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 과학기술소통 얼라이언스에 참여하는 우리 모두는 과학기술과 사회를 서로 연결하고 매개해, 인류 사회의 공동체적 발전을 위해 앞장서겠습니다.”
대전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대강당, 자리에 모인 과학기술계 인사들이 엄숙하게 선서했다. 지난 1일 진행된 ‘과학기술소통 얼라이언스’ 출범식 현장이다.
이날 한국과학창의재단을 비롯한 14개 기관은 ‘과학기술소통 얼라이언스’ 이름으로 과학기술과 사회를 잇기 위해 힘을 모으기로 다짐했다. 디지털 전환, 기후변화, 전염병 등 글로벌 문제 해결에 과학기술의 역할이 커짐에 따라 소통의 중요성 역시 높아졌기 때문이다.

“과학기술과 사회 연결하겠다”… 선언한 과기인들
과학기술소통 얼라이언스의 4대 실천 목표는 연구소통문화 조성, 연구개발제도 개선, 과학소통 격차 해소, 사회적 참여 확대다. 조율래 한국과학창의재단 이사장은 이를 위해 “연구자들이 직접 소통에 나서야 한다”며 “한국과학창의재단 역시 과학기술소통 얼라이언스 지원을 위해 과학기술소통 센터를 설치해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조 이사장은 연구소통문화 조성에 대해서는 “연구자의 과학소통을 우대하는 연구 환경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국가 연구개발 과제 제안서에 소통 활동내역을 기재하도록 하는 등 제도적으로 소통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과학기술인의 소통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도 이어진다. 조 이사장은 “연구자 입장에서 소통은 과학기술 투자 확대를 위한 사회적 지지를 높인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며 “재단에서 운영하는 과학문화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에 과기인 참여를 확대시키겠다”고 밝혔다. 해당 프로그램은 강연, 저술, 영상 제작 등 다양한 방식의 과학소통 기본 소양을 키워준다.

민간 역할 강화도 주요 이슈다. 조 이사장은 “과학융합 콘텐츠 개발, 대한민국 과학축제 등 각종 과학기술문화 활동에 있어 민간과의 협업을 확대하겠다”라며 공공기관과 민간의 상호보완적 관계를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조 이사장은 이어 창작자와 과학자의 만남을 추진하는 등 관련 아이디어도 소개했다.
조 이사장은 이와 함께 “시민들이 과학기술에 기반한 사회문제 해결에 동참하고, 각 세대별‧지역별‧계층별로 소외된 이가 없도록 과학소통 격차를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과학기술소통 얼라이언스는 그 첫 프로젝트로 ‘사.과.씨(사회적 가치를 나누는 과학의 씨앗)’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이는 과학도서 및 굿즈 기부활동으로서, 전국 20개 기관이 도서 4,247권, 굿즈 4,401개를 기부한 상태다. 해당 물품은 155개 꾸러미 형태로 포장돼 올 연말까지 전국 청소년들에게 무상보급 될 예정이다.
“지역 격차 해소하고, 민간활동 강화”… 정부 지원 이어져
용홍택 차관은 과학기술소통 얼라이언스 활동에 대해 “과학기술과 사회, 국민을 이어주는 과학소통의 구심점이 돼 줄 것”을 요청하며 “정부 역시 ‘과학기술문화법’ 제정을 통해 향후 민간, 지역, 과학기술인이 주도하는 과학기술문화 혁신 체계를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를 위해 과학문화 거점센터를 17개 도시로 확대하고, 전국 과학관 및 어린이 과학체험공간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지역 과학문화 역량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또한 생활과학교실에 과학특수교육전담강사를 배치하고, 찾아가는 과학관을 확대 운영하는 등 과학격차 해소를 위한 계획도 밝혔다.
민간 과학기술문화 활동에 대한 지원도 대폭 강화될 예정이다. 정부는 관련 민간 활동에 대한 지원을 과제당 연 2억 원까지 확대한다. 이에 더해, 과학기술소통 얼라이언스를 비롯한 과학기술인의 적극적 참여를 바탕으로 과학기술문화 전문성을 확보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한편 이날 출범식에선 과학문화 확산에 기여한 유공자 포상이 함께 진행됐다. 오후에는 과학기술문화 소통의 방향성을 논의하는 제1회 과학기술문화 심포지엄이 이어졌다.
< 과학기술소통 얼라이언스 출범 참여기관 >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국립중앙과학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덕넷, CJ올리브네트웍스, 지역과학문화거점센터, 전국과학교사협회, 과학책방 갈다, 사이언스리퍼블릭, 카오스재단 등 14개 기관
- 김청한 객원기자
- 저작권자 2021-12-06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