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벨로 몬테 댐 건설 후, 아마존의 생태계 위협 가시화돼
얼마 전 예능 프로그램에 등장한 한 유명인이 아마존 유역을 여행하던 중 낚시투어를 하면서 줄곧 되뇐다. “언제 또 해보겠어.”
여행은 그곳에서의 기억을 그리워하며 늘 막연한 ‘다음’을 기대하기 마련이다. 그러다가 여건이 허락되면 그 막연함이 현실이 되기도 하는데, 아마존 강에서 했던 낚시는 다시 경험하기 어려울지도 모르겠다. 아마존 강이 심하게 앓고 있기 때문이다. 그 안에 자연 생태 그대로 물고기를 품기 어려울 만큼.
아마존강에 자연과 인간의 개발이 공존할 수 있을까. ⓒThe Brazilian Report
사이언스(Science)지 1월호에는 아마존 벨로 몬테(Belo Monte) 수력 발전 프로젝트가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모니터링 결과가 실렸다.
국립아마존연구소와 브라질 전역의 대학교 소속 과학자, 그리고 아마존 원주민들로 구성된 환경 네트워크는 퓰리처센터(Pulitzer Center)의 지원을 받아 수력 발전 프로젝트가 시작된 2013년 이후 어종과 어획량을 매일 기록·조사해왔다. 또 이와는 별개로 계절별로 강의 흐름과 수량을 조사해 생태계의 기본적인 특징인 순환 시스템을 점검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아마존 수력 발전 프로젝트 발표 때부터 댐 건설까지 전 과정에서 제기됐던 생태계 파괴 이슈가 실제 현실로 드러났다.
댐 건설 이후 아마존의 모든 어종 수는 눈에 띄게 감소했다. 텍사스 A&M 대학에 커크 와인밀러(Kirk Winemiller)가 작년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물고기 수는 29% 감소, 어류 풍부도는 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량 또한 현격히 줄어들었다. 댐 건설 전에는 12월부터 다음 해 5월까지 내린 겨울비가 초당 2만㎥ 가량 강을 따라 섬과 인접한 숲에 흘러내렸다. 이 양은 건기에 초당 2천㎥까지 줄어드는데, 아마존 우림은 바로 이러한 패턴에 따라 형성되어 풍경과 생태계가 유지됐다.
하지만 댐이 건설된 후 겨울에 흐르는 강물의 양이 절반 이상 줄었다. 그리고 이보다 더 나쁜 상황은 격년제로 댐이 겨울 최대 유량을 50%로 줄여서 원래 수준의 5분 1로 만들어 버린 것이다. 전문가들은 생태계를 유지하는 물의 순환이 이처럼 바뀌면 이로 인해 아마존에 모든 생태 관계가 교란되고, 훗날에는 영구적으로 파괴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아마존의 싱구강 유역은 겨울(12월~5월)에 수량이 많고, 여름에는 적은데, 피멘탈 댐 건설 후 유량이 크게 줄었다. ⓒScience
아마존 벨로 몬테(Belo Monte) 프로젝트는 아마존 강 유역 무라투 상류 30km 지점에 건설된 대규모 수력 발전 단지다. 저수지, 발전소, 댐 등이 포함된 이 프로젝트는 단일 댐만으로도 브라질에서 가장 크고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규모로 최대 1만1천kw의 전력 생산이 가능하다. 2011년 건설 승인부터 원주민, 환경단체, 과학자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혔지만, 브라질 환경부 산하 환경재생가능자원연구소(IBAMA)가 벨로 몬테 댐 건설을 승인하면서 결국 2016년에 완공돼 운영 중이다.
댐 건설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대규모 수력발전 시설로 인해 ‘지구의 허파’라고 불리는 아마존의 생태계가 파괴될 것을 우려했다. 뿐만 아니라 약 500㎢에 이르는 산림이 물속에 잠겨 원주민 5만 명이 삶의 터전을 잃게 될 것이라 주장했다.
댐이 완공된 후 우려는 현실이 됐다. 실제로 메인 댐인 피멘탈(Pimental)은 아마존강에 가장 극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댐은 강물의 약 80%를 인공 수로로 돌려 약 359㎢ 크기의 저수지를 만들고, 싱구강의 유류를 북동쪽에 있는 2차 저수지와 터빈으로 보낸다. 이 과정에서 싱구강의 ‘빅벤드’라 불리는 130km의 강 유역의 물이 줄었고, 생물 다양성 또한 급감했다.
아마존 벨로 몬테(Belo Monte) 프로젝트는 아마존강 유역 무라투 상류 30km 지점에 건설된 대규모 수력 발전 단지다. ⓒScience
모니터링에 참가하고 있는 원주민 쥬루나(Josiel Juruna)는 댐이 완공됐던 2016년을 ‘세상의 종말’이라고 부른다. 댐에서 갑자기 12.6톤의 물을 방류해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을 때를 생생히 기억하기 때문이다.
이 사건으로 IBAMA는 아마존 수력발전 프로젝트를 운영하는 Norte Energia사에 3,530만 헤알(real, 약 550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원주민들은 벌금이 이전의 아마존으로 되돌릴 수 있을 거라 믿지 않는 분위기다. 쥬루나 역시 “우리는 더 이상 자연적이지 않은 강의 흐름으로 인해 물고기가 고통받을 것을 이미 예상했다.”고 말했다.
