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7월 미식품의약국(FDA)이 중요한 결단을 내렸다.
그동안 금지해온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체내 임상시험’을 승인한 것. 허가를 받은 기업은 바이오업체인 에디타스 메디슨과 앨러간이었다.
그리고 지금 에디타스 메디슨(Editas Medicine)에서 선천성 안질환으로 실명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하고 있는 중이다. 크리스퍼를 안구에 집어넣은 다음 실명의 원인이 되고 있는 유전자를 건강한 유전자로 교체해 시력을 되찾게 하려는 것.
미국 케이시 안과연구소에서 3~17세 환자들을 대상으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체내 시술’이 진행되고 있다. 환자 몸 안에서 결핍 유전자를 교체하는 크리스퍼 시술이 시도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Casey Eye Institute
실제 몸 안에 ‘크리스퍼’ 주입은 처음 있는 일
시술이 진행되고 있는 곳은 오레곤 보건‧과학대학 케이시 안과연구소(Casey Eye Institute)다.
5일 ‘가디언’, ‘NPR’ 등 주요 언론들은 사상 최초의 크리스퍼 유전자가위(Crispr-Cas9) 체내 시술이 지금 미국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시술 대상은 유전성 희귀질환인 ‘레베르 선천성 흑암시(LCA)’를 앓고 있는 3~17세 환자 18명이다. 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시력이 소실되고, 눈 떨림, 완만한 동공반사, 망막이상증 등으로 인해 고통을 겪어왔다.
시술에 참여하고 있는 하버드 대학의 안과학자인 에릭 피어스(Eric Pierce) 박사는 “현재 환자 중 일부에 시술을 진행하고 있으며, 안전성과 효과가 확인되면 시술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성공 여부는 수 주일 안에 알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실명했던 시력이 회복될 수 있는지 여부는 2~3개월 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과학자들은 난치병 치료를 위해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적용을 확대하려는 노력을 적극적으로 기울여왔다.
그러나 생태보존, 유전자편집 아기 출산 등의 문제로 각국 정부가 크리스퍼 시술을 철저히 규제하면서 특정 암이나 겸상적혈구 빈혈증, 베타지중해빈혈과 같은 희귀병 치료에 국한해 부분적인 적용에 만족해야 했다.
시술 역시 인체 밖에서 진행해야 했다. 환자의 몸에서 세포를 떼어내 크리스퍼로 유전자를 편집한 후 다시 몸 안에 주입해 치료 효과를 기다리는 간접적인 방법을 시도해왔다.
그러나 이번 시술은 환자의 몸 안에서 직접 이루어지는 최초의 사례다. 그런 만큼 의료계는 물론 세계 전역에 퍼져 있는 환자들로부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시술이 성공적으로 끝날 경우 큰 반향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파괴된 세포 3분의 1까지 회복 가능해
유아기에 시작되는 LCA는 서서히 망막에 있는 빛을 감지하는 세포(light-sensing cells)를 파괴하는 무서운 질환이다.
이로 인한 시각장애는 명암을 감지하지 못하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움직임은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법적으로는 완전 실명자로 돼 있지만 실제로는 환영(vision)을 부분적으로 감지할 수 있었다.
현재 케이시 안과연구소 연구진은 LCA를 치료하기 위해 미세한 현미경으로 봐야 할 만큼 작은 물방울 크기의 약물을 머리카락 굵기의 작은 튜브를 통해 환자 망막에 주입했다.
약물 안에는 인체에 해가 없는 다수의 바이러스가 들어 있는데 망막 안으로 들어가 그곳에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를 설치하는 일을 맡고 있다. 이번 시술을 위해 특별히 조작된 바이러스로 수차례의 실험을 거쳐 성공률을 완벽한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피어스 박사는 “지금 파괴된 시각 세포 중 10분의 1에서 3분의 1까지 재생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또 “유전자편집이 완료될 경우 그 효력은 영구적이며, 환자들은 부분적으로 시력을 유지하게 된다.”고 말했다.
이번 시술이 있기 전 연구팀은 수차례의 동물 실험을 통해 손상된 시력의 50% 이상을 회복하는 시술 효과를 확인한 바 있다.
