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은 마음의 창이라고 한다. 사람의 눈을 보면 그 사람의 상태를 알 수 있다. 눈을 마주치기를 싫어하는 사람들은 무엇인가 속이거나 감추려고 하는 것이다.
최근 이런 속설이 과학적 근거를 갖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28일 남호주 대학(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연구진은 눈동자의 움직임만 파악해도 그 사람이 사회적인 사람인지, 호기심이 많은지 혹은 신중한 사람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인간신경과학 프론티어(Frontiers in Human Neuroscience) 저널에 발표됐다.
남호주 대학 연구진은 독일 막스프랑크정보연구소(Max Planck Institute for Informatics)와 공동으로 최신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해 사람의 개성과 눈동자의 움직임 간 연관 관계를 밝히는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진은 사람 눈동자의 움직임을 추적한 뒤, 성격을 파악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사람의 성격을 신경질적(neuroticism), 외향적(extroversion), 쾌활(agreeableness), 신중(conscientiousness) 등으로 구분했다.
실험 참가자는 총 50명. 여성 42명, 남성 8명으로 이들의 평균나이는 21.9세이다.
실험 참가자들은 SMI(SensorMotoric Instruments)의 최첨단 장비인 60Hz짜리 시선 추적기를 머리에 착용했다. 이 추적기는 시선의 움직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동시에 크로스 백에 장착한 이동전화기는 고해상도로 실험참가자의 움직임을 촬영했다.
실험 참가자들은 시선 추적기를 착용하고 평소처럼 캠퍼스를 10분 정도 돌아다니면서 캠퍼스 안 상점에서 자기가 원하는 것을 구입했다. 예를 들어 마실 것이나 과자 같은 것이다.
시선 추적기 달고 실제 상황에서 실험
연구진은 시선 추적기의 상태가 일정하지 않거나 데이터가 손실된 것을 제외하고 42명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평균 시선 추적 시간은 12.51분이었으며 상점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평균 2.36분이었다.
실험실로 돌아온 다음에 이들은 시선 추적기를 벗고 이미 효과가 입증된 3가지의 설문지를 작성했다.
첫 번째 설문지는 신경질적, 외향적, 개방적, 쾌할함, 신중함 등을 측정하는 60개 문항을 다루는 NEO Five-Factor Inventory (NEO-FFI-3)이다.
두 번째 설문지는 지각에 대한 호기심을 측정하는 16개 항목의 퍼셉튜얼 큐리오시티(Perceptual Curiosity)이다. 세 번째 설문지는 호기심을 다루는 10개 항목인 Curiosity and Exploration Inventory (CEI-II)이다.
남호주 대학의 토비아스 뢰셔(Tobias Loetscher) 박사는 “이번 연구는 지금까지는 잘 조사되지 않은 눈의 움직임과 개인 성격 사이의 관계를 밝혀준다”고 말했다.
뢰셔 박사는 이번 연구가 인간-기계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사람들은 항상 개인화된 서비스를 요구하지만, 오늘날의 로봇과 컴퓨터는 사람의 성격이나 특징을 파악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로봇과 컴퓨터가 좀 더 자연스럽게 인간의 사회적 신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사실 최근 몇 년 동안 시선추적기술은 기업들로부터 큰 관심을 끌어왔다. 때문에 애플(Apple)은 SMI(Senso Motoric Instruments)를, 오컬러스(Oculus)는 아이트라이브(Eye Tribe)를 인수해 관련 시장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가상현실(VR)이나 증강현실(AR)에 시선추적기술이 더해지면 응용분야는 크게 늘어난다.
그렇기에 이번 연구는 더욱 주목받고 있다. 실제 상황에서 자연스러운 눈의 움직임을 추적해 밝힌 것이기에 활용될 분야가 많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지금까지 진행됐던 유사 연구들은 전부 실험실 안에서만 이뤄졌다.
(650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귀금속 수전해 촉매 대체재로 주목받고 있는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소재의 촉매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합성법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박혜성 교수와 동국대 융합에너지신소재공학과 한영규 교수, 성균관대 신소재공학부 백정민 교수 공동연구팀은 고농도 바나듐 원자가 도핑된 몰리브덴 이황화물 박막 합성법을 개발했다. 공동연구팀은 전기 전도도 변화를 위해 첨가하는 도펀트 원자의 배열을 제어해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기반 수전해 촉매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였다.
힘줄과 혈관 같은 콜라겐에 기반한 섬유조직의 기능을 시각화하는 레이저 음향 이미지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이차전지로 주목받는 마그네슘 전지를 일반 전해질에서도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에너지저장연구센터 이민아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부식성 첨가제가 없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일반 전해질로도 마그네슘 전지를 고효율로 구동할 수 있는 마그네슘 금속 화학적 활성화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여름철에 북극해 얼음(海氷)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기가 2030년대로 기존 예측보다 10년 앞당겨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스텍 민승기 교수·김연희 연구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7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노력과 상관 없이 2030~2050년 여름철에 북극의 해빙이 소멸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북극 해빙이 사라지는 시기가 기존 예상보다 10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됐다며 이는 인간 활동이 북극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까운 미래에 계절적으로 얼음 없는 북극에 대비하고 적응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퇴행성 뇌 질환인 파킨슨병을 혈액 검사로 진단하는 방법이 일본 연구팀에 의해 개발됐다고 아사히신문이 6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준텐도(順天堂)대학 등 연구팀이 개발한 이 연구 성과는 최근 국제적인 의학 저널 '네이처 메디신'에 실렸다. 현재 파킨슨병을 진단하려면 CT 촬영 등을 해야 하지만, 이 연구팀이 개발한 혈액 검사 방식으로 간편하게 진단이 이뤄지면 질병의 조기 발견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농촌진흥청은 저온 플라스마를 처리한 땅콩 겉껍질에서 미백과 주름 개선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확인했다고 2일 밝혔다.
질병관리청은 C형간염을 치료할 경우 간암에 걸리거나 간암으로 사망할 위험성이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질병청이 분당서울대병원과 공동 수행하는 '한국 C형감염 코호트 연구'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C형간염을 치료한 사람이 간암에 걸릴 확률이 치료하지 않은 사람보다 59%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암으로 사망할 확률은 74%, 간경변 합병증에 걸릴 확률은 90% 줄어드는 것으로 밝혀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