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4-17 표준硏, 6G 저궤도 위성통신 성능 검증할 측정표준 개발 6G 저궤도 위성통신용 측정표준 개발 과정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우리나라가 개발 중인 6G 저궤도 위성통신의 성능을 검증할 수 있는 측정표준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6G 저궤도 위성통신은 5세대 이동통신(5G)보다 수십 배 빠른 6G를 저궤도 통신위성을 통해 구현하는 차세대 첨단 통신 서비스다.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4-16 디지털 치매?…"디지털기기 사용, 노년기 인지 저하 위험 낮춰" 스마트폰 사용하는 청소년들 ⓒ연합뉴스TV 제공 스마트폰·컴퓨터 같은 디지털 기기를 많이 사용하면 인지 능력이 떨어진다는 '디지털 치매'(digital dementia) 가설과 달리 기술 사용이 오히려 노년기 인지 저하 위험을 줄여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재러드 벤지 교수와 베일러대 정보통신기술 김현정 리포터 2025-04-14 “이 논문, 사람이 심사한 걸까?” AI가 바꾸는 과학 논문 심사의 미래 인공지능은 이제 학술 논문 심사의 영역까지 진입하며, 인간 전문가의 판단을 보조하거나 일부 대체하는 수준에 이르고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AI 리뷰는 일부 인간 심사자보다 더 유익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창의적 사고와 비판적 분석이 필요한 영역에서는 여전히 한계가 있다. 과학계는 AI를 심사의 도구로 받아들일지, 혹은 인간의 판단을 대체할 존재로 받아들일지를 두고 중대한 전환점에 서 있다.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4-11 UNIST "개인정보 보호하며 고품질 콘텐츠 생성 AI 모델 개발" 연구진 모습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셀카'와 같은 개인정보가 포함된 민감 데이터를 서버로 직접 보내지 않고도 고품질 이미지 등 콘텐츠 생성을 돕는 인공지능(AI) 모델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 인공지능대학원 유재준 교수팀은 연합학습 AI 모델인 '프리즘'(PRISM&mi 정보통신기술 김현정 리포터 2025-04-09 ‘지브리 스타일’에 놀란 챗GPT, 챗GPT에 화난 지브리 오픈AI의 챗GPT-4o 이미지 생성 기능이 이미지를 간편하게 구현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지브리 프사’ 열풍이 확산되고 있다. 이 트렌드는 생성형 AI의 대중화를 이끌며 폭발적 성장을 견인했다. 그러나 예술 창작과 기술의 경계, 저작권 및 창작 윤리 논란, 서버 과부하 문제 등 이용자 서비스 부작용도 함께 제기되고 있다. 챗GPT의 ‘미친 확산의 순간’을 맞아 대중은 흥미로운 놀이문화를 얻었고, 창작자는 허탈감을 느낀 최신의 트렌드를 깊이 다뤄본다.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3-31 "스마트폰 금지로는 어린이의 건강한 기술 활용 준비 못 시켜" 스마트폰 사용하는 청소년들 ⓒ연합뉴스TV 제공 스마트폰 사용이나 소셜미디어 접속을 금지하는 것만으로는 어린이들이 미래 사회에서 더욱 중요해질 기술을 건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준비시키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영국 버밍엄대 빅토리아 굿이어 교수 등 전문가들은 28일 의학 학술지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에서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3-31 우울·불안 상담도 AI 챗봇이?…"임상시험서 증상 개선 효과" 우울증과 불안증 같은 정신질환 치료를 위해 개발된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의 챗봇이 첫 임상시험에서 뛰어난 증상 개선 효과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질환 치료 AI 챗봇 '테라봇'(Therabot)의 아바타와 개발자들. 미국 다트머스대 니컬러스 제이컵슨(가운데) 교수와 마이클 하인즈(왼쪽) 교수팀은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정보통신기술 김민재 리포터 2025-03-21 AI 의료 상담, 어디까지 믿을 수 있을까? 2024년 중반에 약 2,000명의 호주인을 대상으로 실시된 조사에 따르면, 현재 호주인 10명 중 1명이 의학적 질문을 위해 이 플랫폼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중 거의 61%가 일반적으로 임상 조언이 필요한 질문을 한다. 이처럼 인공지능이 의료 분야에 가져오고 있는 혁신은 매우 놀랍다. 하지만 ChatGPT와 같은 대형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이 제공하는 의료 조언은 얼마나 신뢰할 수 있을까?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3-17 거대언어모델 학습시간 단축 시뮬레이션 기술 오픈소스로 공개 다양한 병렬화 기법에 따른 학습시간과 GPU 사용률 변화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챗GPT·딥시크 등 거대언어모델(LLM)의 학습 시간을 예측해 최적화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AI(인공지능)를 이용한 LLM은 수만 개의 데이터센터용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갖춘 대규 정보통신기술 연합뉴스 2025-03-03 GIST, 정확도 23% 높인 AI 법률 서비스 개발 LQ-RAG 시스템 개념도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광주과학기술원(지스트)은 27일 이흥노 전기전자컴퓨터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법률 분야에 특화된 '검색 증강 생성'(Retrieval-Augmented Generation·RAG)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 AI 법률 시스템은 58∼82%에 달하는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이 논문, 사람이 심사한 걸까?” AI가 바꾸는 과학 논문 심사의 미래 안전한 땅을 위해서는 지하수를 지켜라 일란성 쌍둥이들은 텔레파시를 주고받을까?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 중 재활용 소재로 만든 건 10% 미만" 인제대 연구팀, 스마트폰으로 치매·파킨슨병 조기진단 기술개발 KAIST·경상대, 차세대 리튬금속전지 수명 높인 전해질 개발 농진청 "병원균 제어 환경서 돼지 사육하면 장기 이식 적합성↑" “어서와 과학 팝업은 처음이지?” 과학과 팝업이 만든 놀이문화 ‘별별잡화점’ 뇌 속 별세포 발현 단백질 억제해 단기 기억력 높인다 화학硏,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이용해 유연한 열전소재 개발 속보 뉴스 "우주 자체가 회전할 수도"…허블 수수께끼 해결 가설 제시 "스타워즈 '타투인' 행성처럼 해가 2개 뜨는 외계행성 발견" KAIST, AI 이용해 자연에 없는 효소 설계 가능성 제안 美서 원자로 원조받던 나라에서…66년만에 역수출 이뤘다 "사탕수수 찌꺼기와 햇빛으로 이산화탄소 배출 없는 수소 생산" 표준硏, 6G 저궤도 위성통신 성능 검증할 측정표준 개발 KAIST, 뇌처럼 스스로 정보 처리·학습하는 반도체 소자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