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에너지 연합뉴스 2025-07-11 온난화로 바닐라향도 위기…"바닐라 식물-곤충 서식지 달라져" 기후변화로 바닐라 향의 원료가 되는 바닐라 식물과 이들의 꽃가루받이 곤충 서식지가 서로 달려져 야생 바닐라가 생존 위기를 맞고 전 세계 바닐라 공급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바닐라향 원료가 되는 바닐라 폼파나(Vanilla pompona) 꽃과 꽃가루받이 곤충인 줄무늬말벌꿀벌(Eulaema cingulata) ⓒCharlott 환경·에너지 연합뉴스 2025-07-10 "섬 침입한 쥐 퇴치했더니…주변 산호초 생태계까지 회복" 생태계는 미생물부터 동식물까지 다양한 구성 요소가 긴밀하게 연결돼 있다. 세이셸제도 섬 연구에서 외래 침입종 쥐를 제거하자 바닷새가 증가하고 배설물을 통해 먹이사슬 영양분 흐름이 복원되면서 산호초 생태계까지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호초 주변 조류 이끼를 먹는 초식 물고기 떼. 바닷새 배설물(guano)을 통해 영양분이 공급되면서 성장이 촉 환경·에너지 김현정 리포터 2025-07-09 “너를 ‘러브’하지 않지만…” 러브버그 대발생 시대, 친환경 방제 연구 필요 이번 여름도 러브버그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개체수가 급증하여 징그러운 광경이 목격되는 등 불편을 초래하지만 최근 연구결과 이들은 질병을 전파하지 않는 무해한 곤충으로 밝혀졌다. 또한 도시 환경에 특화된 해독 유전자와 내열성 유전자를 다수 보유해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생태계 균형을 고려한 지속가능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환경·에너지 연합뉴스 2025-07-09 "온난화로 빙하 녹는 속도 가속…전 세계 화산 폭발 위험 증가" 지구 온난화로 빙하 녹는 속도가 빨라지면서 두꺼운 얼음에 눌려 있는 남극 등 전 세계 빙하 아래 화산들이 폭발적인 분출을 일으킬 가능성이 점점 커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얼음에 덮여 있는 칠레 모초-초슈엔코 화산 ⓒPablo Moreno-Yaeger 미국 매디슨 위스콘신대 파블로 모레노-예이거 연구원(박사과정) 연구팀은 8 환경·에너지 연합뉴스 2025-07-09 "일교차로 물 모아 전기 만드는 '에너지 하베스팅' 시스템 개발" 아주대·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공동 연구팀은 물이 부족한 환경에서도 일교차를 활용해 공기 중 수분을 모으고 이를 전기에너지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 개요도 ⓒ아주대 제공 기존의 물 기반 에너지 하베스팅(일상 생활에서 버려지는 진동, 압력 등 에너지를 수확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은 젖은 면과 마른 환경·에너지 연합뉴스 2025-07-09 "4억6천만년 전 오르도비스기 생물대방산 실체 새롭게 규명했다" 연구 피규어 ⓒ충남대 제공 4억6천만년 전 '오르도비스기 생물 대방산'은 진화에 의한 것이었을까? 한중 공동 연구진이 고생물학계의 오랜 수수께끼였던 오르도비스기 생물 대방산(Great Ordovician Biodiversification Event)의 실체를 새롭게 규명했다. 충남대는 지질환경과학과 이정현 교수팀 환경·에너지 연합뉴스 2025-07-08 "폭염, 우유 생산량 최대 10% 감소시켜…냉각장치 효과 제한적" 기후변화로 폭염 발생이 증가하는 가운데 폭염으로 인한 열 스트레스가 젖소의 우유 생산량을 최대 10%까지 감소시킬 수 있으며, 냉각 기술로 젖소를 식혀줘도 5% 감소는 막을 수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대형선풍기와 냉각안개로 더위 식히는 젖소들.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 시카고대와 이스라엘 예루살렘 사타가 간다 김현정 리포터 2025-07-07 [카자흐스탄 리포트 3] 카자흐스탄, 중앙아시아의 에너지 허브를 꿈꾸다 카자흐스탄이 전력 생산의 57%를 석탄에 의존하는 화석연료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탈탄소-공급다변화-에너지주권 확보를 위한 전략적 에너지 믹스 재편에 본격 착수했다. 2024년 10월 국민투표를 통해 원자력 발전소 건설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했으며, 동시에 재생에너지 분야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이며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 15%,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와 대안 에너지 50% 달성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러한 에너지 전환이 성공한다면 카자흐스탄은 중앙아시아 에너지 허브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며 글로벌 에너지 전환의 모범 사례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환경·에너지 연합뉴스 2025-07-03 "초미세먼지 노출, 심근 섬유화 유발…심혈관 질환 위험 높여" 대기오염 물질에 포함된 초미세먼지(PM2.5)가 심부전 전조가 될 수 있는 심근 섬유화(myocardial fibrosis)를 유발하는 등 대기오염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심장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초미세먼지(PM2.5), 심근 섬유화 유발"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심근 섬유화(myocardia 환경·에너지 연합뉴스 2025-07-02 "남극해, 2015년 이후 더 짜지고 있다…해빙 감소 가속 요인" 남극에서는 2015년 이후 그린란드와 맞먹는 면적의 해빙(sea ice) 사라졌다. 여기에는 남극해 표층 해수의 염도가 증가해 해빙이 줄어드는 속도가 빨라지는 데 큰 영향을 주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극해 ⓒUniversity of Southampton 제공 영국 사우샘프턴대 알레산드로 실바노 교수팀은 1일 미국립과학원회보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너를 ‘러브’하지 않지만…” 러브버그 대발생 시대, 친환경 방제 연구 필요 우주에서 온 세 번째 편지: 성간 혜성 3I/ATLAS가 전하는 우주의 비밀 [카자흐스탄 리포트 3] 카자흐스탄, 중앙아시아의 에너지 허브를 꿈꾸다 KIST, 웨어러블 배터리 한계 극복…성능·내구성 동시 개선 "성인 후반기까지 뇌 해마에서 새 신경세포 계속 생성된다" "치매에도 날 기억한 할머니"…알츠하이머 단초 찾는 연구 됐다 "성별·연령별 정상 혀 색깔은…" 한의학연, 국가참조표준 개발 내성 암세포를 항암제에 민감하게 만드는 유전자 예측한다 3,500년 전 누군가는 사후세계를 위해 치즈를 준비했다? "온난화로 빙하 녹는 속도 가속…전 세계 화산 폭발 위험 증가" 속보 뉴스 온난화로 바닐라향도 위기…"바닐라 식물-곤충 서식지 달라져" "사슬 구조 물질 내 스핀·전하 분리 현상 관측" 식물은 어떻게 폭염에도 살아남나…유전자 조절 원리 밝혀 "외로움은 정신적·신체적 건강 악화 요인…정기 검사 필요" "2천400만년 된 동물 화석 이빨에서 단백질 복원 성공" UNIST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수율 5.6배 높이는 공정 개발" "섬 침입한 쥐 퇴치했더니…주변 산호초 생태계까지 회복"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