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5년 12월 15일, UN 총회는 매년 2월 11일을 ‘세계 여성 과학자의 날(International Day of Women and Girls in Science)’로 제정했다. 그리고 일요일인 11일 세 번째 기념일을 맞아 UN이 성명서를 발표했다.
안토니오 구테레스 (António Guterres) 사무총장은 “지난 15년 동안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어린 어린 학생들을 포함한 여성들이 과학현장에서 소외되고 있다.”며, “여성들이 과학 연구자로서서 충분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국제 사회는 지난 15년 간 과학 현장에서 여서 소외 현상을 막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아직도 과학계 곳곳에서 여성 소외현상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과학계 곳곳에서 많은 여성들이 활약을 하고 있지만 아직도 여성이 과학자가 될 확율은 남성의 절반이 안 되고, 연구 현장에는 갖가지 편견이 존재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 있다. 사진은 ‘세계 여성 과학자의 날’을 기념하고 있는 UN 홈페이지. ⓒun.org
여성이 박사 될 수 있는 확률, 2%에 불과
UN이 14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결과에 따르면 여성으로 태어나 대학에서 과학을 전공할 수 있는 확률은 18%, 대학원에 진학할 수 있는 확률은 8%, 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확률은 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자로 태어나 대학에서 과학을 전공할 수 있는 확률은 37%, 대학원에 진학할 수 있는 확률은 18%, 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확률은 6%와 비교해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이다. 교육 분야에서 성적 소외가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핀란드 오울루 대학의 대기과학자인 뇐네 프리슬(Nønne Prisle) 조교수는 ‘여성 과학자의 날’을 앞둔 지난 9일 ‘사이언스’ 지를 통해 “그동안 여성 과학자로서 수차례 성차별적인 도전환경과 소외감으로 고통을 받고 있었다.”고 말했다.
“뛰어난 여성 선배 과학자로서 롤 모델을 발견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남성들이 주도하는 연구 풍토에 적응하는 과정이 쉽지 않았다.”는 것. 그녀는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여성 초기 경력자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자신들이 겪었던 경험을 되살려 후배들을 지원하고 멘토링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는 것. “후배들이 모범적인 과학자의 길을 갈 수 있도록 자신들이 직면했던 경험들을 공개하고, 또한 더 나은 길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 대학에서 의생명과학 박사학위 과정을 앞두고 있는 사만타 존스( Samantha Jones) 씨는 “학생들을 위한 거의 모든 실습 과정이 남성 위주로 짜여져 있다.”며, “이로 인해 많은 여성들이 교육 과정에서 좌절을 경험하고 있다.”고 말했다.
화학공학자인 시애틀 워싱톤 대학의 엘리자베스 낸스(Elizabeth Nance) 조교수는 “과학자의 길을 걷고 있는 많은 여성들이 여성이 아닌 선배 남성으로부터 조언을 듣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 대해 많은 우려를 표명했다.
여성 과학자들 ‘가면현상’으로 고통 겪어
“연구 과정에서 여성들은 남성과 다른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고 말했다. “남성에게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을 여성들은 손쉽게 풀어갈 수 있다.”는 것. “특히 여성 과학자로서 여성적인 직감에 자신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직감과 같은 여성만이 지니고 있는 강점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고 말했다. “직감과 같은 여성적인 강점들을 살려나갈 경우 뛰어난 연구 실적을 쌓아나갈 수 있다.”며 후배들에게 여성 과학자로서 자신의 능력에 자신감을 가져줄 것으로 주문했다.
터키 앙카라 대학의 여성 고에너지물리학자인 빌게 데미르코츠(Bilge Demirkoz) 교수는 그동안 많은 후배 여성들을 위해 멘토링을 해온 인물이다. 그녀는 “여성들에게 있어 가장 큰 고민은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성공 여부를 진단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많은 여성들이 어린 시절부터 과학으로는 성공할 수 없다는 판단 하에 과학을 포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녀는 이런 현상을 가면현상(impostor syndrome)이라고 설명했다. 현대 사회에서 나타나는 정체성 상실현상을 말한다.
‘imposter’는 ‘사기꾼’, ‘타인을 사칭하는 자’를 뜻하는 데 그동안 자신의 노력을 통해 사회적으로 존경받는 지위와 신분에 이르렀으면서도 끊임없이 ‘이것은 나의 참모습이 아니다’, ‘언제 가면이 벗겨질지 모른다’ 등의 망상에 시달리는 현상을 말한다.
교수는 자신도 이런 ‘가면현상’으로 어려움을 겪어왔다고 말했다. “후배 과학자들 역시 이런 고통을 경험하고 있다.”며, “어린 학생들이 이런 강박관념에서 벗어난 즐겁게 과학을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고 있다.”고 말했다.
“어린 시절 부모님이 끊임없이 훌륭한 과학자가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자신감을 불어넣어주었다.”는 영국 울버햄튼 대학의 약리학자인 사라 존스(Sarah Jones) 교수는 “그동안 과학만 생각했지 성적 소외감에 직면할지는 상상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그녀는 “과학계 내부에 여성에 대한 편견이 존재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여성 과학자들의 연구 능력에 대해 남성 다음으로 평가하는 풍토가 만연하고 있다.“며 남성과 여성 과학자들의 능력을 동등하게 봐줄 것을 요구했다.
옥스퍼드 대학의 컴퓨터공학자 마리나 지토르카(Marina Jirotka) 교수는 “여성 컴퓨터 전문가로서 그동안 수시로 소수집단으로서의 박탈감을 느껴왔다.”고 말했다. “남성 중심으로 미팅이 이루어지고 있다.”며, “과학의 미래를 위해 성적인 다양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들어 여성 과학자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많은 국가들이 여성 과학자 양성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쏟아져 나오는 여성 과학자들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5018)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수소연료전지의 일종인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을 고온·건조한 악조건에서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트럭·선박·항공기 등으로 PEMFC의 활용 분야가 지금보다 크게 확대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늘어난 게임 과몰입(게임 중독)의 주된 동기로 '현실도피'를 꼽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게임학회에 따르면 장예빛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게임 이용 동기와 온라인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 논문은 지난달 발간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2권 2호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22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 지원 대상 기업 15개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해외진출, 자금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려는 것이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미지 변환이나 음성 변조에 활용되는 인공지능(AI)으로 가상뇌파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한양대에 따르면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신경 스타일 전이'(neural style transfer) 기술을 최초로 뇌파에 적용해 뇌파신호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S2S-StarGAN)을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