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4-30 성능·안정성 만족 전해질 개발…"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도움" 고분자 소재 모식도 ⓒ포항공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빠른 이온 이동 속도를 보이는 고분자 전해질 소재를 개발했다. 이 소재를 사용하면 고성능 전고체 배터리를 상용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포항공대(POSTECH)는 화학공학과 박문정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이차전지에 사용할 수 있는 고체 고분자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4-30 "자폐 조기에 진단"…사회적 상호작용 AI 기술 개발 자폐 조기 진단 위한 사회적 상호작용 AI 기술 개념도 ⓒETRI 제공 국내 연구진이 자폐스펙트럼장애(ASD)를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 자폐스펙트럼장애는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 결여, 반복·과잉 행동, 지적·불안 장애 등 증상을 보이는 뇌 발달 장애다. 효과적인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4-29 "친환경 수소, 더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생산한다" 연구진 모습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태양광을 이용한 친환경 수소를 더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탄소중립대학원 김진영 교수팀과 에너지화학공학과 이재성 교수팀, 고려대 화학과 우한영 교수팀이 금속 산화물을 사용하지 않는 '전 유기 광산화전극'(all-o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4-29 나일론만큼 튼튼한 생분해 어망 개발…1년 내 92% 분해 해양 분해 시험 테스트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한국화학연구원 전현열·김효정 박사와 박성배 선임연구원, 인하대 오동엽 교수, 서강대 박제영 교수 공동 연구팀은 나일론 수준의 강도와 유연성을 갖는 어망용 생분해성 '폴리에스터-아마이드(PEA)' 고분자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의류나 그물 등 나일론 폐기물은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4-28 KIST, '상온서 목재 폐기물 항공유로 전환' 기술 개발 전기화학 작용을 통해 리그닌 유래 오일을 SAF로 전환하는 과정 ⓒKIST 제공 상온·상압에서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폐목재 성분인 리그닌을 지속가능항공유(SAF) 원료로 전환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이웅희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값싼 공정으로 리그닌에서 추출한 바이오매스를 SAF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4-28 KAIST, 카이랄 자성 양자점 개발…고성능 AI에 활용 카이랄 자성 양자점을 이용해 만든 뇌 닮은 뉴로모픽 소자 그림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처음으로 카이랄성과 자성을 동시에 갖는 카이랄 자성 양자점(QD, Quantum Dot·수 나노미터 크기 반도체 입자)을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를 토대로 사람의 뇌를 본뜬 뉴로모픽 소자를 구현, 고성능 인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4-25 "디지털 알고리즘으로 온실가스 분리 신소재 발굴" 알고리즘이 골라준 구조를 실제 실험으로 합성한 결과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이론적으로는 수백만 종이 존재하지만 지난 20년간 50종밖에 만들지 못한 '제올라이트 모방 다공성 물질'(ZIF)을 국내 연구진이 새롭게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최원영 교수팀과 오현철 교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4-24 "복잡한 장면에서 핵심만 찾아낸다" 뇌처럼 분석하는 AI 인공지능과 실제 뇌의 시각 반응 비교 실험 ⓒIBS 제공 인간의 뇌처럼 시각 정보를 선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AI)이 등장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연구팀은 연세대 응용통계학과 송경우 교수팀과 공동으로 뇌의 시각피질이 시각 정보를 선별해 처리하는 방식을 모사해 AI의 이미지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4-24 아주대 "'슈퍼커패시터' 성능 개선하는 친환경 첨가제 개발' 아주대학교는 본교 연구팀이 차세대 에너지 저장 기술 중 하나인 '슈퍼커패시터'(supercapacitor)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친환경 첨가제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구 개요도 ⓒ아주대 제공 고성능의 에너지 저장 기술로 분류되는 슈퍼커패시터는 리튬을 사용하지 않아 환경친화적이고 대규모의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4-24 KAIST, 생체 내 형광 분자 최초로 근적외선 발광 설계 KAIST, 생체 내 형광분자 근적외선 발광 설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화학과 백윤정 교수 연구팀은 근적외선 파장의 빛을 낼 수 있는 오환형(5개의 고리를 가진 구조) 플라빈 분자를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플라빈은 우리 몸 등 생체 내에서 전자 전달과 광반응 조절 등의 역할을 하는 형광 분자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소변’ 버리지 마세요, ‘토마토’에 양보하세요 싱크홀 위험 지역 알려주는 ‘땅속 백과사전’, 지질도 가톨릭 교회와 과학의 공존: 2천년 역사 속 갈등과 협력의 여정 어린 시절 환경이 뇌 속 ‘하얀 길’ 바꾼다 지방 소멸 위기, 과학이 지역을 돕는 방법 "복잡한 장면에서 핵심만 찾아낸다" 뇌처럼 분석하는 AI 추상화 앞에서 당신의 뇌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오류 줄인 고효율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 "온난화로 급격한 '기온 반전' 증가…저소득 국가 더 위험" 아주대 "'슈퍼커패시터' 성능 개선하는 친환경 첨가제 개발' 속보 뉴스 성능·안정성 만족 전해질 개발…"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도움" 과학기술위성 1호로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분자구름 찾았다 "자폐 조기에 진단"…사회적 상호작용 AI 기술 개발 백신 1·2차 접종은 어느 팔에?…"같은 팔에 맞으면 더 효과적" "페르시아고양이-퍼그 비슷한 머리 형태는 수렴진화 한 것" "친환경 수소, 더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생산한다" 나일론만큼 튼튼한 생분해 어망 개발…1년 내 92% 분해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