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 출범 이후 시행된 다양한 이공계 활성화 정책에도 불구, 이공계 위기는 오히려 심화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대학생보다는 40대 이상의 교수와 연구원들이 이공계 위기에 대해 한층 심각한 상황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돼 눈길을 끌었다.
27일 바른과학기술사회 실현을 위한 국민연합(과실련) 등에 따르면 최근 이공계 대학교수, 연구원, 대학생 등 27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48.7%가 `이공계 위기가 오히려 심화되고 있다'고 답했다.
반면 `해결되고 있다'는 응답은 15%에 그쳤으며,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36.3%에 그친 것으로 파악됐다고 과실련은 설명했다.
특히 대학생보다 40대 이상의 교수와 연구원들이 이공계 위기에 대해 더 심각하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40대 이상의 응답자 중에서 `심화되고 있다'는 사람은 68%인 반면 `해결되고 있다'는 응답자는 7.4%에 불과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공계 위기'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과학기술 관련 직업의 불안정성'이 45.2%로 가장 많았고, 이어 `과학기술자에 대한 사회적 홀대'가 41.1%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자녀가 이공계 대학진학을 희망할 경우의 입장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자녀의 선택에 맡기겠다'는 답변이 60.3%로 가장 많았으나 `이공계의 현실을 알리고 다른 전공을 선택하도록 말리겠다'는 응답자도 21%에 달했다. `적극 지지하고 격려하겠다'는 응답자는 18.7%였다.
이공계 학과보다 의대와 약대, 한의대에 우수한 이과생이 몰리는 현상에 대해서는 `고쳐야 한다'는 응답자가 62.9%로 `바람직하다'(1.1%)보다 훨씬 많았다. `어쩔 수 없다'고 응답한 사람은 35.2%로 파악됐다.
이공계 대학생이나 졸업생이 고시공부에 몰두하는 현상에 대해서는 `고쳐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62.9%로 `어쩔수없다'(35.2%), `바람직하다'(1.9%)는 응답자보다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과실련과 대덕클럽이 대덕특구 한국과학기술정보원에서 개최하는 참여정부의 이공계 활성화 관련 토론회에서 주제발표를 맡은 생명공학연구원 유장렬 박사는 "우리나라의 대학졸업자중 이공계 비중이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중 최상위 수준으로 공급과잉인 반면 우수 청소년의 이공계 진학률은 해마다 감소하는 추세"라고 지적했다.
유 박사는 이어 "과학기술 인력에 대한 적절한 사회경제적 보상과 연구개발 이외의 다양한 부문으로 진출할 수 있는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 한 이공계 위기는 갈수록 심각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정성철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도 "지금까지 이공계 활성화 정책은 교육의 질적 제고와 우수 청소년의 이공계 유치 등 공급정책과 단기적인 수요촉진정책에 치우쳤다"고 진단하면서 "앞으로는 민간기업의 박사급 연구인력 흡수능력을 현재의 15%에서 50% 이상으로 확대하고 대학정원제의 신축적 운영, 교육내용의 혁신을 통한 대학의 시장대응력을 키워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서울=연합뉴스) 김권용 기자
- 저작권자 2006-04-27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