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효율 프로필렌 생산 촉매 개발한 KAIST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백금 사용량을 100분의 1로 줄인 프로필렌 생산용 촉매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프로필렌은 플라스틱, 섬유, 자동차 부품, 전자제품 등에 쓰이는 석유화학 산업의 핵심 원료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5-13 ⓒ ScienceTimes 태그(Tag) #갈륨 #백금 #촉매 #탈수소화공정 #프로필렌 관련기사 UNIST "1초에 100만번 일어나는 생체효소 분자 반응 포착" 1초에 100만번 일어나는 생체효소 분자의 반응과정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포착했다. 12일 UNIST에 따르면 물리학과 김채운 교수팀은 탄산탈수효소Ⅱ(Carbonic Anhydrase Ⅱ)가 이산화탄소를 탄산으로 바꾸는 반응을 원자 수준에서 추적하는 데 성공했다. 탄산탈수효소 Ⅱ는 이산화탄소를 물에 잘 녹는 탄산 이온으로 바꾸는 딱딱함과 부드러움 자유자재로 조절하는 전자잉크 개발 가변 강성 기기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전자공학부 정재웅 교수와 신소재공학과 스티브 박 교수, 서울대 박성준 교수 공동 연구팀은 온도에 따라 딱딱함과 부드러움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는 액체금속 전자잉크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팀은 기존 딱딱한 전자기기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체온 근 KAIST, 그린수소 생산 위한 수전해 촉매 수명 예측 지표 개발 수전해 촉매 운영 안정성 지수 모식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화학공학과 정동영 교수 연구팀이 수전해 장치의 촉매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평가 지표를 처음으로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수전해 장치는 물을 전기분해 해 수소를 분리하는 장치이다. 태양력·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수전해 방 UNIST "물·기름 이용해 1분 안에 박막 제조 가능" 박막 조립 모습(A)과 조립된 박막을 기판으로 옮기는 기술(B)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복잡한 공정이 필요한 박막 제조를 물과 기름을 이용해 1분 안에 완료할 수 있는 기술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17일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구강희 교수팀은 물속에 분산된 기름방울로 촉매 박막 등을 제작할 수 있 구멍 뚫린 탄소 촉매로 친환경 과산화수소 생산 효율 높인다 붕소를 도핑한 다공성 탄소 촉매 ⓒKIST 제공 생산에 많은 에너지를 쓰고 환경 오염도 일으키는 과산화수소를 친환경적이면서도 낮은 에너지로 생산할 수 있는 촉매가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극한물성소재연구센터 김종민 책임연구원과 계산과학연구센터 한상수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이재우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문준희 KAIST "AI 이용해 효율 높인 차세대 아연공기전지 개발" 아연공기전지 개발 연구 모식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효율을 높인 차세대 아연공기전지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값싼 아연 음극과 산소 양극으로 구성된 아연공기전지는 물 기반 전해질을 사용해 리튬이온전지와 달리 발화 위험이 없고 에너지 밀도가 높아 차세대 전지로 주목받고 있다.&nbs UNIST "미세먼지 생성 물질 3종 동시에 제거하는 촉매 개발" 'ACS 나노' 표지 이미지. 촉매 표면(바닥에 깔린 물질)에서 미세먼지 전구물질이 반응하는 모습을 형상화한 모습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감축할 수 있는 촉매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신소재공학과 조승호 교수팀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김홍대 박사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김 UNIST "목재 폐기물로 해수전지용 고성능 촉매 개발" 해수전지의 구조(왼쪽)와 개발된 촉매의 구조(오른쪽)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바닷물로 전기를 저장하고 꺼내 쓸 수 있는 해수전지 상용화를 위한 값싼 촉매 물질을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는 에너지화학공학과 이동욱 교수팀이 목재 폐기물에 요소를 첨가해 해수전지용 고성능 촉매를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n 촉매 신소재, AI로 찾아…"기존 방식대비 시간 70분의 1로 단축"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이강택 교수팀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한국지질자원연구원·KAIST 신소재공학과 연구팀과 공동으로 인공지능(AI)과 슈퍼컴퓨터를 활용해 성능이 우수한 스피넬 산화물 신소재를 설계했다고 21일 밝혔다. 스피넬 산화물은 산소 환원 반응을 활성화할 수 있는 신소재로, 그린수소(탄소 배출 없이 만들어 에너지연, '탄소 배출 제로' 청록수소 생산 위한 촉매 개발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김우현 박사 연구팀이 청록수소 생산과 상용화를 앞당길 니켈-코발트 합성 촉매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청록수소는 메탄을 열분해해 생산하는 수소로, 생산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 않아 그린수소와 함께 친환경 청정수소로 분류된다. 청록수소 생산에는 주로 니켈과 철 기반 촉매가 활용되는데, 저온에서는 반응성이 낮아 900도 이상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눈을 감고도 어둠 속을 볼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역류가 대사 질환을 유도하는 메커니즘 발견 아기 습진, 너 좀 없어지면 안되겠니? 영하 196도에서 고압 견디는 우주발사체용 부품 시험 성공 루게릭병 유전자 변이가 일으키는 병리적 변화 밝혔다 UNIST "1초에 100만번 일어나는 생체효소 분자 반응 포착" '유도미사일' 약물로 췌장암 치료 효과 획기적으로 높인다 수은 배출 줄었지만 북극 오염 증가 이유는…"해류 통한 유입" UNIST, 휴대폰 액정화면으로 활용 가능한 반투명 태양전지 개발 딥러닝 기반 가상 염색을 통한 3차원 조직검사 기술 개발 속보 뉴스 에너지硏, 초대형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설계기술 국산화 암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면역까지 유도하는 나노물질 "친환경 화학원료 생산성 1.7배 높이는 대장균주 개발" "호주 보공나방, 밤하늘 별빛 이용해 매년 1천㎞ 이동한다" "하얼빈에서 발견된 고대 인류 두개골 주인공은 데니소바인" "만성 요통 위험 줄이는 데는 많이 걷는 게 효과적" 1천800년 전 경주 월성에 묻힌 개는 동경이?…유전자 비밀 푼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