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퀀텀닷"에 대한 검색 결과 총 3 건 사타가 간다 권예슬 리포터 2024-11-14 휴머노이드 아닌 ‘머시노이드’, 나노가 만든다 세상을 바꾸는 난쟁이가 있다. 바로 나노입자다. 나노입자를 통해 만든 연성 소자는 인간의 삶을 더욱 편리하게 만들 것으로 보인다. 현주소를 짚어봤다. 기초·응용과학 김민재 리포터 2023-10-06 노벨 화학상, 나노 기술에 중요한 토대를 쌓고 '씨앗을 심은' 바웬디, 브루스, 예키모프 노벨 왕립 스웨덴 과학한림원은 2023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크기가 수 나노미터(nm, 10의 -9승 m) 크기에 불과한 초미세 반도체 입자를 뜻하는 양자점을 발견하고 발전시킨 미국 매사추세츠공대 교수 문지 바웬디, 컬럼비아대학교 명예교수 루이스 브루스, 나노크리스털스 테크놀로지 소속 과학자 알렉세이 예키모프 3명을 발표했다.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8-02-20 해외 과학자들에게 중국은 '기회의 땅' 퀀텀닷(quantum dot)이란 지름 수십 나노미터(㎚) 이하의 반도체 결정물질을 말한다. 특이한 전기적·광학적 성질을 지니고 있는 이 입자는 워낙 작아 양자역학적인 특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이 결정에 전기를 통하면 입자 크기에 따라 다른 길이의 빛 파장을 발생시켜 다양한 색을 낼 수 있다. 태양전지에 활용할 경우 입자(양자점) 크기에 따라 단파장부터 장파장에 이르는 넓은 영역의 태양광을 흡수할 수 있다. 활용도 역시 매우 다양하다. 특히 퀀텀닷 TV는 미래 가전 판도를 바꾸어놓을 핵심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퀀텀닷 분야에서 대가로 알려져 있는 세계적 인물 가운데 중국 저장대 샤오강 펭(Xiaogang Peng) 교수를 빼놓을 수 없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보노보노’는 불가사리 없으면 홍합 먹어요” 생태계 상호의존 확인 나는 아무 생각이 없다 ‘마인드 블랭킹’ 때문이다 영화와 TV 속 과학은 얼마나 정확할까? 팬데믹 막는다…韓연구팀, 대규모 박쥐 인공장기 '오가노이드' 구축 첨단재생의료 치료제로 손상된 연골의 재생이 가능할까요? 생명硏, 인간 폐 면역반응 모사한 인공 폐포 조직 개발 UNIST "탠덤 태양전지 효율·안정성 모두 확보한 소재 개발" "코로나19 후유증 '브레인 포그' 유발 추정 인자 2개 발견" "비만이 암세포 키우는 이유, '호르몬' 아닌 '지방산산화' 때문" 치즈냥·삼색냥 털색깔 비밀은…고양이 애호가 日교수가 풀었다 속보 뉴스 KIST "인 고효율 회수·유해미생물 살균 수처리 소재 개발" 차세대 전기차 배터리 소재 '하이니켈 양극재'의 성능 저하 해결 재료연, 수소를 안전하게 저장·운송하는 '고체수소' 소재 개발 '한국은 하이드록실·몽골은 메틸' 미세먼지 유해물질 차이 확인 니모가 기후변화에서 살아남는 법은…"폭염 때 몸집 줄이기" "온난화 1.5℃로 억제해도 빙상 손실·해수면 급상승 못 막아" "임신 중 대기오염 노출, 자녀 천식 악화시켜…생쥐 연구 확인"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