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학연구원과 현대오일뱅크는 서산 현대오일뱅크에서 이산화탄소(CO₂)와 메탄을 이용해 하루 메탄올 10t을 생산하는 플랜트를 완공했다고 16일 밝혔다.
양측은 이날 현지에서 화학연 이규호 원장과 전기원 그린화학공정연구본부장, 현대오일뱅크 강달호 부사장과 김재호 중앙기술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메탄올 제조 플랜트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 플랜트는 메탄올을 하루 10t 생산할 수 있는 실증 규모로 상용화 전단계다. 상용화되면 현재 전량 수입되는 연간 100만t 이상의 메탄올을 국산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플랜트에는 화학연 전기원 박사팀이 개발한 친환경기술이 적용됐다. 전 박사팀은 이산화탄소와 메탄, 수증기를 반응장치에 넣고 촉매를 투입, 합성가스를 만든 다음 합성가스로부터 메탄올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의 메탄올 제조 공정은 공기 중 산소를 추출해 메탄과 반응시켜 비용과 에너지가 많이 들었으나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은 석유화학공장 등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와 메탄을 이용, 메탄올을 저비용 저에너지로 생산할 수 있다.
또 공정에 필요한 수증기의 양을 기존 공정의 절반 정도로 줄였고 투입된 이산화탄소의 95% 이상이 반응에 활용되도록 해 에너지 효율을 높였으며 공정 중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도 기존 공정보다 30% 정도 줄였다.
화학연과 현대오일뱅크는 향후 메탄올을 연간 100만t 생산할 수 있는 상용 플랜트를 설계할 계획이다.
전기원 박사는 "이 기술은 메탄, 일산화탄소 등 탄소 수가 1개인 가스를 고부가가치 화학원료로 전환하는 C1 리파이너리 기술로 석유자원 고갈에 대비하는 미래형 신기술"이라며 "향후 북미지역의 셰일가스 출현에 따라 중국 등 전 세계적으로 늘고 있는 메탄올 생산 기술 수요를 맞출 수 있다는 점에서 글로벌 경쟁력이 있다"고 말했다.
- 연합뉴스 제공
- 저작권자 2015-06-17 ⓒ ScienceTimes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