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리가 마크-2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 컨소시엄이 16일(현지 시각) 미국 미주리대 차세대 연구용 원자로(연구로) 설계 계약을 따내면서 한국은 미국으로부터 연구로를 도입한 지 66년 만에 연구로 기술을 역수출하는 나라가 됐다. 한국 원자력 연구개발 역사는 1959년 우리나라 최초 원자로인 '트리가 마크-2'를 미국 제너럴아토믹으로부터 도입하면서 시작됐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4-18 ⓒ ScienceTimes 태그(Tag) #기술수출 #연구로 #원자력 #원자로 관련기사 한·IAEA 다자간 방사선 기술 국제공동회의 대전서 열려 한-IAEA 다자간 방사선 기술 국제공동회의 ⓒ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공동 주최하고,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주관하는 '한-IAEA 다자간 방사선 기술 국제공동회의'가 20일 대전에서 개막했다. 24일까지 대전 호텔ICC와 IBS(기초과학연구원) 과학문화센터에서 '건강한 원자력연, 원자로 '보조 운전자' 수준 AI 에이전트 개발 AI 에이전트 기능 시험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세계 최초로 원자로 운전 지원을 위한 에어전틱 인공지능(AI) 기반 에이전트를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에이전틱 인공지능은 사용자를 조력하는 현재의 생성형 AI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고도화된 추론 능력을 바탕으로 사람의 개입 없이 스스로 판단하고 결정한다. 4세대 원자로 SFR 안전성 높일 핵연료 피복관 공정 개발 SFR 핵연료 피복관 코팅 기술 개발한 한국원자력연구원 연구팀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차세대 원자로로 주목받고 있는 소듐냉각고속로(SFR)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핵연료 피복관 공정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SFR은 열중성자를 이용하는 경수로와 달리 고속 중성자를 이용해 핵분열을 일으키고, 이때 발생하는 열을 원자력발전소에서 전기 말고 ‘이것’ 찾는다 ▲ 원자력발전 과정에서 생성되는 중성미자와 고에너지 광자를 활용해 우주 형성 과정의 비밀을 밝히는 입자물리학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Wikipedia 현재 우리나라에는 26기의 원자력발전소(원전)가 있다. 원전의 목적은 단연 전력 생산에 있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쓰임도 있다. 바로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것이다. 원자로에서는 중성미자와 원자력 분야에 특화된 인공지능 거대언어모델 공개 허깅페이스에 공개된 아토믹GPT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세계 최초로 원자력 분야에 특화된 인공지능 거대언어모델(LLM) '아토믹GPT'(AtominGPT)를 개발해 오픈소스 플랫폼인 '허깅페이스'에 공개했다고 11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아토믹GPT는 각각 80억개와 700억개 파라미터(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석유 파헤치기 1920년대 남부 캘리포니아의 석유 산업 붐을 그린 업튼 싱클레어의 <석유!>(원제: Oil!)를 최근에 완독했다. <석유!>는 부패한 오일머니와 더불어 부와 탐욕으로 얼룩진 당시의 시대상을 자세히 그린다. 영화관에서는 마틴 스코세지 감독의 <플라워 킬링 문>(원제: Killers of the Flower Moon)이 흥행 “미래지향적 선진원자로 개발해 국민과 세계의 지지를 받는 연구원 만들겠다” 글 : 최상국 아이뉴스24 부장 “좀전에 보셨던 사진은 1986년 12월 12일,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딱 36년하고 이틀 전, 당시 미국 컴버스천엔지니어링(CE)사로 파견될 원전설계기술전수단이 찍은 기념사진입니다. 거기 제가있었습니다.” 지난해 12월 14일 제22대 한국원자력연구원장에 취임한 주한규 교수는 취임식장에서 한 장의 사진으로 취임사 에너지 위기 극복의 게임체인저, 차세대 원자력 최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제1, 2차 오일쇼크 사태에 이어 다시 한 번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고 있습니다. 러시아의 천연가스에 의존하던 유럽 경제의 취약성은 화석연료에 종속된 국가 경제의 구조적 한계를 드러냈죠. 석유, 천연가스, 석탄 등의 화석연료는 매장량이 한정되어 있어 고갈은 기정화된 사실이고,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은 국가의 성장과 한국, 연구개발 투자 ‘100조’ 돌파, 연구원 비율 세계 1위! 우리나라 연구개발비 예산은 꾸준히 증가해서 작년에는 총 연구개발비 100조 원을 돌파, 과기부 예산은 2023년 최초로 30조 원을 돌파했다. ⓒGettyImagesBank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2021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공공·민간영역에서 수행된 연구개발활동 현황을 조사·분석한 <연구개발활동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우리나라 총 연구 저탄소 및 재생 에너지로의 전환 과정은 얼마나 진행되고 있을까?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이 순 제로에 도달해야 한다 2015년 파리협정에 따르면 전 세계 거의 모든 국가가 이번 세기말까지 지구 온난화로 인한 지구 평균 상승 온도를 1.5도로 제한하겠다고 약속했다. 7년 후 각 국가 정상 및 기후 대사들은 이집트에 모여서 COP27에 참석하며 이에 대한 효율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시작했다. 1.5도라는 약속을 지키려면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병이 쌓이는 속도를 늦추는 식사법 강아지도 물건의 ‘용도’로 분류한다고? 개는 훌륭하다 Welcome back, 녹색 바다거북! 너무 빨리 먹으면 비만 위험 증가…먹는 속도 측정 AI 개발 원자력의학원, 암 진단·수술 동시 가능 이중영상 플랫폼 개발 우주청, ADEX 2025 첫 참여…우주항공관서 한국 기술 선보인다 스트레스받으면 코가 차가워진다 코레일·샬롬엔지니어링, 열차 전방 장애물 감지 장치 개발 KAIST, 브랜드 상품 판매 수익으로 학생 연구 지원 "아토피 아동, 라면·햄버거 등 먹으면 가려움 최대 2배로 증가" 속보 뉴스 "비만약 세마글루티드, 감량 효과 관계 없이 심장 보호" 스티로폼 용기서 나온 미세플라스틱, 폐 손상 일으킨다 엄마가 먹은 미세플라스틱, 모유로 전달돼 아이 면역체계 교란 KAIST서 30∼31일 연구·실험실 공개…미래 핵심 분야 기술 소개 과천과학관, 유·초등생 겨울학기 정규교육과정 운영 농진청, 토양 양분 실시간 측정 센서 개발…스마트농업 가속화 한수원 "저선량방사선, 퇴행성 관절염 치료 효과 입증"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