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2-12-07 ⓒ ScienceTimes 태그(Tag) #FEDOR #Hubo #Justin #Kirobo #R2D2 #Robonaut #국제우주정거장 #로봇 #연구정보중앙센터 #휴머노이드로봇 관련기사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한 KAIST 연구팀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체 부산물을 연료로 사용해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마이크로·나노급 입자 기반 비(非) 생명체 자가 추진 로봇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세포 등 생명체를 이용한 사람과 랠리하는 배드민턴 로봇의 등장 지난 4월 중국 베이징에서는 세계 최초로 휴머노이드 로봇을 위한 하프 마라톤 대회가 열렸다. 이는 로봇 기술의 놀라운 진보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이벤트였다. 과거의 로봇들은 주로 단순 작업만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설계되어 있었기 때문에 인간처럼 유연하게 움직이거나 상황에 맞춰 반응하는 모습을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최근에 많이 등장하는 춤을 추 "데이터 전송 부담 덜며 정확도 높인 로봇 비전 센서 개발" 연구진 모습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밝기가 일정하지 않은 상황에서도 사물의 윤곽 정보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추출하는 로봇 비전 센서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UNIST 신소재공학과 최문기 교수팀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최창순 박사팀, 서울대학교 김형 교수팀과 함께 시냅스 모방 로봇 비전 센서를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KAIST 4족 보행로봇 시속 14㎞로 계단·징검다리도 '거뜬' 라이보가 다양한 불연속 지형에서 주행하는 모습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황보제민 교수 연구팀은 계단이나 징검다리 등 불연속적인 지형에서도 고속으로 이동할 수 있는 4족 보행로봇 내비게이션 프레임워크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4족 보행로봇은 모래, 얼음, 산악 등 다양한 지형에서 보행할 수 있어 감시& "로봇이 받는 힘 그대로 인간 팔에 전달" 지스트·MIT 공동개발 'TelePulse' 개발한 GIST·MIT 연구팀 ⓒ광주과학기술원 제공 로봇이 받는 물리적 힘을 사람의 팔에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햅틱(Haptic) 시스템이 개발됐다.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AI융합학과 김승준 교수 연구팀이 미국 MIT 연구팀과 공동으로 원격 로봇과 인간을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물속에서 '빛으로 움직이는' 소프트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 연구 모식도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물속에서도 자유롭게 작동하는 광(光)화학 기반 '소프트 로봇용 인공 근육'이 개발됐다. 한국화학연구원은 김현 박사와 부산대 이하범 교수, 미국 텍사스 에이 앤 엠(Texas A&M)대 테일러 웨어(Taylor H. Ware) 교수 공동 연구진이 빛으로 움직이는 결정성 액정 탄성 로봇으로 척추수술 환자 보행 재활…일상 수행능력 39% 향상 로봇 보조 보행 훈련 개념 설명 사진. (a) 보행 보조 훈련 로봇 전면 및 (b) 후면. (c) 로봇을 활용해 보행 보조 훈련 중인 환자 후면. (d) 측면 요추 방사선 사진과 (e)척추 보조기를 착용하고 보행 보조 로봇 훈련을 받는 환자 모습 ⓒ강남세브란스병원 제공 척추 수술 후 환자의 보행 재활 훈련에 로봇을 활용했을 때의 안전성과 우주기술, 일상의 혁신을 이끌다 (2) ⓒ사이언스타임즈 우주 기술은 우리의 환경 그리고 매일 사용하는 생활용품에도 깊이 스며들어 있다 우주 기술은 놀랍게도 환경 보호와 신재생 에너지 발전에도 큰 기여를 하고 있다. 우주선용으로 개발된 태양전지 기술은 지상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효율을 크게 향상시켰으며, 특히 국제우주정거장(ISS)의 태양전지 패널 기술 아주대 연구팀, 전방위 물체 조작 가능한 고성능 로봇 손 개발 아주대학교는 본교 연구팀이 다양한 방식으로 물체를 쥐거나 조작할 수 있는 로봇 손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로봇 그리퍼 ⓒ아주대 제공 종전에 활용됐던 3지 형태의 로봇 손인 '로봇 그리퍼'(Robot Gripper)는 잡거나 놓는 수준의 작업만을 수행할 수 있었다. 이에 김의겸 아주대 기계공학과 교 세계 최초의 목재 위성이 우주로 발사되다 혁신적인 목재 위성의 탄생 일본의 한 연구진들은 언젠가 인류가 화성에 정착하여 집을 짓는 데에 목재가 사용될 수 있다고 굳게 믿고 있다. 이들은 이러한 기상천외한 생각을 바탕으로 목재로 만든 위성을 개발했다. 나사나 접착제 없이 호노키 나무(honoki: 목련 나무의 일종으로 일본에서 자생함)로 제작한 이 위성은 인류의 우주 개발 역사에서 새로운 장을 열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카페인 수혈’ 위해 마신 블랙커피, 수명을 늘린다 식사 시간만 바꿔도 운동 능력이 달라지는 비결, 지방에 있었다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철분 부족이 자궁 속 태아를 여성으로 바꾸다 [카자흐스탄 리포트 1] 카자흐스탄, KAIST 모델로 공과대 설립 추진 "기술 자립을 위한 전략" 명화 복원, AI로 3시간 만에 끝낸다 스위스는 어떻게 미리 산사태를 미리 막을까? 한세기를 건너온 수수께끼, 한국 행성과학자 이연주 단장이 풀어낸다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 PET병에서 타이레놀 성분 만든다" 와이파이 속도의 100배 '라이파이' 보안까지 높인다 속보 뉴스 "남극해, 2015년 이후 더 짜지고 있다…해빙 감소 가속 요인" "포유류 진화에서 가장 최근에 등장한 종은 노르웨이레밍" 한의학硏 "면역항암제 돕는 보중익기탕의 면역조절 원리 확인" UNIST "녹나무 유래 물질로 태양전지 효율·수명 향상" 외부 수소 공급 없이 상온에서 자일리톨·자일론산 생산 "돼지-인간 신장 이식 거부반응, 10일 후 시작돼 33일 최고조" KAIST,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개발…연료는 생체 부산물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