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좀비로 변한 인류를 그린 ‘나는 전설이다(I am Legend)’와 하루아침에 폐허가 된 지구에서 살아남기 위한 인간의 사투를 다룬 ‘더로드(The Road)’ 등 인류의 멸종 위기를 다룬 영화와 책들이 최근 쏟아지고 있다.
약 46억 년 전 가스운(먼지, 얼음)으로부터 시작된 원시지구에서 10억년 후, 최초의 생명인 단세포 미생물(박테리아와 남조류)이 탄생했다. 그 후로부터 지금까지 36억년의 긴 시간 동안 지구상에 존재했던 생물 종의 99%는 멸종했다. 그 중 극히 일부는 지층 속에 화석으로 남아 당시의 지질학적 시대와 환경을 말해주고 있다.
삼엽충 화석의 보고, 영월·태백
NTTP경기도중등지구과학과교육연구회에서 주최하는 영월-태백지역 지질 탐사 교원 연수를 12일,13일 양일간 동행 취재했다. 영월지역 지질 및 식물화석 탐사를 시작으로 태백고생대자연사박물관 탐방, 태백지역 지질 및 화석 탐사에 이르기까지 빡빡한 일정이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 고생대 표준 화석인 삼엽충의 흥망성쇠를 따라가 봤다. 정연순 태백고생대자연사박물관장에 따르면 태백지역의 하부고생대층(태백층군)에는 바다에서 쌓인 지층이 두껍게 퇴적되어 있어 삼엽충, 완족류, 두족류 등 바다생물화석이 다량 산출된다.
박물관 내에서 이루어진 강연에서 권홍진 교사는 “삼엽충은 크기가 수 mm에서부터 70cm에 이르고 현재까지 약 1만여 종이 보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약 200여 종이 발견되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약 5억2천만 년 전 지구상에 출현하여 바다 생물계를 지배하던 삼엽충은 언제, 왜 사라졌을까?
전 지질시대에 걸쳐 크고 작은 멸종이 있었지만 지금까지 알려진 대멸종은 5번이며, 모두 고생대에서 중생대 사이에 발생했다. 전기 고생대 말(오르도비스기)에 빙하기를 맞으면서 따뜻한 바다에서 서식했던 생물들이 사라졌다. 삼엽충도 이때 멸종했을까?
박물관에 따르면 많은 수의 완족동물, 태선동물, 극피동물 등이 당시에 사라졌지만 삼엽충은 이러한 기후 변화를 견디고 계속해서 번성했다.
하지만 약 2억4천500만 년 전, 800만 년에 걸친 페름기 대멸종 때, 삼엽충은 영원히 지구상에서 사라졌다. 바다생물뿐만이 아니라 육상생물, 특히 파충류 등이 멸종하고 그 자리를 공룡이 서서히 메워갔다.
환경변화에 적응해야
수많은 종들이 지구에 나타났다가 사라졌다. 도태된 종과 진화한 종 사이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자신을 변화시키며 진화를 거듭한 결과 끊임없이 변화하는 지구환경에 적응한 종은 살아남고 적응하지 못한 종은 멸종했다.
인류와 지구의 멸망을 다룬 대부분의 영화와 책들이 하고 싶은 이야기는 지구 멸망의 순간에도 인간이 끝내 지키고자 하는 그 무엇이다. 당신이라면, 무엇을 남길 것인가?
다음은 이번 교사연수를 주최한 경기도중등지구과학과교육연구회장 안락규 서정중학교 교장과의 일문일답.
-1년에 야외탐사는 몇 회 정도 하나?
우리 연구회는 2006년 ‘경기도지구과학교사연구회’로부터 시작하여 올해 ‘NTTP경기도중등지구과학과교육연구회’로 정식 출범했다. 학생들을 위한 체험활동은 연 40여 회 정도이며 교사 연수는 연 1~2회 정도이다.
-현재 계획하고 있는 일정은
11월 19일에 경희대학교에서 교사들을 위한 김성수 교수의 우주론 특강이 있다. 고등학교 1학년 융합과학에 포함된 우주론을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에게 수업할 때 교사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이해를 돕고자 개설했다. 이 외에도 동계 세미나와 내년 1월 말에 6박8일 동안의 하와이 지질 답사가 예정되어 있다.
-야외 조사 및 탐사를 기획하는 이유는
개정된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이 중요하다. 그러나 학교 단위에서는 여건상 단순한 견학에 그치기 쉽다. 각 시군별 연구회로 선정된 25개 연구회 중 하나인 우리 연구회는 보다 많은 예산을 투자할 수 있다. 또한 연구회에서 활동하는 교사들이 직접 강사로 투입되어 보다 진지한 탐사가 이루어진다. 교사들을 위한 연수를 통해 학교 안과 밖 체험활동 운영 방법을 습득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그 외 활동은
야외 답사 및 교사 연수 외에도 교재 개발, 수업 연구 등을 각 분과별로 하고 있다.
-교사가 연구회에 가입하거나 학생들이 체험활동을 신청하기 위한 조건이 있나
경기도 내 지구과학 교사이면 누구든 가입이 된다. 창의적 체험활동은 학교로 공문을 보내 학교 단위로 신청을 받고 있다.
- 최정아 객원기자
- dmdmd714@naver.com
- 저작권자 2011-11-15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