이 필요할까. 과학자들은 화성 지하에 있는 물을 추출할 수 있는 양은 하루 1㎥로 추정한다. 이를 기준으로 보면 2명이 거주하는 화성얼음집에 들어갈 물의 양은 대략 400㎥정도이므로, 화성얼음집을 가득 채우려면 400일이 들어갈 것으로 과학자들은 추정했다. 물론 물 추출 기술이 더 발전하면 이 기간은 단축될 것이다.
화성얼음집에서 중요한 것은 다양한 일을 할 수 있는 실내 작업장이다. 얼음집 내부의 기온을 관리하려면 얼음과 거주 공간 사이를 분리하는 차폐막이 필요하다. 과학자들은 이산화탄소 가스로 차폐막을 구성할 것으로 예상한다. 우주과학자들은 화성에는 물 외에 이산화탄소도 조달이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다.
화성얼음집 구상은 다른 아이디어를 물리치고 나사 과학자들의 선택을 받았다. 만약 지구에서 구조물을 지어 화성으로 쏘아 올린다면, 그 엄청난 무게를 이동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자외선 등 우주에서 쏟아지는 다양한 유해물을 차단하려면 아마도 가장 좋은 방법은 땅을 파고 들어가는 것일지 모른다. 그러나 이 역시 복잡한 기계장치가 필요하고, 인간이 지하 땅속에 두더지 같이 들어가는 것이어서 선택을 받지 못했다.
이에 비해 화성얼음집은 반투명이어서 외부의 빛을 내부로 끌어 들여 마치 사람이 집에 거주하는 것 같은 편안한 느낌을 준다.
나사 과학자들은 “우주비행을 마친 우주과학자들이 화성에 도착하니, 다 지어진 둥근 얼음집이 우주인을 맞는다면 얼마나 멋진 일인가?”라고 발표했다.
나사 과학자들이 제안한 얼음집은 아직은 구상단계이기는 하지만, 화성에 가서 인간이 마주칠 다양한 문제점을 생각해볼 때 매우 훌륭한 해결책으로 여겨진다.
(1281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서울대 연구진이 포함된 국제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지능형 '전자피부' 개발에 성공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KAIST 조성호 전산학부 교수와 서울대 고승환 기계공학부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 제난 바오(Zhenan Bao) 교수 공동 연구팀이 이 같은 성과를 전기·전자 분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일렉트로닉스'(Nature Electronics)에 29일 게재했다고 밝혔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에 국내 개발 우주발사체 '누리호' 발사 성공과 수학자 허준이의 필즈상 수상 등을 선정했다고 28일 밝혔다. 과총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한 해의 주요 연구개발 성과와 사회적으로 주목받은 과학기술 등을 매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오태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은 우리나라 첫 달 궤도선 다누리의 달 궤도 진입 성공을 발표하면서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이 지구를 넘어 달에 닿았다"고 28일 밝혔다. 오 차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지난 8월 5일 지구를 출발한 다누리는 145일간의 항행 끝에 달에 도착했다"며 "이제 대한민국은 세계 일곱 번째 달 탐사 국가로서 우주탐사 역사에 첫발을 내디뎠다"고 말했다.
정부가 내년에 우주항공청을 설립하고 우주산업 육성에 나선다. 또 민관이 협력해 국가전략 기술을 본격 육성하고, 양자나 첨단 바이오 등 신기술 분야의 생태계 조성에 힘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8일 윤석열 대통령에게 이러한 내용의 2023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
한국재료연구원(이하 재료연)은 국민투표를 거쳐 올해의 우수 연구성과 '탑3'를 선정했다고 29일 밝혔다. 재료연은 기관의 대표 연구성과를 조명하고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 공감대를 높이기 위해 국민투표 방식을 통해 우수 연구성과를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미역, 다시마 등과 같은 갈조류(brown algae)가 대기 중 이산화탄소(CO₂)는 숲처럼 많이 흡수하고 주변 생물이 분해하기 까다로운 점액 형태로 방출해 온실가스를 장기 격리하는 지구온난화 시대의 '원더 식물'로 제시됐다. 독일 막스플랑크협회에 따르면 산하 '해양미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갈조류의 배설물을 분석해 탄소 순환 과정에서 많은 양의 CO₂를 장기간 제거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에 발표했다.
내년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서 러시아 패배부터 현재와 같은 전황 지속까지 전문가들의 전망이 엇갈렸다. BBC는 27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전쟁에 관해 영국, 미국, 이스라엘의 전문가 5명의 전망을 전했다. 마이클 클라크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 전 소장 겸 엑시터대 전략연구소(SSI) 부소장은 이번 봄 러시아의 공격이 관건이라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