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눈으로 볼 수 있는 혜성이 온다

1월 중순에 가장 근접, 지구에 위험은 없어

2017년을 환영하는 혜성이 1월 중순쯤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궤도에 다가온다고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최근 발표했다. 이 혜성은 성능이 좋은 망원경으로 볼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는 맨 눈으로 관측이 가능할 정도로 밝아질 가능성도 있어서 천문학자들의 관심을 끌고있다.

지난해 10월 발견, 망원경 관측 가능

이 혜성은 미국 항공우주국이 발사한 네오와이즈(NEOWISE) 탐사선이 지난해 10월에 발견한 것으로 현재 안전한 궤도로 태양계로 다가오고 있다. 이 혜성은 지구에 가까워질수록 점점 밝아지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미 항공우주국은 “지금부터 1월 14일 사이에는 망원경으로 볼 수 있으며, 운이 좋으면 맨 눈으로도 관찰이 될 것”이라고 외신들은 전했다.

혜성의 1월 14일 궤도 ⓒNASA

혜성의 1월 14일 궤도 ⓒNASA

이 혜성의 이름은 C/2016 U1 네오와이즈(NEOWISE)이다. 나사의 지구근접물체(Near-Earth Object NEO) 센터의 폴 초다스(Paul Chodas) 국장은 “혜성의 밝기는 워낙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확신할 수 없지만, 망원경으로 볼 수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외신들은 C/2016 U1 네오와이즈 혜성의 밝기가 아마도 1월 중순이면 맨 눈으로 관측이 가능한 +6매그니튜드 까지 도달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혜성의 밝기를 측정하는 ‘밝기 매그니튜드’는 밤 하늘에서 얼마나 밝은지를 보여주는 척도로서 숫자가 적을수록 더 밝다. 예를 들어 금성의 경우 가장 밝을 때가 -4.4이고 달은 가장 밝을 때가 -12.7 매그니튜드이다.

그러나 혜성은 얼음, 먼지,  돌조각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밝기를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태양으로 가까이 다가감에 따라 혜성은 급격히 열이 오르면서 사방으로 아름답고 멋진 꼬리를 만들어 뿌린다. 이 같은 변화가 밤 하늘에 혜성이 얼마나 밝게 빛나는지를 보여주는데 큰 변화를 가져오지만, 워낙 변화무쌍하기 때문에 혜성의 밝기는 정확히 예측이 안된다.

과학자들은 C/2016 U1 네오와이즈 혜상의 궤도주기가 수 백 만 년은 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시 말해 이 혜성은 아마도 태양계를 처음 방문하는 것이며, 이번에 한 번 관측하면 다시는 살아있는 동안에는 또 볼 수 없을 것이다.

지금까지 이 혜성이 지구에 가장 가까웠던 지난해 12월 13일 지구에서 1억600만km지점을 지났다. 나사는 1월 14일에  이 혜성이 다시 1억4천만km 지점까지 가까워진다고 발표했다. 이는 지구에서 달까지 거리의 350배나 먼 거리이므로, 이 혜성이 지구에 조금이라도 위험을 가져올 가능성은 거의 없다.

과학자들은 1월 들어 북반구에서 이 혜성이 관측될 것으로 전망했다. 천문학자들은 북위 30도 지역에서는 새벽에 동쪽 지평선 25도를 관찰하라고 조언한다.

2009년 발사 네오와이즈 탐사선, 소행성 100개 발견

네오와이즈 탐사선은 지난해 11월 27일에는 또 다른 물체인 2016 WF9를 발견했다. 이 물체는 어두우면서도 직경이 1km 정도로 비교적 큰 물체로, 태양계의 목성궤도로 접근 중이다. 과학자들은 아직 이 물체가 혜성인지 소행성인지 분간하지 못한 채, 아마 한 때는 혜성이었거나 혹은 소행성에서 왔을 지도 모른다고 추정했다.

1월 14일 지구상으로 접근하는 C/2016 U1 네오와이즈 혜성과는 달리 2016 WF9는 가스나 먼지 같은 것을 분출하지는 않는다. 2016 WF9는 2월 25일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했을 때가 지구에서 5,100만km떨어진 지점으로 예상된다. 이 거리 역시 매우 멀기 때문에 지구에 아무런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나사는 발표했다.

2월 중순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로 접근하는 2016 WF9 상상도 ⓒ NASA

2월 중순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거리로 접근하는 2016 WF9 상상도 ⓒ NASA

나사의 네오와이즈 탐사선은 광대역적외선탐사선(Wide-Field Infrared Survey Explorer WISE)의 하나로 2009년 발사됐다. 2011년 이 탐사선의 우주망원경은 잠시 활동을 멈췄다가 2013년 다시 활동을 재개했다.

나사는 “2016 WF9가 혜성으로 밝혀지면, 네오와이즈 탐사선이 다시 활동한 이래 10번째 발견하는 혜성이 되고, 만약 소행성으로 밝혀진다면, 100번째 발견하는 소행성이다”고 말했다.

혜성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물론 핼리혜성(Halley’s comet)이다. 이 혜성은 75~76년 주기로 지구를 방문하는 매우 특이한 존재이다. 지구상에서는 핼리혜성은 맨 눈으로 관측할 수 있으며, 한 사람이 일생동안 유일하게 두 번을 볼 수 있는 짧은 주기 혜성이다. 마지막으로 지구를 방문한 것은 1986년 3월이었으며, 다음 방문예정일은 2061년 중순이다.

영국의 천문학자 에드문드 핼리 (Edmund Halley 1656~1742)는 핼리 혜성이 주기적으로 방문한다는 사실을 1705년 처음 발견했기에 혜성에 그의 이름을 붙였다.

핼리혜성의 핵은 지름이 8km에 불과할 정도로 작지만, 무려 10만km에 달하는 긴 꼬리를 달고 움직이므로 사람들이 맨 눈으로 관찰이 가능하다.

(5428)

뉴스레터 구독신청
태그(Tag)

전체 댓글 (0)

과학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