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지금] 로마 군인들이 신들에게 경의를 표했던 2000년 전 사원 유적 발견
6월 25일, 네덜란드 당국은 네덜란드 고고학자들이 2000년 된 새로운 로마 사원 단지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고고학자들은 기와지붕과 밝게 칠해진 벽이 있는 언덕에서 거대한 갈로-로마 사원(Gallo-Roman temple)의 복합단지를 발견했다.
특히, 두 번째 발견된 사원은 첫 번째 발견된 사원에서 몇 미터 떨어져 있었으며 다소 작은 크기의 사원이었다. 고고학자들에 따르면 이 사원들은 로마 군인들이 중요하고 경건한 모임을 열 때 이용되었을 것으로 예측했다. 로마 군인들이 그들의 신과 여신들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만든 사원의 유적으로 분석된다. 위 발견은 매우 특이한 발견으로 여겨지는데, 그동안 네덜란드에서 이처럼 완전한 복합단지가 발견된 적이 없기 때문이다.
네덜란드에서 2000년 된 새로운 로마 사원 단지가 발견되었다. ⓒ Cultural Heritage Agency of the Netherlands, Reuters
위 발굴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네덜란드의 중동부 겔더란트(Gelderland) 지방에 위치한 헤르윈-헤멜링 마을(Herwin-Hemeling: 네덜란드-독일 국경에서 가까움)에서 수행되었다. 발견에 참여한 고고학자들은 사설 고고학 컨설팅 회사 RAAP 소속이며, 이들은 이미 로마인들이 위 지역에 정착했었음을 예측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들은 2021년에 이미 유물 일부를 위 지역에서 발견했기 때문이다. 2021년의 발견을 기반으로 이들은 네덜란드 국립 문화유산 기관에 더 큰 발굴을 촉구하게 되었으며 마침내 거대한 사원 단지를 발견하게 되었다.
네덜란드에서 2000년 된 새로운 로마 사원 단지가 발견되었다. ⓒ Cultural Heritage Agency of the Netherlands, Reuters
로마는 처음에 남쪽으로만 영토 확장을 시도했다. 하지만 기후가 점점 따뜻해지면서 북쪽으로도 진격하기 시작했다. 로마는 서기 117년 정도에 가장 넓은 영토를 자랑하고 있었는데, 이때에도 기후가 좋은 지역만 지배하고 있었다. 예를 들면 영국에서도 잉글랜드 부분만 지배하고 있었으며 이탈리아를 포함한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스 등의 남유럽, 아프리카 중 북부, 아시아 중 터키 땅을 포함한 서부만을 지배하고 있었다. 이외에도 서유럽에서는 날씨가 좋다고 여겨지는 프랑스, 스위스, 오스트리아 지역만 완벽히 지배하고 있었으며, 북부 독일과 네덜란드 지역은 상대적으로 적은 영토를 가지고 지배하고 있었다.
새로 발견된 사원은 로마의 영토로 예측되는 땅에서 경계 부분에 해당한다. 위 지역은 로마 제국의 최북단 영토에 속하는 지역이기에 의미 있는 유적지 발굴이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기 쉽지만, 위 지역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로마 라임(Limes Germanicus)이 근접해 있는 지역이다.
네덜란드 문화재청에 따르면 발굴 현장에서 신상, 부조, 회반죽 등의 다양한 유물들이 발견되었으며 여러 신과 여신에게 바치는 여러 개의 완전한 봉헌석을 발견했다고 한다. 네덜란드 당국은 위 발견이 네덜란드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매우 이례적인 것이라고 전했다. 고고학자들에 따르면, 로마의 본토에서 다소 멀리 떨어진 위 지역에서 거주했던 군인들이나 고위 관리들은 날씨가 좋지 않은 북부 지역에 머무는 것만으로도 감사를 표하며 기도를 할 이유가 충분했을 것이라고 전했다.
신과 여신들에게 바치는 여러 개의 봉헌석들이 발견되었다. ⓒ Cultural Heritage Agency of the Netherlands, Reuters
신과 여신들에게 바치는 여러 개의 봉헌석들이 발견되었다. ⓒ Cultural Heritage Agency of the Netherlands, Reuters
고고학자들에 따르면, 로마 군인들은 대략 1세기에서 4세기 사이에 작은 제단인 봉헌석을 세웠으며, 이 봉헌석은 바타비(Batavi)족의 지배자 신인 헤르쿨레스 마구사누스(Hercules Magusanus)에 경의를 표하기 위함이라고 한다. 또한 제우스 (Zeus, 로마신화 명: 유피테르 Jupiter)과 그리스와 이집트의 신으로 알려진 세라피스(Serapis), 그리고 전령의 신인 메르쿠리우스 (Mercurius, 그리스 신화 명: 헤르메스)를 숭배하기 위한 봉헌석도 발견되었다.
고고학자들은 로마 군인들이 만든 깊은 구덩이 및 여러 문양이 새겨진 기와, 채색된 이미지로 장식된 회반죽 및 기타 부서진 석회암 조각 등의 잔해도 발견했다. 또한, 전투 갑옷, 말 마구, 창 및 창과 같은 여러 군사 물건도 발견했다.
이외에도 수많은 유물들이 발견되었다. ⓒ Cultural Heritage Agency of the Netherlands, Reuters
이러한 새로운 발견을 바탕으로 네덜란드 국립 문화유산 기관은 더 큰 규모의 유물 발견 가능성을 당국에 알렸으며, 발견된 일부 유물들은 네덜란드 니메겐(Nijmegen)의 지역 박물관에 전시될 예정이다.
(59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지구 지각 160㎞ 아래에 암석이 부분적으로 녹아있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학과 CNN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잭슨 지구과학대학원'의 화쥔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 전체에 걸쳐 이런 층이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 최신호(6일자)에 발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피부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양과 방향을 정확히 측정해 재활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3개의 센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접 배치해 이들에서 나오는 신호의 조합으로 특정 부위 신축 방향과 변형량을 동시에 뽑아냈다.
멸종 인류인 네안데르탈인이 살던 선사시대 동굴에서 현대인도 즐겨 먹는 것과 같은 종의 게 껍데기가 무더기로 나와 9만 년 전에 이미 게 맛을 알고 즐겼던 것으로 제시됐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카탈루냐 인류고생물학 및 사회진화연구소'의 마리아나 나바이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리스본 인근 피게이라 브라바 동굴에서 발굴된 게 껍데기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환경 고고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Environmental Archaeology)에 발표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신소재공학부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산업 폐기물 속에 포함된 수소를 이용해 폐기물 속 이산화탄소를 연료전지의 원료인 '개미산(포름산)'으로 쉽게 전환하는 효소를 발굴했다고 8일 밝혔다. 지스트에 따르면 기후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 폐가스를 유용한 화학연료로 전환하는 연구에서 핵심은 산업 폐가스에 포함된 다른 가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와 같은 별도의 에너지 공급이 필요 없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주에서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감시할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이 본격화한다. 정부는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을 위해 참여 부처, 개발기관, 소요기관 간 추진 계획을 공유하는 회의를 9일 대전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사업은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방부 및 방위사업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추진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