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스포츠영양학회지, 카페인이 최대 지방 산화를 높이는 잠재적 결정요인 발표
오후 운동 전 커피 한 잔을 마시는 것이 운동 강도를 높이는 것보다 지방 연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돼 관심을 모은다.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이라면 운동 전 카페인 섭취가 지방 연소에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한 번쯤은 들어봤을 것이다. 이미 많은 선행 연구를 통해 카페인이 갈색지방을 활성화해 체중 감량에 긍정적인 효과를 낸다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체중 감량을 위해 운동을 하는 사람은 운동 전에 종종 무첨가 커피를 마시기도 한다.
오후 운동 전 커피 한 잔을 마시는 것이 운동 강도를 높이는 것보다 지방 연소에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게티이미지뱅크
이처럼 카페인이 지방 연소의 보충제 역할을 한다는 일반적인 사실에 생리학적 근거를 더해 줄 연구결과가 최근에 발표됐다.
이 달, 국제 스포츠영양학회지에는 최대 지방 산화(MFO, Maximal fat oxidation)를 높이는 요인으로써 카페인과 운동강도(Fatmax, MFO를 유도하는 운동 강도) 사이에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결과가 게재됐다.
이 연구를 진행한 그라나다 대학(UGR)에 프란시스코(Francisco José Amaro-Gahete) 생리학 박사는 “카페인이 운동 중 MFO를 높일 수 있는 잠재적 결정요인이며, 체중 감량을 위한 다이어트는 오후 시간대에 운동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카페인이 지방 산화 효과를 향상시켜
URG 생리학과 연구진들은 “운동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소비되는 카페인이 실제로 운동 중 지방 산화를 증가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피험자 그룹을 둘로 나누어 한 그룹에는 오전, 오후를 나누어 약 3mg/kg(진한 커피에 해당)의 카페인을 섭취시킨 후 유산소 운동 테스트를 진행했다. 비교군은 카페인 대신 약 3mg/kg의 위약(소화제류)를 섭취시킨 후 동일하게 운동 테스트를 진행했다.
그라나다 대학(UGR) 프란시스코 박사 연구팀의 연구 절차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of Sports Nutrition에서 캡처
이 임상시험을 통해 위약보다 카페인이 평균 MFO를 10.7% 증가시켰다는 사실을 밝혀졌다. 프란시스코 박사는 “우리 연구의 결과 유산소 운동 테스트를 수행하기 30분 전에 카페인 섭취가 최대 지방 산화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 결과는 최대 지방 산화를 위해서 운동 강도(Fatmax)를 높이고, 카페인은 이에 촉매로 여겼었던 기존의 인식을 전복시켰다.
오후 운동과 카페인이 지방 연소에 효과적인 조합
또한 이 연구에서 가장 높은 유효값은 카페인 섭취, 오후 시간대 등 두 가지 변인에서 얻었다.
일반적으로 운동선수의 지구력은 오전과 비교하여 오후에 MFO와 Fatmax가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후 시간에는 아침·저녁에 비해 체온이 높고, 신경활성 및 골격근의 수축성이 강화되며, 운동에 반응하는 카테콜라민 농도가 높게 관찰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리학적 특성에 카페인이 더해지면 MFO를 가장 높은 수준으로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카페인은 아침에 Fatmax를 11.1% 증가시켰으며, 오후에 13.1%만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오후 시간대에 운동이 MFO를 향상시킨다. Ⓒ게티이미지뱅크
실제로 카페인을 섭취한 그룹의 오전 시간대 MFO는 카페인을 섭취하지 않은 그룹의 오후 테스트 값과 거의 같은 결과가 도출됐다. 연구진은 “이 결과는 오전에 카페인을 섭취하고 운동을 하는 것은 오후에 카페인 없이 운동하는 동안 전신 지방 산화를 비슷한 값으로 증가시킨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밝혔다.
이 연구의 결과는 카페인 섭취와 오후에 적당한 강도의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전신 지방 연소를 증가시키려는 사람들에게 최적의 시나리오를 제공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314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9일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은 우리나라 극한소재 실증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교두보 마련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경남 창원 한국재료연구원을 방문해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 현황을 점검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과기정통부가 전했다. 이 사업은 초고온·극저온·특정극한 등 미래 유망소재
/ 금융권에서 전산장애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당국과 각 금융협회가 가이드라인 제정에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29일 금융 정보기술(IT)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이날 금감원 본원에서 각 금융협회와 첫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TF는 오는 6월까지 성능관리, 프로그램 통제, 비상대책 등 3개 과제를 검토하고, 각 협회는 금융회사 의견을 수렴해
/ 시각이나 촉각 센서 도움 없이 계단을 오르내리고 울퉁불퉁한 곳에서도 넘어지지 않고 움직이는 사족보행 로봇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명현 교수 연구팀은 잠에서 깬 사람이 깜깜한 상태에서 시각적인 도움 없이도 화장실을 갈 수 있는 것 같은 블라인드 보행(blind locomotion)을 가능케 하는 로봇 제어 기술 ‘드림워크’(DreamWaQ)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 챗GPT 등장 이후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AI를 바르게 활용할 ‘리터러시’(문해력)를 키워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29일 학교 AI 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현장 교원의 의견을 수렴하는 ‘챗GPT 시대의 AI 리터러시’ 토론회를 이날과 31일 양일간 개최한다고 밝혔다. 토론회에서는 ‘서울형 AI 윤리교육 모델’을 상세히 소개하고 학교의
/ 서울디지털재단은 이달 28∼31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전시인 ‘SCSE(Smart City Summit & Expo) 2023’에 서울관을 최초로 설치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SCSE 주제는 ‘스마트시티의 새로운 차원으로 이끄는 디지털 전환’이다. 47개국에서 1천700개 부스를 마련했다. 서울관은 서울시의 디지털 포용정책 등을 알리는 정책존, 서울의 혁신 서비스와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소개하는
/ “사람마다 속도나 원인이 다른 관절의 노화를 어떻게 하면 제어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았지요.” 휴대전화 센싱(sensing) 기술로 관절의 노화 인자를 찾아내 치료하는 연구에 성공한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진은정 교수는 28일 유전자 전사체(유전체에서 전사되는 RNA 총체)를 먼저 설명했다. 사람마다 얼굴이 다르듯 유전자의 발현 양상이 천차만별인데, 이를 분석·통제하는 게 생명과학 연구의 기본이다. 유전자의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들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3종을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지정된 제품은 딥노이드의 뇌동맥류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코어라인소프트의 뇌출혈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메디컬에이아이의 심부전·심전도분석소프트웨어다.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제도는 식약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던 평가를 통합적으로 진행해, 의료기기가 허가와 동시에 신속하게 의료 현장에 진입하게 하는 제도다. 딥노이드 제품은 뇌혈관 MRA(자기공명혈관조영술) 영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