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8-14 한국 첫 유인우주선 동반 '큐브위성' NASA 향해 우주항공청(청장 윤영빈)은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 2호'에 탑재될 우주방사선 측정 큐브위성 'K-라드큐브'(K-RadCube) 개발을 완료, 미항공우주국(NASA) 케네디우주센터로 이송한다고 12일 밝혔다. 이송 앞두고 최종 기능 시험 중인 K-라드큐브 ⓒ우주항공청 제공 국내 최초로 유인 우 별들의 후손이 들려주는 천문학 이야기 김민재 리포터 2025-08-12 [광복절 특집] 우리 손으로 만든 첫 인공위성, 우리별 1호 1992년 우리별 1호 발사로 한국은 세계 22번째 인공위성 보유국이 되었고, 이후 다양한 위성과 발사체 개발을 통해 우주기술을 확장했다. 2022년 독자 기술로 누리호 발사에 성공하며 세계 7번째 1톤급 실용위성 자력 발사국이 되었고, 달 궤도선 다누리 발사에도 성공했다. 2024년 출범한 우주항공청은 2045년 세계 5대 우주강국 도약을 목표로 달·화성 탐사와 재사용 발사체 개발을 추진 중이다.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8-08 달 궤도선 다누리, 세계 4번째 '달 전체지도' 완성 다누리 광시야편광카메라가 관측한 달 전면지도 ⓒ우주항공청 제공 우주항공청은 5일 달 궤도선 다누리 발사 3주년을 맞아 경남 사천 우주청사에서 관측 성과를 공유하는 성과발표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다누리에 탑재된 고해상도카메라는 2032년 발사될 달 착륙선 착륙 후보지에 대한 영상을 확보하고 있다. 광시야편광카메라는 지난해까지 촬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8-06 나노위성 '도요샛' 슈퍼 태양폭풍 속에서도 우주날씨 관측 성공 도요샛 이미지(상상도)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한국천문연구원은 초소형 인공위성인 '도요샛'(SNIPE)을 이용해 슈퍼 태양폭풍 속에서도 근지구 우주환경(우주 날씨)의 변화를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도요샛은 천문연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공동으로 개발한 중량 10㎏ 이하의 나노급 위성 4기로 구성된 큐브위성군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7-23 우주진화 비밀 풀리나…'별 없는 은하' 후보군 무더기 발견 암흑은하 후보 A215217의 가시광 컬러 영상(왼쪽)과 중성수소 관측을 통해 얻은 스펙트럼(오른쪽) ⓒ서울대학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우주 진화를 설명하는 열쇠로 꼽히는 '암흑 은하' 후보군을 무더기로 발견했다. 서울대는 황호성 물리천문학부 교수 연구진이 미국 국립전파천문대(NRAO) 윤일상, 브라이언 켄트 박사와 함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7-21 한국, 2045년 달 기지 세운다…우주청 로드맵 발표 대한민국 우주탐사 로드맵 달 탐사 부문 ⓒ우주청 제공 우리나라의 우주탐사 비전이 '우주 경제 영토와 인류 지식 확장'으로 설정됐다. 우주항공청은 17일 대전 유성구 한국연구재단에서 '대한민국 우주탐사 로드맵' 공청회를 열어 2045년까지 추진할 한국 우주탐사 비전과 중장기 전략을 공개했다. 이번 로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7-18 "달 토양서 물 추출→물과 CO₂를 산소·연료물질로 전환 성공" 중국 연구진이 햇빛과 열을 이용해 달 토양에서 물(H₂O)을 추출하고 달 토양의 광열 촉매 반응으로 물과 이산화탄소(CO₂)를 연료 제조나 우주비행사 호흡에 필요한 산소(O₂)와 수소(H₂), 일산화탄소(CO)로 바꾸는 데 성공했다. 달 토양의 물과 이산화탄소를 산소·수소·일산화탄소로 바꾸는 광열반응 설명 그림. 중국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7-18 "기체 응축돼 고체 광물 형성되는 초기 외계행성계 첫 포착" 지구에서 1천300광년 떨어져 있는 100만년도 안 된 어린 별 주위에서 뜨거운 일산화규소(SiO) 가스가 응축돼 행성 재료인 뜨거운 고체 광물 입자가 만들어지기 시작하는 초기 외계행성계가 처음으로 포착됐다. 형성 중인 초기 외계행성계 포착된 1천300광년 밖 어린 별 'HOPS-315' 칠레의 대형 전파망원경 '아타카마 항공·우주 연합뉴스 2025-07-14 블랙홀 고리 찌그러진 이유, 아인슈타인 중력이론으로 설명 못해 M87 블랙홀 고리가 찌그러진 이유 시뮬레이션 ⓒ사건지평선망원경 제공 블랙홀의 고리가 찌그러진 이유를 아인슈타인의 중력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천문연구원이 참여한 '사건지평선망원경'(EHT) 국제 공동 연구팀은 거대 은하 'M87' 중심부에 있는 '초대질량 블랙홀 별들의 후손이 들려주는 천문학 이야기 김민재 리포터 2025-07-08 우주에서 온 세 번째 편지: 성간 혜성 3I/ATLAS가 전하는 우주의 비밀 2025년 7월 1일, 칠레 리오 우르타도에 위치한 NASA 지원 ATLAS(소행성 지구 충돌 최종 경보 시스템) 망원경이 특이한 궤도를 가진 천체를 포착했다. 그리고 칠레의 한 망원경이 포착한 작은 빛점 하나가 천문학계를 다시 한번 흥분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다. 그것은 바로 우리 태양계 밖에서 온 세 번째 우주의 편지, "3I/ATLAS"였다. 초기 분석 결과 이 천체는 태양의 중력으로는 묶을 수 없을 만큼 높은 속도로 움직이고 있어 성간 기원임이 확인되었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땀방울’은 사실 ‘땀 막’이었다? [광복절 특집] 대한민국 과학을 비춘 초강력 빛, 포항방사광가속기 [광복절 특집] 우리 손으로 만든 첫 인공위성, 우리별 1호 리튬 보충제가 알츠하이머병을 치료할 수 있다? 아직 늦지 않았다…어른 뇌에도 새 신경세포 자란다 "접었다 폈다 자유자재로 가능" KAIST, 로봇 종이 개발 지질연, 에너지 저장장치에 폐배터리 새활용 기술 개발 '인공태양' KSTAR, 핵융합 상용화 핵심 기술 확보 '설탕만큼 달지만 저칼로리' 알룰로스 만드는 천연 미생물 찾아 청각의 시간차 잡아내는 ETRI 오디오 기술, 국제표준 반영 속보 뉴스 '더우면 알아서 냉수 공급'…닭 폐사율↓·달걀 품질↑ 자기장 기반 의료용 마이크로로봇 인체 속 이동·추적·치료까지 머리카락 굵기 8분의 1 OLED 넣은 렌즈로 눈 질환 검사한다 흑사병, 가축에서 왔나…"4천년 전 양에서 페스트균 게놈 확인" 한국 첫 유인우주선 동반 '큐브위성' NASA 향해 "데이터 드립니다 연구하세요"…과기부, 자율주행 AI 챌린지 암 표적 단백질만 알면 신약 찾아준다…AI 설계 모델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