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5-01-16 올해 신문 1면에는 어떤 과학 기사가 실릴까 올해 과학계엔 어떤 사건이 벌어질까를 두고 권위 있는 과학 기관들은 저마다의 예측을 내놓는다.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는 지난 1일 2025년의 주요 이슈를 예측하며 트럼프의 재집권, 미국의 ‘다양성‧형평성‧포용성(DEI)’ 정책 등 미국 과학계의 정책 변화에 주목했다. 이밖에 ‘사이언스’가 주목한 2025년 세계 과학계의 헤드라인을 장식할 것으로 전망되는 과학 이슈들을 소개한다. 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5-01-03 2025년 주목할 과학 이슈 미리보기 2025년이 시작됐다. 올해도 과학계에서는 많은 ‘혁신’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는 2025년 주목해야 할 과학 이슈를 선정해 발표했다. 기초·응용과학 김민재 리포터 2025-01-02 2024년 과학계를 뒤흔들었던 10가지 뉴스 정리 2024년은 다양한 과학적 발견과 현상들이 인류의 지식 확장에 크게 기여했으며, 동시에 기후변화와 같은 글로벌 과제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는 분주한 한 해였다. 특히, 천문학과 우주공학, 기후 변화 등 환경 문제, 그리고 전염병 연구로 인한 생명공학 분야의 눈부신 발전은 과학 덕후들로 하여금 바쁜 한 해를 보내게 해주기 충분했다. 다음은 2024년 과학계를 뒤흔들었던 10가지 뉴스들이다. 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4-12-31 Science가 선정한 2024년 10대 과학 이슈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는 연말이 되면 매년 한해를 빛낸 과학 이슈(breakthrough of the year) 10선을 선정해 발표한다. 사이언스가 선정한 올해의 과학이슈 10가지를 소개한다. 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4-12-30 네이처誌, “2025년 이 인물에 주목”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는 지난 9일 2025년 과학계가 주목해야 할 인물 3인을 선정해 발표했다. 과학 연구와 정책을 바꿀 3인을 소개한다.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4-12-30 "조연 아닌 주연" 알칼리 이온의 재발견, '구경꾼' 오명 벗었다 연구 결과 모식도 ⓒ한국연구재단 제공 한국연구재단은 포항공대(포스텍) 최창혁·한국과학기술원(KAIST) 김형준 교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오형석 박사 공동연구팀이 알칼리 금속 이온이 전기화학 반응에서 반응물과 결합해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1일 밝혔다. 주기율표 1족에 속하는 리튬&mid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4-12-27 수학적 방법으로 세포외기질 모사해 줄기세포 제어한다 리간드 연결성 조절 통한 줄기세포 제어 시스템 모식도 ⓒ강희민 교수 제공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 강희민 교수 연구팀이 수학적 모델링으로 세포외기질(ECM)을 모사해 줄기세포를 원격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23일 밝혔다. 세포외기질(ECM)은 세포 밖 물질이지만 세포와 밀접하게 연관돼 세포의 행동을 조절하는 네트워크 구조체를 말한다. 골절,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4-12-26 전기차 배터리 소재 '리튬', 자폐 치료 열쇠 될까 자폐 생쥐 모델에 대한 리튬 투여 효과 ⓒIBS 제공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핵심 소재인 '리튬'이 자폐스펙트럼장애(ASD)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가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시냅스뇌질환연구단 김은준 단장 연구팀은 자폐 유발 유전자로 알려진 'Dyrk1a' 유전자 결손이 자폐스펙트럼장애 증상을 일으키는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4-12-26 인간·원숭이·쥐 뇌의 공통점은…"고차원 인지에 시간 투자" 한국과 미국의 공동 연구팀이 포유류를 대상으로 뇌 신경활동을 처리하는 데 드는 시간 패턴을 분석해 뇌 신경망 구조를 이해할 수 있는 단서를 제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백세범·정민환 교수와 미국 존스홉킨스대 이대열 교수 공동 연구팀이 다양한 포유류 종의 뇌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영역별 신경 활동의 시간적 스케일 패턴을 확인했다고 24 기초·응용과학 연합뉴스 2024-12-24 "'갈고리 머리'로 자궁벽 찍어 이동하는 쥐 정자…최초 포착" 정자 무리의 동기화된 헤엄치기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쥐 정자가 갈고리처럼 생긴 머리로 자궁벽을 찍어 이동하는 현상이 처음으로 포착됐다. 16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정훈 교수팀은 생명과학과 김재익 교수팀, 일본 교토대 류흥진 박사와 공동 연구를 통해 쥐 생식기관 내부에서 일어나는 정자의 이동 영상을 실시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중국에서 확산 중인 새로운 호흡기 질환 AI, 위스키의 향을 해독하다... "전문가보다 정확한 판별력 입증" 돼지→인간 장기 이식, 거부 반응 극복할 수 있을까 기후변화가 대형 산불 위험을 키운다? 세계로, 미래로 도약하는 한국물리학회의 새로운 발걸음: 회원과 함께한 2년 한국, ‘호라이즌 유럽’ 준회원국 참여 속보 뉴스 '민간주도' 누리호 4차 발사…'뉴 스페이스' 신호탄 쏜다 UNIST "북극 해빙 변화 1년 뒤까지 예측하는 AI 모델 개발" 꿀벌부채명나방서 플라스틱 분해 효소 배양 성공 실내 곰팡이 독소가 반려견 아토피 피부염 악화시킨다 부산대 연구팀 "AI로 비정형 파킨슨 증후군 진단…정확도 94%" "자폐 스펙트럼 장애 관련 X 염색체 유전자 변이 발견" "부모 간 폭력 목격한 아이, 장년기 심혈관 질환 위험 36%↑"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