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연구팀, RNA 화학 변형시키는 유전자 가위 기술 개발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 연구팀이 리보핵산(RNA) 유전자 가위(유전자 교정 기술)를 이용해 RNA를 화학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RNA 유전자 가위는 코로나바이러스 등 바이러스의 RNA를 제거해 감염을 억제하거나 질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 발현을 조절할 수 있어, 부작용이 적은 차세대 유전자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6-11 ⓒ ScienceTimes 태그(Tag) #DNA #RNA #유전자 #유전자가위 #표적아세틸화 관련기사 "하얼빈에서 발견된 고대 인류 두개골 주인공은 데니소바인" 2021년 신종 고대 인류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로 세계적인 관심을 끈 14만6천년 전 인류 화석 하얼빈 두개골(Harbin cranium)이 데니소바인 계통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새로운 고대 인류 '호모 롱기'로 분류됐던 하얼빈 두개골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중국과학원 고척추동물 및 고인류학 연구소 푸차오메 1천800년 전 경주 월성에 묻힌 개는 동경이?…유전자 비밀 푼다 경주 월성에서 발견된 개 뼈. 지난 11일 경북 경주시 신라월성연구센터 숭문대에서 공개된 월성 남성벽 출토 개 뼈 모습.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는 3세기 사로국 시기에 의례를 지내며 묻은 것으로 추정되는 개 뼈를 중심으로 월성 출토 개의 유전자를 분석하고 연구할 예정이다. 2025.6.18 ⓒ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10월 경주 월성(月城) 루게릭병 유전자 변이가 일으키는 병리적 변화 밝혔다 루게릭병 발병에 NEK1 변이가 미치는 영향 ⓒ한양대 노민영 연구교수 제공 국내 연구진이 근위축성 측색경화증(일명 루게릭병)의 원인 유전자가 일으키는 병리적 변화 과정을 확인했다. 한국연구재단은 한양대학교 김승현 교수와 한국뇌연구원 남민엽 박사 공동 연구팀이 루게릭병의 원인 유전자로 알려진 'NEK1'의 변이가 신경세 슈퍼박테리아가 만든 보호막, 미세방울로 뚫는다 슈퍼박테리아 보호막 무력화 기술 모식도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정현정 교수와 미국 일리노이대 공현준 교수 공동 연구팀이 슈퍼박테리아인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이하 포도상구균)의 보호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미세방울(microbubble) 기반 유전자 전달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29일 밝 굶주린 세포의 DNA 복구 능력 이용해 유전자가위 정확도 높였다 자가포식 유도를 통한 유전자 정밀 편집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포에 자가포식(세포가 자신의 일부를 분해해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하는 과정)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유전자 정밀 편집의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한국화학연구원 남혜진 박사 연구팀은 서울대 의대 조동현·배상수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세포에 자가포식을 UNIST·IBS "DNA 연결고리 자르는 단백질 작동 방식 규명" LEM-3 단백질의 기능과 각 영역별 역할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우리 몸의 세포 분열 과정에서 DNA 연결고리가 사라지지 않으면 염색체가 비정상적으로 나뉘어져 유전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연결고리를 자르는 단백질의 작동 방식이 밝혀졌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의과학대학원 안톤 가트너 특훈교수와 기초과학연구원(IBS) 부산대 연구팀, 유전자 가위 부작용 예측 맞춤형 도구 개발 유전자 가위 부작용 예측하는 맞춤형 도구 알고리즘 개요도 ⓒ부산대 제공 부산대학교 연구팀이 유전자 가위의 부작용을 예측하는 맞춤형 도구 개발에 성공했다. 부산대학교 의생명융합공학부 박정빈 교수 연구팀은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김혜란 교수와 협력해 개인별 유전체 변이를 고려해 유전자 가위의 정확한 작용 위치와 잠재적 부작용 위치를 예측 치즈냥·삼색냥 털색깔 비밀은…고양이 애호가 日교수가 풀었다 삼색얼룩털 고양이와 사사키 히로유키 규슈대 교수. 2025년 5월 15일(현지시간) 생명과학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고양이 털 색깔에 관한 유전학적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을 발표한 일본 규슈대 사사키 히로유키 교수가 삼색얼룩털 고양이를 어루만지고 있다. ⓒ사사키 히로유키 규수대 교수 제공 영어권에서 '진저 캣 ‘폭싹 속았수다’ 속 애순의 생존 유산은 해녀 유전자? 물질에 특화된 유전자가 있다? "애순아, 살다가 똑 죽겠는 날이 오거든 잠녀 엄마 물질하던 생각해. ...(중략)... 죽어라 팔 다리 흔들면 꺼먼바다 다 지나고 반드시 하늘 보이고 반드시 숨통 트여” 올해 최고 화제작으로 꼽히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속 대사다. 극중 주인공 애순(이 "제주 해녀는 유전자가 다르다…잠수 적응 돕는 변이 확인" 임신 중에도 호흡 장비 없이 차가운 바닷속에 잠수하는 제주 해녀들은 저체온증 내성을 높여주는 변이 등 잠수에 도움이 되는 유전적 변이를 가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제주 해녀 ⓒMelissa Ilardo 제공 미국 유타대 멀리사 일라르도 교수팀은 3일 과학 저널 셀 리포트(Cell Reports)에서 제주의 해녀와 해녀가 아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눈을 감고도 어둠 속을 볼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역류가 대사 질환을 유도하는 메커니즘 발견 아기 습진, 너 좀 없어지면 안되겠니? 영하 196도에서 고압 견디는 우주발사체용 부품 시험 성공 루게릭병 유전자 변이가 일으키는 병리적 변화 밝혔다 UNIST "1초에 100만번 일어나는 생체효소 분자 반응 포착" '유도미사일' 약물로 췌장암 치료 효과 획기적으로 높인다 수은 배출 줄었지만 북극 오염 증가 이유는…"해류 통한 유입" UNIST, 휴대폰 액정화면으로 활용 가능한 반투명 태양전지 개발 딥러닝 기반 가상 염색을 통한 3차원 조직검사 기술 개발 속보 뉴스 에너지硏, 초대형 풍력발전기 블레이드 설계기술 국산화 암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면역까지 유도하는 나노물질 "친환경 화학원료 생산성 1.7배 높이는 대장균주 개발" "호주 보공나방, 밤하늘 별빛 이용해 매년 1천㎞ 이동한다" "하얼빈에서 발견된 고대 인류 두개골 주인공은 데니소바인" "만성 요통 위험 줄이는 데는 많이 걷는 게 효과적" 1천800년 전 경주 월성에 묻힌 개는 동경이?…유전자 비밀 푼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