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기초·응용과학
김민아 객원기자
2020-06-02

영화 속 평행 우주가 현실이 될 수 있다? 나사, 평행 우주 증거로 타우 중성미자 발견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영화 ‘미드나잇 인 파리(2011)’와 ‘러브 앳(2019)’은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주인공들의 직업이 소설가라는 것, 그리고 현재 연인과의 갈등이 있고 그것의 실마리를 평행우주의 공간에서 찾게 된다는 것이다.

‘미드나잇 인 파리’의 주인공 길은 연인과의 가치관 차이로 혼란스러워 한다. 그는 낭만과 이상을 꿈꾸지만 약혼녀 이네즈의 관심은 현실적이고 물질적인 것들뿐이다. 그런 그녀는 그를 무시하며 다른 남자 일행과 춤을 추러 가버린다.

‘미드나잇 인 파리’에서 주인공 길은 매일 밤 열두 시면 자동차를 타고 헤밍웨이, 피카소, 그리고 스콧 피츠 제럴드, 거투르드 스타인이 있는 또 다른 세상으로 간다. ⓒ (주) 엔케이컨텐츠

길은 머물던 호텔로 돌아가기 위해 허탈하게 걷다 길을 잃고 계단 위에 주저앉는데, 이때 어딘가에서 종소리가 들려오고 그의 앞에 한 대의 자동차가 멈춘다. 엉겁결에 그 차에 오른 그는 1920년대에 닿게 된다. 그곳에는 동경해오던 예술가 헤밍웨이, 피카소, 그리고 스콧 피츠 제럴드가 있다. 그 후 꿈같은 만남은 매일 밤 열두 시가 되면 어김없이 이어졌고 그는 그 세상 속에서 거장 거투르드 스타인에게 자신의 소설을 호평받아 용기를 얻기도 하고 예술을 사랑하는 아드리아나와 사랑에 빠지기도 한다. 그 끝에 다시 현실로 돌아온 그는 더 이상 혼란스럽지 않다. 막막한 현실의 귀퉁이에서 일순간에 도달한 또 다른 세상, 한바탕 꿈을 꾸고 온 듯한 그곳에서 그는 좀처럼 해결되지 않을 것 같은 자신의 사랑과 삶에 대한 실마리를 거머쥐었기 때문이다.

‘러브 앳’의 주인공 라파엘은 현실 속 아내 올리비아에게 깊은 상처를 안겨준 상황. 올리비아는 피아니스트로서의 재능을 포기하고 소설가가 되고픈 그를 위해 희생했지만 성공 가도를 달리기 시작한 그에게 그녀는 조금은 귀찮은 존재가 되어 버렸다. 그러던 중 서운한 감정이 쌓인 올리비아와 그는 싸우게 되고 그날 밤 라파엘은 술에 취해 잠이 든다. 다음 날 눈을 떠 낯선 세상 속에 던져진 라파엘. 그곳에서 그는 또 다른 올리비아를 만난다. 그녀와 사랑에 빠진 그는 반대로 현실의 올리비아에게 해주어야 할 일을 찾게 된다. 라파엘 역시 또 다른 세상에서 혼란스러운 현실 상황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었다.

또 다른 세상으로 간 라파엘은 그곳에서도 올리비아를 만나 사랑에 빠진다. ‘러브 앳’의 장면 ⓒ(주) 크리픽쳐스

병행하여 존재하는 또 다른 세상이라 여겨지는 평행 우주. 그것은 아인슈타인이 밝힌 빛이 파동인 동시에 입자일 수 있다는 양자역학에 근원을 두었다. 이는 반대로 물질을 이루는 입자들이 동시에 파동일 수도 있다는 것을 설명하기도 한다. 우주를 이루는 물질은 입자로 구성되지만 파동은 고정된 위치를 갖지 않는다. 그래서 그것들은 동시에 두 장소에도 있을 수 있고 우주 역시 또 다른 장소에 또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1960년대부터 존재해온 이 평행우주의 개념은 2000년 대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영화 속에 등장하고 있다. 거기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주인공이 과거로 여행을 가면 주인공이 존재하는 자체가 모순이지만 평행우주라 하면 존재가 가능하다는 점, 시리즈의 경우 전작과의 연속성을 무시하고 이야기를 새롭게 만들 수 있다는 점, 마지막으로 흥미진진한 설정이라는 점 때문이다. 초월적 삶 속에 도달한 주인공은 낯설고 신기한 경험을 하고 무한한 자유와 마음의 여유를 만끽할 수 있다.

일본 만화가 와츠키 노부히로는 평행 우주 이야기에 대해 “'또 하나의', 혹은 '또 다른' 이야기이며 가짜가 아닙니다. 하나의 작품을 다시 새로운 형태로 즐길 수 있는 멋진 장치라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한 바 있다.

한편 최근 데일리스타에 나사의 과학자들이 평행우주에 대한 증거를 발견했다는 내용이 보도됐다. 과학자들은 남극 상공에 아니타(ANITA, Antarctic Impulsive Transient Antenna)라는 이름의 안테나를 운반하기 위해 거대한 풍선을 이용했다. 그 덕에 차갑고 건조한 공기가 발견을 방해하는 라디오 소음이 거의 없는 완벽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었다.

나사의 과학자들은 아니타를 이용해 타우 중성미립자가 지구에서 위로 나오는 모습을 발견했다. ⓒ University of Hawai'i at Manoa

그들의 보고서에 따르면 낮은 에너지 입자, 즉 중성미립자는 지구를 완전히 통과할 수 있으며, 우리 행성의 물질과 거의 상호작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더 높은 에너지 물체는 지구의 물질에 의해 정지되었다.

이것은 높은 에너지 입자들이 우주에서 '내려오는' 것만이 감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구 밖으로 나오는 타우 중성미립자라는 더 무거운 입자를 감지하는 것은 이 입자들이 실제로 시간적으로 거슬러 이동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그리고 이 감지는 평행우주에 대한 증거이다.

하와이 대학의 실험 입자 물리학자 겸 ANITA의 수석 연구원인 피터 고럼(Peter Gorham)은 그것이 일어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지구를 통과하기 전에 입자가 다른 종류의 입자로 바뀐 다음 다시 되돌아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아 객원기자
g-story@naver.com
저작권자 2020-06-02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