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 식물학대상 : 초등 저학년과학적 설명 :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상록침엽수인 소나무 표면관찰한 사진이다.(현미경 배율 140배)주관/미학적 설명 : 소나무의표면을 140x 확대해서 관찰해 보니, 벌집모양이 나타났다. 완벽한 정육각형의 벌집은 아니지만 금방이라도 꿀이 쏟아질 것만 같다. 충북오송바이오진흥재단, 충북대학교 제공| 바이오현미경 사진전 수상작 저작권자 2012-05-22 ⓒ ScienceTimes 태그(Tag)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침팬지도 힘들땐 모여서 음주를 한다 [2025노벨상] 면역계의 '브레이크' 발견이 가져온 의학 혁명 건강한 미토콘드리아를 활용한 재생 치료, 세포 속 에너지로 힘줄을 살리다. 한국 연구진, 노벨상 이론 뒤집어…"우주는 가속팽창하지 않아" 수면 중 성장호르몬이 분비되는 뇌 회로 제시 하늘 아래 ‘같은 색’, 있다? 없다? 대마초 여성 생식력에 미치는 충격적 영향: "염색체 이상 증가로 임신 성공률 떨어뜨려" DGIST "8㎞ 밖 소형드론도 식별 AI 안티드론 기술 개발" "파킨슨병환자 배아줄기세포 치료로 지휘봉 다시 잡았다" 알레르기 원인 물질과 미세먼지 동시 마시자 폐 면역 약화 속보 뉴스 과기한림원, 'AIx신소재' 주제 한림원탁토론회 개최 한·IAEA 다자간 방사선 기술 국제공동회의 대전서 열려 "아토피 아동, 라면·햄버거 등 먹으면 가려움 최대 2배로 증가" UNIST, 미세먼지 연구…"서울에선 식히고, 멕시코에선 데우고" 예술·과학 어우러진 '2025 아티언스 대전' 24일 개막 코레일·샬롬엔지니어링, 열차 전방 장애물 감지 장치 개발 우주청, ADEX 2025 첫 참여…우주항공관서 한국 기술 선보인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