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여러 병원에 구축된 의료지능을 통합해 환자의 건강 상태를 정밀하게 분석하고 예측하는 인공지능 주치의 '닥터 AI'(Dr. AI)를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코로나19 사태로 비대면 진찰과 의료 데이터를 학습해 분석하는 의료 인공지능(의료지능) 기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가 개발 배경이다.
의료지능 시스템 구축을 위해서는 각 병원이 보유한 전자의무기록(EMR)을 통합해 의료 데이터를 수집하면 되지만, 국내 의료법상 어려움이 있는 게 현실이다.
ETRI가 개발한 닥터 AI는 EMR을 통합하지 않고도 각 병원의 EMR 기반 의료지능을 동시에 활용하는 방식(앙상블)으로 진료를 지원할 수 있다.
민감 정보에 직접 접근하지 않으면서도 다른 기관의 의료 데이터를 공동으로 활용해 빅데이터화할 수 있다.
닥터 AI에 환자의 정보를 입력하면 각 기관 의료지능이 개별적으로 분석해 결과를 통합, 오차를 조정해 최적 예측치를 제시한다.
ETRI는 서울아산병원, 울산대병원, 충남대병원과 함께 74만명의 심혈관계 질환자 EMR을 대상으로 의료지능 진료를 시행, 혈당·혈압 등 질환 지표 예측 정확도를 90% 이상까지 끌어올렸다.
단일 의료기관의 의료지능만 활용하는 경우보다 정확도가 10%가량 높았다.
어떤 병원을 가든 닥터 AI가 구축된 전국의 병원에서 가장 적합한 의료 데이터를 찾아내는 앙상블 의료지능, 병원 방문 빈도와 검진 항목 등 분석 가중치와 집중도를 다르게 둬 예측 정밀도를 높이는 시계열 EMR 의료지능, EMR 데이터뿐만 아니라 심장 CT 영상 데이터를 함께 학습해 심혈관질환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 멀티모달 의료지능 등 기술이 쓰였다.
기술개발 책임자인 최재훈 ETRI 책임연구원은 "환자 데이터가 상대적으로 적은 1·2차 병원뿐 아니라 대형병원도 다른 병원의 의료지능을 동시에 활용해 협진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며 "의료 수준의 상향 평준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닥터 AI 상용화를 위해 내달까지 의료정보업체 대아정보시스템과 함께 연구소기업을 창업할 계획이다.
- 연합뉴스
- 저작권자 2021-10-28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