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ST 발사부터 현재까지] 원시별 L1527 IRS와 주변 가스, 먼지 관측
아름답다. 또 매우 신비롭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그동안 우리가 알지 못했던, 이론으로만 예측하고 있던 우주의 모습을 실제로 보여주고 있다.
미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11월 17일 황소자리(constellation Taurus) 방향으로 약 460광년 이상 떨어진 암흑성운(dark cloud)에서 원시별(protostar) L1527 IRS를 포착했는데, 모래시계 형태를 띠고 있는 원시별 주변의 가스와 먼지 등도 함께 포착되었다. 적외선 망원경은 이들의 관측에 특화되어 있고 먼지가 많을수록 주황색이나 붉은색을 띠며, 먼지가 적을수록 파란색을 띠게 된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원시별 L1527 IRS와 주변의 가스 그리고 먼지를 관측해냈다. © NASA, ESA, CSA, STScI, 이미지 처리: Joseph DePasquale/STScI, Alyssa Pagan/STScI), Anton M. Koekemoer/STScI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근적외선 카메라(NIRCam) 기기로 촬영한 원시별 L1527의 이미지이다. 위 사진에서는 참조용 나침반 화살표를 통해서 (북쪽과 동쪽 나침반 화살표) 아래에서 하늘을 바라보며 천체를 바라볼 때의 방향을 나타내주며 위에서 아래로 바라볼 때의 방향은 반전된다.
막대는 천체의 규모를 나타내주는데, 이를 통해서 별과 천체 주변의 크기가 어마어마하게 큼을 알 수 있다. 참고로 1 천문 단위(AU)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로 대략 1억 5천만 km 정도이다. 지도 아래의 가시광선 색상은 빛을 수집할 때 사용된 필터를 보여주고 있다. 즉, 해당 필터를 통과하는 적외선을 나타낼 때 사용된 가시광선 색상이다. (고해상도 사진 보러 가기)
사실 위 별은 10여 년 전에 천문학자들이 처음 관측하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던 별이다. 위 천체는 사실 ‘별’이라고 부르기 전의 천체(원시별 “protostar”)로 30만 년도 채 안 된 원시별 상태이다. 즉, 길고 긴 진화과정을 이제 막 시작하는 아기별로, 위 별이 태양 정도의 수명을 산다고 가정하고 사람의 인생과 비교했을시 이제 겨우 생 후 한 달도 안 된 별이다. 지금까지 발견된 별 중 가장 어린 천체이며 현재도 여전히 진화 중인 천체이며 시간이 흐르면서 원시별 주변의 물질들을 끌어모으며 별로 진화하게 된다.
또한 천문학자들은 위 천체를 둘러싸고 있는 먼지와 일산화탄소 등 가스등의 관측을 통해서 위 천체의 주변이 원시행성계원반(protoplanetary disk)의 형태로 진화할 것임을 예측했다. 물론 모든 별이 원시행성계원반을 지니게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별 주위에 원시행성계원반이 존재하면 이들은 결국 높은 확률로 행성을 이루게 된다. 특히 위 원시별은 우리 태양보다 작은 수준이지만 원시별 주변의 가스와 먼지의 양이 많아서 목성보다 훨씬 더 큰 행성을 형성시킬 수 있으리라 예측된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원시별 L1527 IRS와 주변의 가스 그리고 먼지를 관측해냈다. © NASA, ESA, CSA, STScI, 이미지 처리: Joseph DePasquale/STScI, Alyssa Pagan/STScI), Anton M. Koekemoer/STScI
원시행성계 원반 내의 가스와 먼지가 점차 행성을 형성하게 된 후, 더 오랜 시간이 흐르면 가스가 사라지며 결국 우리 태양계와 비슷한 형태로 진화하게 될 것이다. 별의 진화적 관점에서는 태양계가 형성되고 난 후의 일생이 훨씬 더 길기 때문에, 원시별의 진화 순간은 상대적으로 짧은 순간이다. 하지만 인간의 시계로는 여전히 영겁의 시간이 흘러야 한다. (고해상도 사진 보러 가기)
또한, 위 천체만으로도 매우 아름답고 신비한 발견이지만, 주변의 수많은 별(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시그니처와도 같은 팔각 마크와 함께 나타남)과 은하들 역시 이전 관측으로는 볼 수 없었던 천체들이다.
(195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올해 공공 분야의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ICT) 장비·정보보호 사업 규모가 작년보다 2.7% 증가한 6조2천23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구축 사업 예산이 4조5천40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 소프트웨어 구매에 3천605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컴퓨팅, 네트워크, 방송 장비 등 ICT 장비 구매 비용은 1조 3천227억원으로 나타났다. (10)
/ 36개국이 한국에 모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 협력방안 도출에 머리를 맞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이사회가 24일 개막했다고 밝혔다. 이사회는 오는 29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계속된다. 유엔기후변화협약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1992년 설립된 협약이다. 총 198개국이 참여하는 규범으로, 매년 당사국총회를 열어 주요 사항을 결정한다. 기후메커니즘은 2010년 당사국총회에서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과학기술 중요성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혈관이 막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응급 질환인 망막혈관폐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조재흥 교수팀은 서울아산병원 안과 이준엽 교수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백무현 교수팀과 망막혈관폐쇄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을 찾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공동연구진은 폐쇄된 혈관을 확장해 효과적으로 흐름을 복구하는 ‘철-일산화질소 복합체’ 개발에 성공했다 일산화질소는
/ 충남 천안아산 KTX역세권 연구개발(R&D) 집적지구 1호 사업인 충남지식산업센터가 23일 준공됐다. 센터는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4천510㎡ 부지에 지하 1층·지상 6층 규모(연면적 1만2천471㎡)로 건립됐다. 입주대상은 지식산업, 정보통신, 제조업과 관련 지원시설 등이다. 반도체 장비 제조,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용 필터 등 12개 기업이 이달 중 입주할 예정이다. 충남도는 지식산업센터를 통해 일자리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인공지능(AI) 바이오 영재고가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들어선다. 개교 목표 시기는 2027년 3월이다. 충북도는 23일 한국과학기술원이 희망하는 학교 부지요건 등에 대한 의견을 듣고 도교육청과 함께 숙고한 끝에 오송읍을 건립 부지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부지 선정의 결정적 요건은 향후 설립될 한국과학기술원 오송캠퍼스와의 접근성, 핵심인력 양성의 용이성 등이었다. 오송에는 첨단의료제품
/ 교육부는 교원의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2023년 아이에답(AIEDAP) 사업 착수보고회’를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연다고 밝혔다. 아이에답은 민·관·학 디지털 전문가가 현직 교원과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시작됐다. 올해는 지역 여건에 맞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권역별 사업지원단을 꾸리고,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수업을
/ 강원 양구군은 치매 환자, 독거노인 등 돌봄이 필요한 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말벗 인형 ‘천사친구 효돌·효순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3일 밝혔다. 군은 치매안심센터에 등록한 맞춤형 사례관리 대상자 중 우울 척도가 높은 10명에게 오는 12월까지 말벗 인형을 지원한다. 이는 정서·인지 정도가 다소 낮은 어르신을 돕는 인형 모양의 로봇이다. 일상 중 말벗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