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응용과학 정회빈 리포터 2025-07-11 물에 시끄럽게 빠지는 법에도 과학이 있다 뉴질랜드의 전통 스포츠인 마누 점프는 큰 물보라는 만드는 독특한 다이빙 기술이다. 마누 점프 영상들의 분석과 로봇 실험들을 통해 45도 각도로 엉덩이부터 입수하고 물 속에서 빠르게 몸을 펼치는 것이 큰 물보라 형성에 결정적임이 밝혀졌다.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7-11 "사슬 구조 물질 내 스핀·전하 분리 현상 관측" 아주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공동연구를 진행해 1차원 사슬 구조 물질 내에서의 스핀·전하 분리 현상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연구 개요도 ⓒ아주대 제공 전자는 물질의 원자를 구성하며 음전하를 띄는 기본 입자로, 전하(charge)와 스핀(spin)이라는 성질을 지닌다. 전하는 전기 에너지를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7-11 "2천400만년 된 동물 화석 이빨에서 단백질 복원 성공" 국제 연구진이 최고 2천400만년 전에서 1천600만년 전 캐나다 북부와 아프리카 케냐에 살았던 코뿔소 근연종 동물 화석의 이빨 법랑질(enamel)에서 고단백질을 채취해 복원하는 데 성공했다. 2천만년 이상된 단백질이 보존된 화석이 발견된 캐나다 북부 호튼 충돌구 주변 ⓒMartin Lipman 제공 덴마크 코펜하겐대 라이언 패터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7-10 UNIST·연세대 "상대성이론·양자역학 간극 메운다" 연구진 모습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전자는 양자역학으로 분석해야 할 정도로 작은 입자인 동시에 상대성 이론이 필요할 만큼 빠르다. 두 이론의 출발선이 달라 일관된 설명이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그 간극을 메우는 새로운 이론을 국내 연구진이 내놨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8일 물리학과 박노정 교수와 연세대학교 김경환 교수팀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7-08 과도한 부는 비도덕적?…"GDP·사회평등 등에 따라 인식 달라" 과도한 부(excessive wealth)는 비도덕적일까? 대부분 사람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지만 더 평등하고 부유한 사회의 구성원일수록 돈이 너무 많은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믿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과도한 부에 대한 비도덕성 인식. 연구 대상 20개국의 과도한 부에 대한 비도덕성 인식 표준화 점수 ⓒPNAS Nexus / Mo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7-01 다이빙으로 가장 큰 물보라를 일으키는 과학적 방법? 마누 점프의 입수 자세(유튜브 캡처) ⓒ연합뉴스 제공 더운 여름 수영장에 뛰어들며 누구보다도 크고 높이 튀는 물보라를 일으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물보라를 최대한 줄이는 올림픽 다이빙과 달리 뉴질랜드에서는 물에 뛰어들며 최대한 큰 물보라를 일으키는 '마누 점프'가 유명하다. 매년 대회까지 열리며 최고 10m 높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6-30 "다람쥐·들쥐, 도시생활 125년만에 두개골·치열이 달라졌다" 진화는 보통 수천~수백만 년간 작은 변화가 축적돼 일어나는 과정이다. 그런데 미국 시카고 지역에서 살아온 다람쥐와 들쥐에서 125년 사이에 두개골 크기와 치열 등이 변하는 진화가 일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1898년 미국 시카고에서 수십된 들쥐의 두개골과 가죽 ⓒField Museum 제공 미국 시카고 필드 자연사 박물관 스테파니 스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6-27 "오랑우탄도 밤잠 설치면 낮잠으로 보충한다" 동물에게 생리적으로 매우 중요하지만, 취약한 상태가 될 수 있는 수면의 기원과 진화 과정을 밝히는 것은 중요한 연구 주제 중 하나다. 인간과 가까운 영장류 중 하나인 오랑우탄도 밤잠을 충분히 자지 못하면 사람처럼 낮잠으로 보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낮잠 둥지에서 낮잠 자는 수마트라 오랑우탄 '시시' 인도네시아 수마트라 수아크에 서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5-06-25 범고래도 도구 만든다…"다시마로 만든 도구로 서로 몸단장" 해양 포유류인 범고래가 다시마 같은 해조류를 채취해 도구를 만들고 이것으로 서로 몸단장(allokelping)을 해주는 모습이 처음으로 포착됐다. 몸 사이에 다시마 줄기를 끼우고 문지르는 범고래들. 범고래 두 마리가 몸 사이에 다시마 줄기로 만든 도구를 끼우고 문지르는 '다시마 상호 단장'(allokelping) 행동을 하고 있다 기초·응용과학 김현정 리포터 2025-06-24 9천4백만 년 전 백악기, 조류 진화의 핵심 퍼즐 조각 발견되다 최근 미국-캐나다 공동연구팀이 알래스카 북부에서 약 9천4백만 년 전 백악기 북극에서 실제로 번식한 조류 화석을 최초로 확인했다. 사이언스에 발표에 논문에 따르면 사이언스에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이 새들은 북극에서 나고 자란 미성숙 개체로 확인되었으며, 당시 북극은 빙하가 아닌 온난하고 숲이 우거진 환경이었다는 점도 함께 밝혀졌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너를 ‘러브’하지 않지만…” 러브버그 대발생 시대, 친환경 방제 연구 필요 우주에서 온 세 번째 편지: 성간 혜성 3I/ATLAS가 전하는 우주의 비밀 [카자흐스탄 리포트 3] 카자흐스탄, 중앙아시아의 에너지 허브를 꿈꾸다 KIST, 웨어러블 배터리 한계 극복…성능·내구성 동시 개선 "성인 후반기까지 뇌 해마에서 새 신경세포 계속 생성된다" "치매에도 날 기억한 할머니"…알츠하이머 단초 찾는 연구 됐다 "성별·연령별 정상 혀 색깔은…" 한의학연, 국가참조표준 개발 내성 암세포를 항암제에 민감하게 만드는 유전자 예측한다 3,500년 전 누군가는 사후세계를 위해 치즈를 준비했다? "온난화로 빙하 녹는 속도 가속…전 세계 화산 폭발 위험 증가" 속보 뉴스 온난화로 바닐라향도 위기…"바닐라 식물-곤충 서식지 달라져" "사슬 구조 물질 내 스핀·전하 분리 현상 관측" 식물은 어떻게 폭염에도 살아남나…유전자 조절 원리 밝혀 "외로움은 정신적·신체적 건강 악화 요인…정기 검사 필요" "2천400만년 된 동물 화석 이빨에서 단백질 복원 성공" UNIST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수율 5.6배 높이는 공정 개발" "섬 침입한 쥐 퇴치했더니…주변 산호초 생태계까지 회복"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