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소재·신기술 정회빈 리포터 2025-11-05 [점자의 날 특집] 초소형 폭발로 만드는 점자 디스플레이 11월 4일 점자의 날을 맞아,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소개된 ‘폭발 구동 점자 디스플레이’ 기술을 소개한다. 연료 가스를 미세 스파크로 점화하면 작은 폭발을 만들어지면서 실리콘 돔이 뒤집히고 점자가 만들어진다. 여러 줄로 한꺼번에 표현이 가능하고 휴대성과 유지보수가 개선되어, 시각장애인의 문자 접근권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11-05 켄텍, 세계 최고 수준 효율 알칼라인 수전해 전극 개발 공동 스퍼터링 기술 적용한 알칼라인 수전해 전극 ⓒ 한국에너지공대 제공 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KENTECH·켄텍) 연구진이 그린수소 생산 효율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전극 기술을 선보였다. 4일 켄텍에 따르면 에너지공학부 김창희 교수 연구팀이 넓은 면적에 균일하게 기술을 적용하는 대면적 제조 공정을 이용한 이황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11-05 "차세대 리튬메탈전지 화재 위험↓"…고체 전해질 필름 개발 KAIST·서울대 연구팀 ⓒ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변혜령 교수 연구팀은 서울대 손창윤 교수팀과 공동으로 리튬메탈전지 용 유기 고체 전해질 필름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리튬메탈전지는 흑연계 음극재를 리튬메탈로 대체해 기존 리튬이온전지보다 음극재 무게와 부피를 크게 줄여 에너지 밀도와 주행거리를 대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11-04 '로봇의 눈' 초소형 적외선센서 열처리 없이 상온에서 만든다 KAIST·고려대·홍콩대 공동 연구팀 왼쪽부터 김지태·오승주·티안슈 자오 교수 ⓒ 연합뉴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김지태 교수, 고려대 오승주 교수, 홍콩대 티안슈 자오 교수와 공동으로 상온에서 10㎛(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 이하의 초소형 적외선 센서를 제작할 수 있는 3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11-04 한국재료연구원·광주과학기술원, 첨단 융합기술 발전 '맞손' 재료연·광주과기원 업무협약 ⓒ 재료연 제공 한국재료연구원(KIMS, 이하 재료연)이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첨단 융합기술 분야 상호 발전을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재료연은 지난달 31일 광주과학기술원 행정동 대회의실에서 광주과학기술원과 이런 내용의 업무협약을 했다고 3일 밝혔다. 이에 따라 두 기관은 에너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11-04 "배터리 교체·충전 No" 마찰전기 이용한 나노발전기 개발 마찰전기 나노발전기를 이용한 LED 점등 실험 ⓒ 이주혁 교수 제공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충전하지 않아도 웨어러블 기기를 구동할 수 있는 나노발전기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이주혁 교수 연구팀이 전자 회로 없이도 안정적으로 직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이온성 직류 마찰전기 나노발전기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11-03 순천향대 교수팀, 폐배터리 속 리튬·니켈 분리 신기술 개발 원스텝 전기화학 분리시스템 모식도 ⓒ 순천향대 제공 순천향대는 에너지공학과 조용현 교수 연구팀이 폐배터리 속 리튬, 니켈, 코발트를 한 번의 공정으로 동시에 분리해내는 전기화학 기반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케미컬 엔지니어링 저널'에 게재됐다. 기존의 금속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10-31 테이블·해먹 변신 뚝딱…KIST '오노봇' 로봇 디자인대회 최고상 여러 모듈로 구성돼 다양한 조합이 가능한 오노봇 ⓒ K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지난 8월 국제 로봇 및 인간 인터랙티브 커뮤니케이션 학술대회(RO-MAN) 로봇디자인 대회에서 지능·인터랙션연구센터 곽소나 선임연구원, 임윤섭 책임연구원 팀이 개발한 야외 친화형 모듈형 로봇 가구 시스템 '오노봇'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10-31 UNIST, 세포 죽이는 신기술 개발…"피부암 치료에 활용 가능성" 광 스위칭 분자의 작동원리 개념도 ⓒ UNIST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자외선과 가시광선을 번갈아 쬐어 세포를 죽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화학과 유자형 교수팀은 빛의 파장에 따라 조립과 분해를 반복할 수 있는 광 스위치 분자인 'Mito-AZB' 분자를 개발했다. 이 분자는 세포의 미토콘 신소재·신기술 연합뉴스 2025-10-30 머리카락보다 가는 코일 실로 가볍고 강한 근육 옷감 대량생산 한국기계연구원 박철훈 책임연구원 연구팀 ⓒ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한국기계연구원 박철훈 책임연구원 연구팀은 가볍고 강력한 근육 옷감을 연속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자동 직조기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근육 옷감 직조기는 머리카락 굵기의 4분의 1 수준인 지름 25㎛(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m)의 형상기억합금을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실명 위기의 노인들에게 찾아온 빛, 2mm 칩이 시력을 되살리다 과학의 변곡점마다, 언제나 물리학이 있었다 [점자의 날 특집] 초소형 폭발로 만드는 점자 디스플레이 땅에서 하늘, 그리고 우주까지: 태양광 발전의 새로운 영토들 LTE 핵심 네트워크 보안허점 규명…미인증 메시지로 통신 마비 "눈 망막 혈관 밀도 낮을수록 심혈관질환 위험 커져" 탈크 속 석면, 발암 위험의 핵심 고리로 밝혀지나 "배터리 교체·충전 No" 마찰전기 이용한 나노발전기 개발 "심근경색 후 심장에 직접 붙여 회복 돕는 약물전달 패치 개발" 면역세포가 바이러스 아닌 우리 몸 공격하는 원리 밝혔다 속보 뉴스 '국가과학자' 신설…이공계 인재 육성 전면 개편(종합) 온난화로 녹은 해빙, 바다의 거대한 물결 섞임 만든다 첫 'AI 혁신연구 챔피언' 나왔다…최대 30억원 R&D 지원 AI시대 분산에너지 미래 열까…전기연 '선제적 가상발전소' 개발 최근 10년간 아시아 폭염일수 증가…지역별 폭염 유형 달라 달 유인탐사 임무기간 2배 늘린다…우주방사선 막는 '방패' 개발 대덕특구 1호 입주 표준연 50돌…양자·우주 측정기술 연구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