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9-19 '이태원 참사 막자' KAIST, AI로 군중 밀집 예측 군중 밀집 예측 AI 기술 개발 KAIST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산학부 이재길 교수 연구팀은 군중 밀집 상황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태원 참사와 같은 다중밀집 사고를 예방하려면 단순히 인원수를 파악하는 수준을 넘어 인파의 유입·이동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9-17 초미세먼지 유발 암모니아 '정밀 관측'…UNIST, AI 모델 개발 암모니아 농도 정밀 관측 AI 모델을 개발한 UNIST 연구진. 왼쪽부터 임정호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교수, 사만 말릭 연구원, 강은진 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초미세먼지를 유발하는 암모니아 농도를 정밀하게 관측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이 개발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임정호 지구환경도시건설공학과 교수팀은 대기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9-15 "2달러로 마비 가능" KAIST 익명 인터넷 '토르' 취약점 찾았다 KAIST, 유즈닉스 보안 학술대회 우수논문상 연구 소개하는 이진서 전산학부 박사과정.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산학부 강민석 교수 연구팀이 익명 네트워크 '토르'(Tor)의 보안 취약점을 규명한 연구로 최근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유즈닉스 보안 학술대회'(USENIX Security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9-08 UNIST "AI 품질 검사로 2.79초 만에 초미세 불량 찾는다" 연구진 모습 왼쪽부터 UNIST 정임두 교수, 박서빈 연구원(제1저자), 김태경 연구원(제1저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3초도 되지 않는 짧은 시간에 초미세 단차 불량을 찾아내는 인공지능(AI) 품질 검사 기술이 나왔다. 단차 불량은 조립 부품 간 표면 높이가 어긋나는 현상으로, 접합부의 강도 저하와 품질 불량을 유발한다.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9-05 UNIST "AI 품질 검사로 2.79초 만에 초미세 불량 찾는다" 연구진 모습. 왼쪽부터 UNIST 정임두 교수, 박서빈 연구원(제1저자), 김태경 연구원(제1저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3초도 되지 않는 짧은 시간에 초미세 단차 불량을 찾아내는 인공지능(AI) 품질 검사 기술이 나왔다. 단차 불량은 조립 부품 간 표면 높이가 어긋나는 현상으로, 접합부의 강도 저하와 품질 불량을 유발한다.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9-04 AI가 평면 이미지 3차원으로 재구성…표준연, 알고리즘 개발 AI 기반 알고리즘 수행 결과 분석하는 표준연 연구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생물학 시료의 2차원 이미지를 3차원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주사전자현미경(SEM)은 시료에 전자빔을 쏴 발생하는 신호를 분석함으로써 높은 해상도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는 현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9-04 진화하는 스미싱 수법…KISA, 엑스레이 시스템으로 선제 대응 문자메시지(SMS)와 피싱이 결합한 스미싱 수법이 날로 진화하면서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악성문자 엑스레이(X-ray) 시스템으로 원천 차단에 나선다고 31일 밝혔다. 김은성 KISA 스미싱대응팀장 ⓒKISA 제공 본래 문자메시지와 피싱이 결합한 사기행위였던 스미싱은 최근 전화유도형, 검색 노출 유도형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다.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8-28 '얽힌 빛'으로 초정밀·초고해상도 분산형 양자센서 첫 구현 국내 연구진이 광자 여러 개가 특정 경로에 얽혀 있는 특수한 양자 얽힘 상태(다중 모드 N00N 상태)를 센서에 적용, 정밀도·해상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초고해상도 분산형 양자센서를 처음으로 구현했다. '다중 모드 N00N 상태'를 이용한 분산형 양자센싱 실험 연구팀은 4개 경로에 얽혀 있는 2광자 다중 모드 N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8-25 전선·옷 등 변형 물체도 능숙하게 다루는 로봇 기술 개발 변형 물체 다루는 작업 수행하는 로봇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산학부 박대형 교수 연구팀이 로봇이 변형 물체도 능숙하게 다룰 수 있게 하는 인공지능 기술 'INR-DOM'(아이엔알-돔)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전선, 의류, 고무줄처럼 모양이 일정하지 않은 물체는 움직임을 예측하기 어려워 로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8-20 "GPU 한 대로 그래프신경망 초고속 학습" KAIST, AI 모델 개발 전체 그래프신경망 대규모 학습법 제안한 김민수 교수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산학부 김민수 교수 연구팀이 한 대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서버에서 대규모의 전체 그래프신경망(GNN) 모델을 빠르게 학습할 수 있는 GNN 시스템 '플렉스지엔엔'(FlexGNN)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동물들은 지진을 예측할 수 있을까 못생긴 ‘심해어’, 새로운 계보 등장하나 해수담수화의 환경 딜레마 자석 하나로 우주에서 산소를 더 쉽게 만드는 방법 수소연료전지 촉매의 성능 저하 과정, 원자 수준에서 밝혔다 만성통증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근거 기반 의학에서 정밀 의료로 후각이 뇌를 속인다…"이건 냄새가 아니고 맛이야" 버려지는 흑연 부산물로 고순도 흑연 음극재 만든다 "2달러로 마비 가능" KAIST 익명 인터넷 '토르' 취약점 찾았다 "가족 갈등, 자녀 수면의 질 떨어뜨리고 저녁형 인간 만든다" 속보 뉴스 차세대 소듐냉각고속로 핵연료 제조 용기 신소재 개발 "美 서머타임 폐지하면 비만 260만·뇌졸중 30만명 예방 가능" 국가 AI전략위 분과위 구성 완료…고삼석 등 52명 추가 위촉 '이태원 참사 막자' KAIST, AI로 군중 밀집 예측 자폐 환자의 과도한 공포·불안 이유 찾았다…뇌 회로 규명 "사람 근육의 30배 능력"…UNIST, 변형 자유로운 인공근육 개발 KISTI·서울대, 천체 자체 중력 빠르게 계산하는 기술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