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기초·응용과학
이강봉 객원기자
2017-11-03

“현대 영어는 생존 경쟁의 산물” 언어발달 과정에서 유전학적 경쟁 패턴 발견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언어학자들 중 일부는 언어를 생물처럼 여긴다. 언어 스스로 성장하면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과학자들을 통해 이런 주장이 입증되고 있다.

2일 ‘네이처’ 지에 따르면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의 연구팀은 진화론적인 방법을 사용해 말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언어가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 유전적 부동(genetic drift) 등의 생물학적 진화를 해왔다는 것.

자연선택이란 자연 환경에 적응하지 못한 개체는 사라지고, 환경에 적응한 개체는 살아남아 자손을 남기게 된다는 다윈의 이론이다. 또한 라이트(S. Wright)의 이론에 따르면 모든 생물종은 살아남기 위해 유전자 변이가 일어난다.

영어 등의 언어발달 과정이 진화론적인 패턴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가 발표돼 주목을 맏고 있다. 세익스피어 희곡에 등장한 등장인물들을 그린 존 길버트 경의 유화.    ⓒWikipedia
영어 등의 언어발달 과정이 진화론적인 패턴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가 발표돼 주목을 맏고 있다. 사진은 세익스피어 희곡에 등장한 등장인물들을 그린 존 길버트 경의 유화. ⓒWikipedia

영어 단어와 문장은 생존 경쟁 중 

유전자가 집단적으로 없어지거나 고정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유전자의 변화를 유전적 부동이라고 한다. 집단의 크기가 작을수록 이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자연도태와 함께 진화론을 뒷받침하고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언어학계 역시 이 같은 주장에 동의해왔다. 특히 영어사(History of English)를 연구하고 있는 영어학자들은 오랜 기간 동안 영어가 사회적이고 인지적인 요인에 의해 고대영어, 중세영어, 근대영어, 현대영어의 형태로 발달해왔다고 주장하고 있다.

동사 변화(verb conjugation)를 예로 들 수 있다. 언어가 발달하면서 불규칙한 동사변화가 사라진다. 유사한 방식으로 기억하기 힘든 어형(word form)들이 사라진다. 어떤 단어들과 발음들은 특정 지역이나 신분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지역에 따른 독특한 억양이 대표적인 경우다. 영어사를 연구하고 있는 학자들은 영어의 발달과정에서 영향을 미친 이 같은 요인들이 생물학자들이 이야기하는 자연선택, 유전적 부동 이론과 흡사한 유형을 지니고 있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언어의 진화과정을 연구해오던 펜실베이니아 대학 진화학자 조슈아 플롯킨(Joshua Plotkin) 교수는 영어의 발달 과정이 진화론적인 발달을 하고 있다는 이 같은 학자들의 주장에 만족할 수 없었다.

그가 주목한 것은 명확성이란 의미를 지닌 영어 단어 ‘클래러티(clarity)’다. 사람들은 거의 같은 의미를 지닌 영어 단어 ‘클리어니스(clearness)’보다 ‘클래러티(clarity)’란 단어를 훨씬 더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기본적인 언어학 이론에 따르면 ‘클리어니스(clearness)’란 단어에 ‘-ness’란 기억하기 쉬운 어미가 붙어있기 때문에 같은 어원을 지닌 ‘클래러티(clarity)’보다 더 많이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영어 발달 과정에서는 정반대의 현상이 일어나고 있었다.

진화론적 방식으로 언어학 규명    

플롯킨 교수는 팔을 걷어 부치고 이런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또 다른 진화 이론을 찾기 시작했다. 또 펜실베이니아 대학에 근무하는 또 다른 진화학자와 언어학자들과 함께 컴퓨터를 이용, 1100년~21세기까지 등장했던 영어 단어 400만 여개를 분석했다.

분석을 위해 생물 집단 간의 유전적 변화를 통계학적으로 연구하는 집단 유전학(population genetics)을 적용했다. 이 유전학 중에서 인구통계학적인 분석방식을 채택한 후 이 방식을 적용해 영어가 세 가지 변화를 추적해나갔다.

그 중의 하나는 근대 초기 영어발달 과정에서 어떤 식으로 ‘I say not’과 같은 21세기 부정문 형태가 만들어졌는지 그 과정을 밝혀내는 일이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기회적 부동(random drift)의 진화적 이론이 적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기회적 부동이란 개체 수가 유한한 집단 내에서 유전자 한쪽은 소실되고, 다른 한쪽은 상대적으로 더 고정돼간다는 이론이다. 21세기 부정문 패턴이 정착되는 과정에서 여러 유형의 어순이 경합했지만 기회적 부동 과정을 통해 지금의 패턴이 자리를 잡았다는 주장이다.

연구진은 또 영어가 미국에서 발달하면서 어떤 과정을 거쳐 ‘-ed’형의 어미를 채택하게 됐는지 그 과정을 추적했다. 그리고 6가지의 과거형이 경합을 벌였으며 그 중의 라이티드(lighted)’가 선호됐으며, ‘리트(lit)’와 같은 유형들이 소실됐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ed’형의 과거형이 선호된 것은 보다 더 쉬운 표현을 원하는 미국인들의 의도가 반영된 것이다. 연구팀은 현대 영어에서 일반 동사였던 ‘do’가 어떤 과정을 거쳐 조동사 역할을 하게 됐는지에 대해서도 유사한 결론을 맺었다.

이번 연구결과와 관련, 베일어 의과대학의 유전학자이면서 라이스 대학의 컴퓨터과학자인 에레즈 리버먼 에이든(Erez Lieberman Aiden) 박사는 “유전학을 언어학에 적용해 새로운 사실을 밝혀낸 놀라운 연구 결과”라고 높은 평가를 내리고 있다.

그러나 반대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뉴질랜드 와이카토 대학의 언어학자 안드레아 칼루데(Andreea Calude) 교수는 “지구 위에 사는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독특한 언어구사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며, 획일적인 방식으로 언어 발달 과정을 규정하려는데 불만을 표명했다.

칼루데 교수에 따르면 언어 발달 과정은 철저하게 개인적 선택에 의해 일어난다. 사람들이 자신만의 독특한 표현을 선호하고 있기 때문에 진화론과 같은 집단 분류적인 방법으로 언어발달 과정을 해석하려는 시도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는 주장이다.

플롯킨 교수는 단순히 언어와 언어를 비교하던 방식에서 더 발전해 언어 발달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패턴에 관심을 가져줄 것을 주문했다. 또한 그 패턴을 설명하고 있는 기회적 부동과 같은 개념들을 이해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이강봉 객원기자
aacc409@naver.com
저작권자 2017-11-03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