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라드큐브 탑재체 그림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한국천문연구원이 국내 기업과 손을 잡고 미국의 유인 달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 2호에 실릴 한국 큐브위성의 부탑재체를 개발한다. 9일 천문연에 따르면 지난 7일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각각 아르테미스 2호 탑재 큐브위성 부탑재체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5-12 ⓒ ScienceTimes 태그(Tag) #부탑재체 #우주방사선 #큐브위성 #탑재체 #피폭 관련기사 원자력硏, 우주방사선에 의한 오류 억제 반도체 기술 개발 원자력연·포항공대 공동 연구팀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우주방사선에 의한 나노 반도체의 오류를 크게 줄일 수 있는 내방사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우주방사선은 태양과 외부 은하 등에서 발생해 지구로 향하는 에너지가 높은 방사선이다. 인공위성이나 우주선 등에 사용되는 반도체는 양성자나 감 누리호, 30년 만에 대한민국의 우주독립을 선언하다! 21일, 누리호 발사의 완전한 성공을 통해 한국은 30년만에 우주독립을 달성하며 세계7대 우주강국의 반열에 들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2022년 6월 21일 오후 4시, 많은 이들의 기대와 응원 속에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힘차게 날아올랐다. 15분 45초의 비행시간동안 누리호는 단분리 및 엔진점화 과정 등 모든 과정을 완벽히 수행했을 뿐 아니라 한 D-2 day, 경험을 통해 강해진 누리호의 두 번째 도전 이틀 뒤인 16일, 누리호는 다시 한번 발사대에 오른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본래 15일 오후 4시경으로 예정되어있던 누리호의 2차 발사가 기상 요인으로 인해 하루 뒤인 16일로 연기되었다. 누리호의 두 번째 도전은 지난 2021년 10월 1차 발사 시도를 통해 얻은 성과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더욱 보강되어 기대를 모으고 있다. 마지 [우크라 침공] 방사선 노출에 아이오딘이 도움이 될까? 인류 역사상 최악의 원자력 사고들 - 이를 대비 하는 인류 원자력 사고란 원자력 시설을 비롯하여 원자력을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고를 일컬으며, 주로 외부로 방사능이 누출되는 사고를 말한다. 이는 인체에 방사선 피폭을 유발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매우 위험한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인류 역사상 가장 위험했던 원자력 사고는 구소련의 새로운 우주방사선 차폐 기술 인공위성이나 탐사선의 전자기기는 지상보다 더 많은 방사선을 받기 때문에 적절한 방호 조치가 필요하다. 우주로 보내려면 중량을 줄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서 무거운 납 대신에 주로 가벼운 알루미늄이 방사선 차폐 재료로 사용되곤 한다. 지난 12일 과학 전문매체 ‘사이언스데일리’는 더 작고 가벼운 방사선 차폐 기술을 소개했다. 새로운 차폐 물질을 활용해서 냉동정자, 우주에서 생존력 유지 갈수록 인구는 늘어나고 자원이 고갈되는 지구를 떠나 외계에 거주지를 건설하고자 하는 이들의 움직임이 빠르게 전개되고 있다. 이것은 ‘지구를 버리는 것이 아니라, 지구의 환경을 완화하고 인류가 우주로 진출한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더 크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다. 지구 밖에서 인간이 거주할 수 있는 대상으로는 일단 가까운 달과 화성이 꼽힌다. 과학자 화성여행 위해 해결해야 할 난제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올해 2월 워크숍을 열고 이동형 탐사선 ‘마스 2020(Mars 2020)’ 착륙 후보지 세 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첫 번째 후보지는 화성 적도 남쪽 저지대 구세프 분화구에 있는 콜럼비아 힐즈(Columbia Hills)다. 또 다른 후보지는 강에 의한 삼각주 지형이 펼쳐져 있는 예제로 크레이터(Jezero Crater)다.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눈을 감고도 어둠 속을 볼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역류가 대사 질환을 유도하는 메커니즘 발견 아기 습진, 너 좀 없어지면 안되겠니? 영하 196도에서 고압 견디는 우주발사체용 부품 시험 성공 루게릭병 유전자 변이가 일으키는 병리적 변화 밝혔다 UNIST "1초에 100만번 일어나는 생체효소 분자 반응 포착" '유도미사일' 약물로 췌장암 치료 효과 획기적으로 높인다 수은 배출 줄었지만 북극 오염 증가 이유는…"해류 통한 유입" UNIST, 휴대폰 액정화면으로 활용 가능한 반투명 태양전지 개발 딥러닝 기반 가상 염색을 통한 3차원 조직검사 기술 개발 속보 뉴스 에너지硏, 초대형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설계기술 국산화 암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면역까지 유도하는 나노물질 "친환경 화학원료 생산성 1.7배 높이는 대장균주 개발" "호주 보공나방, 밤하늘 별빛 이용해 매년 1천㎞ 이동한다" "하얼빈에서 발견된 고대 인류 두개골 주인공은 데니소바인" "만성 요통 위험 줄이는 데는 많이 걷는 게 효과적" 1천800년 전 경주 월성에 묻힌 개는 동경이?…유전자 비밀 푼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