이미 몇몇 종들은 멸종 위기에 직면한 것으로 나타났다. 싱구강 빅벤드 유역에서만 볼 수 있는 흑백 줄무늬 메기 ‘아카리-제브라(Hypancistrus zebra)’는 생태 변화와 불법 조업으로 멸종 단계다. 산란할 곳이 없어 마른 알을 뱃속에 품은 채 물 위로 떠오르는 물고기 주검들도 흔히 보이는 풍경이다.
싱구강 빅밴드에 서식하는 토종 어류인 아카리 지브라는 멸종 위기에 놓였다. ⓒScience
이러한 생태계 파괴가 가시적으로 나타나자 지난해에 국제 자연보호연맹은 아마존에 건설된 댐 때문에 강에 사는 물고기가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했다고 선언한 바 있다. 그리고 전문가들은 지금의 모니터링 결과는 댐 건설 초기 징후일 뿐이라며, 앞으로 어떤 더 큰 재앙이 올지 모른다고 경고한다.
한편 아마존의 생태계 위험도를 낮추기 위해 연구진은 IBAMA에 댐에서 방출되는 양을 최대 68% 증가시켜 물고기 번식지를 복구하라는 제안을 보냈다. 아직까지 IBAMA의 응답도 승인도 나오지는 않았다. 다만, 강 하류의 수량을 늘리면 터빈으로 흘러드는 물이 줄어들어서 생산 전력도 줄어들 수밖에 없기 때문에 IBAMA의 고심도 클 거라는 예측이 나왔다.
지금, 아마존은 개발과 생태계 유지 사이의 균형을 잡지 못한 채 ‘아마존의 눈물’만 흘리고 있다.
(154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올해 공공 분야의 소프트웨어·정보통신기술(ICT) 장비·정보보호 사업 규모가 작년보다 2.7% 증가한 6조2천239억원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소프트웨어 구축 사업 예산이 4조5천406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 소프트웨어 구매에 3천605억원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컴퓨팅, 네트워크, 방송 장비 등 ICT 장비 구매 비용은 1조 3천227억원으로 나타났다. (10)
/ 36개국이 한국에 모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기술 협력방안 도출에 머리를 맞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유엔기후변화협약 기술메커니즘 이사회가 24일 개막했다고 밝혔다. 이사회는 오는 29일까지 인천 송도에서 계속된다. 유엔기후변화협약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1992년 설립된 협약이다. 총 198개국이 참여하는 규범으로, 매년 당사국총회를 열어 주요 사항을 결정한다. 기후메커니즘은 2010년 당사국총회에서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과학기술 중요성에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혈관이 막혀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응급 질환인 망막혈관폐쇄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실마리를 발견했다고 23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화학과 조재흥 교수팀은 서울아산병원 안과 이준엽 교수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백무현 교수팀과 망막혈관폐쇄질환의 새로운 치료법을 찾기 위한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공동연구진은 폐쇄된 혈관을 확장해 효과적으로 흐름을 복구하는 ‘철-일산화질소 복합체’ 개발에 성공했다 일산화질소는
/ 충남 천안아산 KTX역세권 연구개발(R&D) 집적지구 1호 사업인 충남지식산업센터가 23일 준공됐다. 센터는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 4천510㎡ 부지에 지하 1층·지상 6층 규모(연면적 1만2천471㎡)로 건립됐다. 입주대상은 지식산업, 정보통신, 제조업과 관련 지원시설 등이다. 반도체 장비 제조,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개발, 산업용 필터 등 12개 기업이 이달 중 입주할 예정이다. 충남도는 지식산업센터를 통해 일자리
/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설 인공지능(AI) 바이오 영재고가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에 들어선다. 개교 목표 시기는 2027년 3월이다. 충북도는 23일 한국과학기술원이 희망하는 학교 부지요건 등에 대한 의견을 듣고 도교육청과 함께 숙고한 끝에 오송읍을 건립 부지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부지 선정의 결정적 요건은 향후 설립될 한국과학기술원 오송캠퍼스와의 접근성, 핵심인력 양성의 용이성 등이었다. 오송에는 첨단의료제품
/ 교육부는 교원의 인공지능(AI)·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2023년 아이에답(AIEDAP) 사업 착수보고회’를 23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연다고 밝혔다. 아이에답은 민·관·학 디지털 전문가가 현직 교원과 예비 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난해 시작됐다. 올해는 지역 여건에 맞는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권역별 사업지원단을 꾸리고,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기술을 바탕으로 수업을
/ 강원 양구군은 치매 환자, 독거노인 등 돌봄이 필요한 고령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말벗 인형 ‘천사친구 효돌·효순이’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23일 밝혔다. 군은 치매안심센터에 등록한 맞춤형 사례관리 대상자 중 우울 척도가 높은 10명에게 오는 12월까지 말벗 인형을 지원한다. 이는 정서·인지 정도가 다소 낮은 어르신을 돕는 인형 모양의 로봇이다. 일상 중 말벗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