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9-19 차세대 소듐냉각고속로 핵연료 제조 용기 신소재 개발 핵연료 제조 용기 신소재 개발한 원자력연 연구팀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소듐냉각고속로(SFR)의 금속 핵연료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용기와의 이상 반응을 차단할 수 있는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SFR은 물이 아닌 액체 소듐(나트륨)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원자로 노형으로, 열효율과 안정성이 높아 대표적인 신소재·신기술 정회빈 리포터 2025-09-18 자석 하나로 우주에서 산소를 더 쉽게 만드는 방법 우주에서는 부력이 없어서 물 전기분해로 생성된 산소 기포가 전극에 달라붙어 효율이 떨어진다. 전극 옆에 네오디뮴 자석을 배치하면 로렌츠 힘에 의해 물 흐름을 만들어져 기포를 떨어져 나오고 전류 밀도가 최대 240% 향상되었다. 펌프와 같은 대형 장치 없이도 원활한 산소 공급이 가능하다면 화성 탐사와 같은 장기 우주 비행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9-18 원자력연, 엘리베이터용 와이어로프 안전성 검사 장치 개발 로프 닥터를 이용해 와이어로프를 검사하는 모습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와이어로프의 안전성을 정밀하게 진단할 수 있는 비파괴검사 장치 '로프 닥터'(Rope Dr.)를 개발, 피레타에 기술이전 했다고 17일 밝혔다. 피레타는 이를 바탕으로 해양 항만 크레인 비파괴검사 시장 진출을 추진할 계획이다.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9-17 전기연, 반도체 초정밀 공정서 활용 가능한 펄스 전원 개발 장성록 박사(왼쪽 네번째) 연구팀 ⓒ전기연 제공 한국전기연구원(KERI, 전기연)은 전기물리연구센터 장성록 박사팀이 반도체 초정밀 공정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바이어스용 맞춤형 펄스 전원(Tailored Pulse Power modulator for bias)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바이어스 장치는 플라스마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9-16 전기연, 반도체 초정밀 공정서 활용 가능한 펄스 전원 개발 유아의 장내 미생물군집 안정성이 성장에도 큰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유아기에 장내 미생물군집이 불안정해 변화가 클 경우 영양실조와 발육부진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옥수수 굽는 말라위 여성 아프리카 말라위는 전체 어린이의 37%가 발육 부진을 겪을 정도 어린이 영양실조 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Jeremiah M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9-16 재료연, 계란흰자 활용 '단백질 발포법'으로 방열 복합소재 개발 재료연, 고성능 방열 복합소재 개발 ⓒ재료연 제공 한국재료연구원(KIMS, 재료연)은 나노재료연구본부 차현애 박사 연구팀이 고성능 방열(放熱) 복합소재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전자기기가 고성능화·소형화하면서 발생하는 열을 해결하려면 방열 기술이 필요하다. 방열 시스템에서 핵심 요소로 작용하는 것은 '열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9-15 버려지는 흑연 부산물로 고순도 흑연 음극재 만든다 개발한 기술 구성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한유진·박상훈 박사 연구팀이 버려지는 흑연 부산물을 정제해 고순도의 흑연 음극재를 얻어냈다고 11일 밝혔다. 흑연은 전기차용 리튬이온배터리 음극재의 핵심 원료다. 음극재는 배터리 셀 무게의 30%를 담당하며, 흑연은 배터리 제조 원가의 10%를 차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9-11 UNIST, 기술이전 계약 자동 분석하는 AI 시스템 구축 UNIST 기술이전 계약 분석 시스템 구조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기술 이전 계약 분석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PDF 문서를 신속하게 읽고 분류하는 자체 대형언어모델(LLM)을 적용해 기술 이전 계약서를 자동으로 분석, 핵심 정보를 뽑아낸다. 이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9-11 GIST 연구팀, 로봇AI 집기 능력 향상 기술 개발 데이터세트 개요 ⓒ광주과기원 제공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9일 인공지능(AI) 융합학과 이규빈 교수 연구팀이 실제 환경의 복잡성을 정밀하게 반영한 세계 최대 규모 로봇 파지(Grasp·집기) 데이터세트 '그래스프클러터6D(GraspClutter6D)'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기존 로봇 AI가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9-05 "분리수거 No" 기계연, 혼합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술 개발 폐유기물 기초원료화 사업단 연구팀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한국기계연구원은 연구원이 주관하는 '플라즈마 활용 폐유기물 고부가가치 기초원료화 사업단'이 혼합된 폐플라스틱을 선별 작업 없이 플라스틱 원료로 재활용할 수 있는 플라즈마 전환 공정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사업단에는 한국화학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못생긴 ‘심해어’, 새로운 계보 등장하나 동물들은 지진을 예측할 수 있을까 해수담수화의 환경 딜레마 자석 하나로 우주에서 산소를 더 쉽게 만드는 방법 수소연료전지 촉매의 성능 저하 과정, 원자 수준에서 밝혔다 버려지는 흑연 부산물로 고순도 흑연 음극재 만든다 "2달러로 마비 가능" KAIST 익명 인터넷 '토르' 취약점 찾았다 후각이 뇌를 속인다…"이건 냄새가 아니고 맛이야" 만성통증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근거 기반 의학에서 정밀 의료로 전기·태양광 없이 그린 과산화수소 만든다 속보 뉴스 차세대 소듐냉각고속로 핵연료 제조 용기 신소재 개발 "美 서머타임 폐지하면 비만 260만·뇌졸중 30만명 예방 가능" 국가 AI전략위 분과위 구성 완료…고삼석 등 52명 추가 위촉 '이태원 참사 막자' KAIST, AI로 군중 밀집 예측 자폐 환자의 과도한 공포·불안 이유 찾았다…뇌 회로 규명 "사람 근육의 30배 능력"…UNIST, 변형 자유로운 인공근육 개발 KISTI·서울대, 천체 자체 중력 빠르게 계산하는 기술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