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 김현정 리포터 2025-07-29 '소버린AI 시대'의 한국형 해답, 조선 고전에서 찾다 한국학중앙연구원 AI사회연구소 포럼에서 전북대 전종욱 교수가 조선시대 의학고전과 AI 기술을 융합한 신약개발 연구성과를 발표했다. 전 교수는 조선후기 『임원경제지』를 AI로 분석한 '메디플랜트' 플랫폼을 통해 전통 처방의 과학적 근거를 입증했으며, 이는 소버린AI 시대 한국형 AI 정체성 확립과 동아시아 한의문명권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7-29 "하나의 패킷만으로 통신 마비 가능" 스마트폰 보안 취약점 발견 'LLFuzz'(Lower Layer Fuzz) 시스템 구성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스마트폰 통신 모뎀에서 단 하나의 조작된 무선 패킷(네트워크의 데이터 전송 단위)만으로도 스마트폰의 통신을 마비시킬 수 있는 심각한 보안 취약점을 발견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LLF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7-28 ETRI "미디어 국제표준 특허 2천건·기술료 1천억원 돌파" ATSC 3.0 기반 차세대 방송 전송기술 시연하는 ETRI 연구팀 ⓒETRI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미디어연구본부가 지난달 말 기준 미디어 분야 주요 국제 표준에서 2천여건의 특허를 확보, 누적 기술료 1천억원을 돌파했다고 24일 밝혔다. 미디어연구본부는 박사급 연구원 80여명이 소속된 연구 조직으로, 지난 20여년간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7-25 "사진 한 장으로 반려견 3D 아바타 만든다"…UNIST, AI기술 개발 3D 아바타 생성 과정 개념도 ⓒUNIST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반려견 사진 한 장만으로도 입체적 모습을 구현해 애니메이션까지 만들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우리 집 강아지를 똑 닮은 아바타를 생성해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메타버스에서 만나볼 수 있는 것이다. 이 인공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7-22 KAIST, '추론 속도·성능 모두 잡은' AI 확산모델 신기술 개발 연구 모식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산학부 안성진 교수팀이 딥러닝 분야 석학인 캐나다 몬트리올대 요슈아 벤지오 교수와 인공지능(AI) 확산모델(diffusion model)의 추론-시간 확장성을 크게 개선하는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확산모델은 많은 AI 응용에 활용되고 있지만, 효율적인 추론-시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7-16 부산서 스마트폰 기반 온라인 동영상 2D·3D 호환 기술 첫선 온라인 동영상 2D·3D 호환 기술 개념도 ⓒ부산정보산업진흥원 제공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은 오는 17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하는 '2025 K-ICT 위크 부산'에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부산공동연구실이 세계 최초로 개발한 스마트폰 기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2D·3D 호환 핵심기술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7-16 ETRI가 개발한 인공지능 기술 체험 플랫폼 공개 이프리티엑스 플랫폼 ⓒETRI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연구개발(R&D) 과제를 통해 개발한 소프트웨어(SW) 연구 결과물을 누구나 쉽게 체험할 수 있도록 '이프리티엑스(e-PreTX) 플랫폼'(https://epretx.etri.re.kr)을 통해 지난달 공개했다고 15일 밝혔다. 이프리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7-10 사람-챗GPT 색깔 인지 비교해보니…'모방과 경험 차이 드러나" 챗GPT도 '기분이 우울하다'(feeling blue) 같은 색 관련 표현을 이해하지만 이처럼 의미적 패턴을 흉내 내는 것과 체화된 경험에 기반한 인간의 추론 능력 사이에는 여전히 차이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공지능 챗봇 (PG) ⓒ강민지 제작 일러스트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리사 아지즈-자데 교수가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7-07 "장시간 음성 생성 가능" 억양·감정 표현하는 언어모델 개발 KAIST, 장시간 음성 생성 가능한 음성언어모델 개발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기·전자공학부 노용만 교수 연구팀의 박세진 박사과정생이 장시간 음성 생성이 가능한 음성언어모델(SLM·Spoken Language Model) '스피치SSM'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정보통신기술 김민재 리포터 2025-07-03 휴 다행이다, AI 예술은 아직 인간의 창의성을 따라잡지 못한다 생성형 인공지능이 시나 소설, 영화 시나리오까지 척척 써내는 시대가 되었다. 창작자의 입장에선 정말 허무함을 느낄만한 일이다. 몇 날 며칠 혹은 몇 년이나 머리를 싸매던 자신만의 창작물이 AI는 너무도 쉽게 만들어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신 연구에 따르면 AI가 만들어내는 창작물은 겉보기에는 인간이 만든 것 같아도 실제로는 '공허하고 얕다'는 치명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구름 한 덩이의 무게는 약 1000톤? 운동 싫은 ‘E’, ‘이런 운동’ 어때요? 모기 침에서 발견된 새로운 바이러스 감염 경로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새 차 냄새'는 200개 이상의 화학물질의 혼합물이다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뇌 노화 속도도 빨라졌다" 거미 고향은 바다?…거미 뇌구조 가진 해양 절지동물 화석 발견 주 4일제 시행해보니…"번아웃 감소·직무만족 개선 효과" 우주진화 비밀 풀리나…'별 없는 은하' 후보군 무더기 발견 "북극 겨울, 녹는점 도달…북극해 스발바르 제도가 녹고 있다" "사진 한 장으로 반려견 3D 아바타 만든다"…UNIST, AI기술 개발 속보 뉴스 부경대 연구팀, 이차전지 NCA 양극재 성능 저하 극복 기술 개발 '외계 생명체 증거'라던 논문, 15년 만에 철회 "하나의 패킷만으로 통신 마비 가능" 스마트폰 보안 취약점 발견 생명연, 세계 최초로 '조로증' 치료 가능성 열었다 "코로나19 백신, 2020년부터 전 세계 250만명 생명 구했다" ETRI "미디어 국제표준 특허 2천건·기술료 1천억원 돌파" "실외 대기오염에 장기간 노출되면 치매 위험 커진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