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7-29 부경대 연구팀, 이차전지 NCA 양극재 성능 저하 극복 기술 개발 NCA 전구체 이온 교환 기반 개질 기술 개발 ⓒ부경대 제공 국립부경대 연구팀이 고에너지 밀도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NCA 양극재의 구조적 결함을 줄이고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국립부경대 고민성 금속공학전공 교수, 채수종 에너지화학소재전공 교수 연구팀은 NCA 전구체 내 음이온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7-25 UNIST "폐수에서 그린 암모니아 생산하는 태양광 시스템 개발" 연구 그림. 폐수 속 질산염을 암모니아로 바꾸는 광전기화학 시스템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폐수 속 질산염을 고부가가치 에너지원인 암모니아로 바꾸는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서관용·장지욱 교수팀은 햇빛을 이용해 폐수에 있는 질산염에서 암모니아를 얻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7-25 빛 쪼여 원할 때만 유전정보 '쏙'…KAIST, 릴리저 기술 개발 생쥐를 대상으로 한 '릴리저' 기술 실험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허원도·박용근 석좌교수 연구팀이 빛을 이용해 단백질과 mRNA(메신저 리보핵산·유전정보로부터 단백질을 번역해 생성하는 중간 과정의 전령RNA)를 원하는 시점에 저장·방출할 수 있는 '릴리저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7-24 UNIST "붙였다 떼기만 해도 전기신호 만드는 접착필름 개발" 연구 그림. 마찰전기 접착 필름의 구조와 전기 신호 크기, 접착 강도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붙였다가 떼는 동작만으로 전기 신호를 만드는 접착 필름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 기계공학과 정훈의 교수팀은 접착력과 전기 출력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마찰전기 발전 필름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연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7-23 국내 연구진, 고가 장비 없이도 2시간내 식중독균 검출기술 개발 식중독 주의보(일러스트) 제작 김해연 ⓒ연합뉴스 제공 국내 연구진이 기존보다 간소화한 절차로 신속하게 식중독균을 검출할 수 있는 유전자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건국대 생물공학과 박기수 교수 연구팀이 대장균(O157:H7)과 리스테리아균을 감별하는 '엠플래시'(M-FLASH)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7-22 아주대·가톨릭대 "mRNA 치료제 효율성 높일 분석기술 개발" 아주대는 가톨릭대와 공동 연구를 진행해 메신저 리보핵산(mRNA) 치료제의 핵심 구조를 정밀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 개요도 ⓒ아주대 제공 mRNA 치료제는 세포에 특정 질병에 대한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단백질을 만들도록 지시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학계에서는 유전질환 및 자가면역질환 치료와 관련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7-21 공기 중 슈퍼박테리아 실시간 포착…간편하게 현장서 검출 슈퍼박테리아 현장 검출 기술 개발한 생명연 연구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나노연구센터 임은경 박사 연구팀은 연세대 황정호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공기 중에 떠다니는 슈퍼박테리아를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는 진단 기술 'CN-TAR'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연구팀은 유전자 편집 기술인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7-21 UNIST·생기연 "대기오염 질소산화물 효율적 제거 촉매 개발" 연료를 태우는 곳이면 어디서든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인 질소산화물을 넓은 온도 범위에서 제거할 수 있는 촉매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신소재공학과 조승호 교수팀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울산기술실용화본부 김홍대 박사팀이 섭씨 240∼400도에서 질소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는 탈질(질소산화물 제거) 촉매를 개발했다고 17일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7-18 종이처럼 접히는 하이드로젤로 정교하게 약물 전달 하이드로젤 미세 기공 작동원리 모식도 ⓒ윤현식 교수 제공 한국연구재단은 서울과학기술대 윤현식 교수와 서울대 이원보 교수 공동 연구팀이 하이드로젤 미세 기공을 종이접기처럼 설계해 팽창 시 정밀하게 약물을 전달할 수 있는 제어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하이드로젤은 온도나 산도(pH) 같은 환경 자극에 따라 물을 흡수하거나 방출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07-18 KIST, '약물 전달체' 엑소좀에 섞기만 해도 mRNA 담는 기술 개발 큐보좀과 엑소좀의 혼합을 통한 약물 로딩기술 ⓒKIST 제공 차세대 약물 전달체로 꼽히나 큰 분자 약물을 넣기 어려웠던 엑소좀에 10분 내로 큰 분자를 빠르게 담을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생체분자인식연구센터 김호준 선임연구원, 뇌융합연구단 김홍남 책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이 단순히 섞기만 해도 분자량이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구름 한 덩이의 무게는 약 1000톤? 운동 싫은 ‘E’, ‘이런 운동’ 어때요? 모기 침에서 발견된 새로운 바이러스 감염 경로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새 차 냄새'는 200개 이상의 화학물질의 혼합물이다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뇌 노화 속도도 빨라졌다" 거미 고향은 바다?…거미 뇌구조 가진 해양 절지동물 화석 발견 주 4일제 시행해보니…"번아웃 감소·직무만족 개선 효과" 우주진화 비밀 풀리나…'별 없는 은하' 후보군 무더기 발견 "북극 겨울, 녹는점 도달…북극해 스발바르 제도가 녹고 있다" "사진 한 장으로 반려견 3D 아바타 만든다"…UNIST, AI기술 개발 속보 뉴스 부경대 연구팀, 이차전지 NCA 양극재 성능 저하 극복 기술 개발 '외계 생명체 증거'라던 논문, 15년 만에 철회 "하나의 패킷만으로 통신 마비 가능" 스마트폰 보안 취약점 발견 생명연, 세계 최초로 '조로증' 치료 가능성 열었다 "코로나19 백신, 2020년부터 전 세계 250만명 생명 구했다" ETRI "미디어 국제표준 특허 2천건·기술료 1천억원 돌파" "실외 대기오염에 장기간 노출되면 치매 위험 커진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