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6-16 영하 196도에서 고압 견디는 우주발사체용 부품 시험 성공 우주발사체용 티타늄 고압 용기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3D 프린팅으로 제작한 대형 티타늄 합금 용기가 극저온 조건에서 고압을 견디는 시험에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생기원이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케이피항공산업, 에이엠솔루션즈, 한양대와 공동으로 개발한 이 용기는 영하 196도의 극저온 조건에서 330바(bar)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6-12 우주청, 태양 반경 3~8배 코로나서 온도 변화 포착…세계 최초 코로나 스트리머를 관측한 CODEX와 LASCO 코로나그래프 이미지 합성 영상. 오른쪽 아래 그림은 CODEX가 관측한 스트리머 주변의 온도 분포(필터비 영상)를 나타냄 ⓒ우주항공청 제공 우주항공청과 한국천문연구원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공동 개발한 태양 코로나그래프(CODEX)의 관측자료를 분석해 태양으로부터 방출되는 코로나 온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6-12 "제임스웹, 310광년밖 어린별 주위서 독특한 외계행성 2개 포착" 나이가 1천600만년밖에 안 된 태양형 별 주위에서 대기에 규산염 구름(silicate clouds)이 있는 외계행성과 먼지·가스 등으로 이뤄진 행성 주변 원반(circumplanetary disk) 속에 있는 외계행성이 포착됐다. 규산염 먼지구름이 있는 외계행성(왼쪽)과 행성 주변 원반 속 외계행성 상상도. 1천600만년 된 태양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6-09 "태양 5분의1 크기 작은 별 주위서 토성급 거대 외계행성 발견" 수백광년 밖에 있는 태양 5분의 1 크기의 적색왜성(red dwarf.TOI-6894) 주위에서 토성급 가스형 외계행성(TOI-6894b)이 발견됐다. 연구진은 이는 지금까지 발견된 것 중 가장 작은 별 주위에서 포착된 거대 행성으로 기존 행성 형성 이론으로는 설명이 안 되는 새로운 수수께끼라고 말했다. "태양 5분의 1 크기 별 주위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6-05 우리은하-안드로메다 충돌은 필연?…"충돌 피할 수도 있다" 우리은하와 이웃 안드로메다은하가 계속 가까워지면서 50억년 후 충돌할 것이라는 통설과 달리 100억년 안에 두 은하가 충돌하지 않을 확률이 50%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우리은하와 안드로메다은하의 만남에 대한 세 가지 미래 시나리오. 최신 관측 데이터를 반영해 향후 100억년 간 우리은하(Milky Way)와 안드로메다은하(Androm 별들의 후손이 들려주는 천문학 이야기 김민재 리포터 2025-06-04 유럽의 별을 쏘다, ESA의 반세기 여정과 찬란한 도전 (2) ESA는 지난 반세기 동안의 경험과 성과를 토대로 새로운 시대에 걸맞은 전략적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핵심은 바로 '우주 자립'이다. 과거 미국이나 러시아의 기술과 인프라에 의존했던 유럽이 이제는 독자적인 발사체, 통신망, 위성 시스템, 심우주 탐사 계획까지 추진하며 독립적 우주 강국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6-04 국내 첫 금성 탐사 프로젝트 위한 초소형위성 제작 착수 클로브샛의 임무 개념도 ⓒIBS 제공 국내 첫 금성 탐사 프로젝트를 위한 초소형위성의 제작이 시작됐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위성 운용업체인 나노애비오닉스가 IBS 기후·지구과학연구단 행성대기그룹의 '금성 장기 관측 프로젝트'(CLOVE·클로브)를 위한 첫 번째 초소형위성 제작업체로 선정돼 별들의 후손이 들려주는 천문학 이야기 김민재 리포터 2025-06-03 유럽의 별을 쏘다, ESA의 반세기 여정과 찬란한 도전 (1) 1975년 유럽 각국은 흩어진 우주 개발 역량을 하나로 모아 '유럽우주국(ESA: European Space Agency)'을 공식 출범시켰다. 이 역사적인 결정은 단순한 협력을 넘어 과학기술의 통합과 유럽의 자주적인 우주 진출을 향한 강력한 의지를 상징했다. ESA 출범 50주년을 기념하며 ESA가 달려온 여정과 찬란한 도전, 그 성과에 대해 조명해 본다.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5-30 "44분마다 X선+전파 동시 방출 천체 포착…새로운 우주현상" 지구에서 1만5천광년 떨어진 우리은하 내부에서 44분 간격으로 X선과 전파를 동시에 방출하는 '장주기 전파 천체'(LPT : long-period radio transients)가 처음으로 포착됐다. X선-전파 동시 방출 '장주기 전파 천체'(LTP) ASKAP J1832-0911 주변 하늘. 44분마다 X선과 전파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5-27 누리호 실려 우주로 간 차세대 소형위성 2호 2년간 임무 완수 차세대 소형위성 2호 임무 상상도 ⓒKAIST 제공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에 실려 우주로 쏘아 올려진 차세대 소형위성 2호가 지난 2년간의 임무를 성공리에 마쳤다. 25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우주연구원에 따르면 2023년 5월 25일 오후 6시 24분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 3차로 발사한 차세대 소형위성 2호가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치매 예방하는 ‘마사지’, 효과 입증했다 눈을 감고도 어둠 속을 볼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역류가 대사 질환을 유도하는 메커니즘 발견 알츠하이머병 감별하는 혈액 단백질 찾았다…"진단 활용 기대" 아기 습진, 너 좀 없어지면 안되겠니? "햇빛만으로 버려진 페트병에서 수소 생산" 친환경 기술 개발 "남녀 수학 성취도 격차, 초등 입학 4개월만에 나타나기 시작" ETRI, 스스로 배워 수면 상담해주는 AI 에이전트 개발 KAIST, 간의 미세한 노화 신호 잡아내는 분석 플랫폼 개발 영하 196도에서 고압 견디는 우주발사체용 부품 시험 성공 속보 뉴스 "만성 요통 위험 줄이는 데는 많이 걷는 게 효과적" 1천800년 전 경주 월성에 묻힌 개는 동경이?…유전자 비밀 푼다 체중 감량 효과 비교해보니…"비만 수술이 약물 치료의 5배" "개코원숭이도 어렸을 때 아빠 보살핌 받은 딸이 더 오래 산다" 몸속 암 찾는 박테리아로 실시간 암 위치 식별…수술 정밀도 ↑ "텔로미어 짧으면 뇌질환 위험↑…예방책은 건강한 생활습관" 스스로 전자 수준 정보 배워 물성 예측하는 AI…"정확도 2배↑"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