최종 목표는 이 유전자편집 도구가 LCA를 유발하는 유전자를 떼어내는 것이다. 이 작업이 성공적으로 끝나면 손상되고 있던 내부 단백질이 다시 생성돼 빛 감지 세포의 소멸을 막고, 환자가 시력을 회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술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지켜보고 있는 과학자들 역시 성공을 예상하고 있는 중이다. 무엇보다 가장 큰 기대를 걸고 있는 곳이 미 정부의 국립보건원(NIH)이다.
프랜시스 콜린스(Francis Collins) 원장은 미 국영방송인 ‘NPR’과의 인터뷰를 통해 “그동안 많은 사람이 크리스퍼 유전자가위의 시술을 꿈꿔왔다.”며, “이번 시술이 수많은 환자들에게 희망을 안겨줄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과학자들 역시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의 진 베네트(Jean Bennett) 박사는 “크리스퍼가 이전 1, 2세대 유전자가위 기술과 비교해 월등한 능력을 지니고 있다.”며, 이번 시술이 성공적으로 끝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900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서울대 연구진이 차세대 리튬금속 배터리 전해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유기-물리화학적 성질을 최초로 발견했다. 서울대는 임종우 자연과학대 화학부 교수 연구진이 불소를 제거한 유기분자로 리튬금속음극 안정성을 대폭 향상해 1천500회 이상 충·방전 사이클을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그린수소 생산 기술로 불리는 물 전기분해의 효율을 높이는 전극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교수 연구팀은 전극 표면에 수화젤(Hydrogel)을 코팅해 물 전기분해의 성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 전기분해는 물에 담긴 전극에 전류를 흘려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는 기술이다.
비타민K는 몸 안에 축적되는 지용성 비타민 가운데 하나다. 비타민K는 식물에서 주로 합성되는 K1(필로퀴논)과 장(腸) 박테리아가 만드는 K2(메나퀴논) 두 종류가 있다. 비타민K는 혈액의 응고와 뼈의 생성에 관여한다. 따라서 비타민K가 부족하면 지혈 장애나 뼈 손실이 올 수 있고, 너무 많으면 혈전 위험이 커진다.
국제천문연맹(IAU, 이하 '연맹')은 외계행성계 20개의 이름을 짓는 국제공모전을 8일 연다고 밝혔다. 연맹은 이날 오전 연맹 총회가 열리고 있는 부산 벡스코(BEXCO)에서 언론브리핑을 열고 국제공모전 'NameExoWorlds 2022'(외계행성 이름짓기 공모전)을 소개했다. 연맹은 이 공모전을 통해 태양계 밖에 있는 항성(별)과 그 항성을 공전하는 행성으로 구성된 외계행성계 20개의 이름을 정할 예정이다.
염증(inflammation)은 손상된 신체 조직을 치유하고 외부로부터 들어온 해로운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체내에서 자연적으로 나타나는 생물학적 반응이다. 한마디로 염증은 면역 반응에 의한 염증 유발 물질의 분비를 일컫는 말이다. 만성 염증은 심장 판막과 뇌세포를 손상하면 심장병과 뇌졸중이 나타난다. 또 인슐린 저항을 촉진해 당뇨병 위험을 증가시키고 암까지도 일으킬 수 있다. 비타민D의 결핍이 만성 염증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170여년 사이 학자들의 연구대상이 된 500여 건의 이상기후 현상을 분석해보니 전체의 71%가량에서 인간이 영향을 미친 사실이 확인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매체는 영국의 기후 정보 웹사이트 '카본 브리프'(Carbon Brief)가 수집한 1850년부터 올해 5월 사이의 이상기후 현상 504건에 대한 연구 보고서 400여개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이 도출됐다고 전했다. 인간 활동의 영향으로 발생 확률이 높아지거나 기후변동의 폭이 커진 사례가 전체의 3분의 2에 육박했다는 것이다.
5일(한국시간) 미국에서 발사된 한국의 첫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KPLO·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는 우주인터넷 실험과 달 착륙 후보지 탐색을 위한 관측 등 임무를 맡는다. 임무 수행은 다누리가 달 상공 100km 궤도에 올해 말 성공적으로 진입한 후부터 이뤄질 예정이며, 기간은 내년(2023년) 초부터 말까지 1년간으로 계획돼 있다. 다만 남은 연료의 양에 따라 단축되거나 연장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