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부모 지침서 김민재 리포터 2025-04-17 출산 후 우울증: 아내와 남편이 함께 극복해야 할 여정 온갖 어려움에도 책임감 하나로 버티고 있는 이 땅의 모든 부모들을 위해서 출산 후 우울증을 겪는 아내의 고통스러운 현실과, 이 상황에서 남편이 느끼는 어려움, 그리고 함께 이겨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4-17 "빠르게 걷기, 심방세동 등 심장 리듬 이상 위험 30~40% 낮춰" 설악산 '달마! 능선길 걷기' 2024년 9월 29일 강원도 설악산 달마봉 능선길에서 열린 걷기 행사 모습 ⓒ연합뉴스 제공 시속 5~6㎞ 이상의 평균 또는 빠른 속도로 걸으면 심방세동이나 빈맥(빠른 심장 박동), 서맥(느린 심장 박동) 같은 부정맥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글래스고대 질 P.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4-17 "뇌에서 논리적 사고·문제 해결 담당 영역 찾았다" 대뇌피질(파란색 부분이 전두엽) ⓒ위키백과 제공 뇌졸중이나 뇌종양 등으로 뇌 특정 부위가 손상된 환자들에 대한 실험 연구에서 우측 전두엽이 논리적 사고와 문제 해결 같은 추론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 조지프 몰 박사팀은 16일 신경학 저널 브레인(Brain)에서 좌&midd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4-16 항암치료 방해하는 세포만 골라 제거하는 면역항암제 개발 펩타이드 신약 'TB511' 투여 전(왼쪽)과 후(오른쪽)의 종양미세환경 변화 ⓒ배현수 교수 제공 국내 연구진이 항암치료를 방해하는 세포만 골라 제거할 수 있는 면역항암제를 개발했다. 한국연구재단은 경희대 배현수·강성호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 성장을 돕는 M2 대식세포만 골라 선택적으로 사멸할 수 있는 면역 신비로운 생명체, 쌍둥이 김민재 리포터 2025-04-15 일란성 쌍둥이들은 텔레파시를 주고받을까? 흔하게 만날 수 있지 않아 더 신비하고 매력적인 ‘쌍둥이’. 특히 일란성(identical), 이란성(fraternal) 쌍둥이 사이의 차이점과 유사점은 '유전 vs 환경' 논쟁에 중요한 증거를 제공하고 있다. 쌍둥이는 유전적, 환경적 영향의 복잡한 관계를 보여주는 살아있는 증거로서,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 인간 정체성의 본질과 우리가 서로 연결되는 방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그들의 유사성과 차이점은 유전과 환경이 인간에게 어떻게 상호작용하며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4-15 뇌 속 별세포 발현 단백질 억제해 단기 기억력 높인다 알츠하이머 모델 생쥐에서 SIRT2 발현이 증가한 모습 ⓒIBS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알츠하이머 치매에 관여하는 뇌 속 단백질을 찾아냈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사회성 연구단 이창준 단장, 므리둘라 발라 박사후연구원 연구팀은 뇌 속 별세포가 발현하는 단백질 '시트루인2'(SIRT2)가 기억력 손상을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4-15 "항생제 내성균 감염으로 인한 어린이 사망 연 300만명 넘어" 2022년 지역별 항생제 내성균 관련 어린이 사망자 ⓒESCMID 제공 항생제 내성균(AMR : antimicrobial resistance) 감염 및 관련 합병증으로 숨지는 어린이가 연간(2022년 기준) 300만명이 넘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브라운대 조지프 하웰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14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4-14 농진청 "병원균 제어 환경서 돼지 사육하면 장기 이식 적합성↑" 농진청 이종 이식용 돼지 ⓒ농촌진흥청 제공 농촌진흥청은 사람에게 장기 제공을 목적으로 개발하고 있는 이종 이식용 돼지의 사육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생체 특성을 과학적으로 규명했다고 10일 밝혔다. 돼지는 장기 크기나 생리적인 특성이 사람과 유사해 장기 이식용으로 가장 유망한 동물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발간한 '이종이식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4-14 인제대 연구팀, 스마트폰으로 치매·파킨슨병 조기진단 기술개발 인제대 연구팀 논문 ⓒ인제대 제공 인제대학교 연구팀이 스마트폰과 연동해 치매,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 질환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초고감도 바이오센서 기술을 개발해 눈길을 끈다. 이번 진단은 기존 검사보다 간편하고 저렴하면서도 정확도를 높여 병원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서도 누구나 손쉽게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5-04-11 "전분 기반 생분해성 플라스틱도 동물실험서 건강 문제 유발" 전분 기반 생분해성 미세플라스틱이 생쥐에게 미치는 영향 실험. 연구팀은 생쥐를 전분으로 만든 생분해성 플라스틱 미세입자에 3개월간 노출하는 실험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간·난소 등 장기 손상과 혈당 수치 증가, 지질 대사 이상 등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이 논문, 사람이 심사한 걸까?” AI가 바꾸는 과학 논문 심사의 미래 안전한 땅을 위해서는 지하수를 지켜라 일란성 쌍둥이들은 텔레파시를 주고받을까? "세계 플라스틱 생산량 중 재활용 소재로 만든 건 10% 미만" 인제대 연구팀, 스마트폰으로 치매·파킨슨병 조기진단 기술개발 KAIST·경상대, 차세대 리튬금속전지 수명 높인 전해질 개발 농진청 "병원균 제어 환경서 돼지 사육하면 장기 이식 적합성↑" “어서와 과학 팝업은 처음이지?” 과학과 팝업이 만든 놀이문화 ‘별별잡화점’ 뇌 속 별세포 발현 단백질 억제해 단기 기억력 높인다 화학硏,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이용해 유연한 열전소재 개발 속보 뉴스 "우주 자체가 회전할 수도"…허블 수수께끼 해결 가설 제시 "스타워즈 '타투인' 행성처럼 해가 2개 뜨는 외계행성 발견" KAIST, AI 이용해 자연에 없는 효소 설계 가능성 제안 美서 원자로 원조받던 나라에서…66년만에 역수출 이뤘다 "사탕수수 찌꺼기와 햇빛으로 이산화탄소 배출 없는 수소 생산" 표준硏, 6G 저궤도 위성통신 성능 검증할 측정표준 개발 KAIST, 뇌처럼 스스로 정보 처리·학습하는 반도체 소자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