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생명과학·의학
연합뉴스
2024-12-10

"건강한 식단, 만성 통증 완화 효과…여성에게 효과 더 커" 호주 연구팀 "건강 식단, 쉽고 효과적인 통증 관리법 될 수 있어"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건강한 식단이 만성 통증을 줄여주며 이런 효과는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크게 나타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진은 이는 만성 통증 환자들에게 자기 상태를 더 잘 관리할 수 있는 쉽고 접근 가능한 방법을 제시한다고 말했다.

"건강한 식단, 만성 통증 완화…여성 효과 더 커". 호주 성인 654명(여성 57%)을 대상으로 한 연구(WISH)에서 식단의 질, 특히 식이 지침 지수(DGI)로 평가한 핵심 식품의 섭취가 통증 완화와 관련이 있으며 그 효과는 여성에게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방은 통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됐다. 약어 BMI(체질량 지수), DGI(식이 지침 지수), WISH(Whyalla 세대 간 건강 연구) ⓒNutrition Research, Alison M. Hill et al. 제공.

"건강한 식단, 만성 통증 완화…여성 효과 더 커". 호주 성인 654명(여성 57%)을 대상으로 한 연구(WISH)에서 식단의 질, 특히 식이 지침 지수(DGI)로 평가한 핵심 식품의 섭취가 통증 완화와 관련이 있으며 그 효과는 여성에게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지방은 통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됐다. 약어 BMI(체질량 지수), DGI(식이 지침 지수), WISH(Whyalla 세대 간 건강 연구) ⓒNutrition Research, Alison M. Hill et al. 제공.

호주 남호주대학(University of South Australia) 앨리슨 힐 교수팀은 9일 국제학술지 영양 연구(Nutrition Research)에서 성인 650여명을 대상으로 한 식단과 체지방, 통증 간 연관성 조사에서 식이 지침에 따른 건강한 식품 섭취가 통증을 감소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건강 식단의 통증 감소 효과는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두드러졌고, 체중과 무관하게 나타났다며 이는 신체 구성과 관계 없이 건강한 식단이 만성 통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만성 통증은 세계적으로 인구의 약 30%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며 통증 치료에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많은 사람이 여전히 치료받지 못하고 어려움을 겪는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2008년 2월~2009년 7월 호주 남부 화이앨라에서 만성 질환 유병률과 관련 위험 요인을 추정하기 위해 실시된 화이앨라 세대 간 건강 연구(WISH)에 참여한 성인 654명의 식단과 만성 통증 관계를 조사했다. 호주 식이 지침에서 건강 핵심 식품군으로 지정된 과일, 채소, 곡물, 살코기 및 대체육류, 유제품 및 대체식품 섭취를 점수화해 통증과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핵심 식품군을 많이 섭취할수록 체중이나 체지방과 관계없이 통증이 유의미하게 줄어들었고, 통증 감소 효과는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됐다.

논문 제1 저자인 수전 워드 박사는 "식단의 질이 좋은 여성은 통증 수준이 낮고 신체 기능이 더 좋았지만, 남성에서는 이런 효과가 훨씬 약했다"며 "이는 식단의 질이 남성과 여성의 통증에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핵심 식품군이 가진 항염증 및 항산화 특성이 통증을 감소시키는 것일 수 있지만, 질 낮은 식단 때문에 통증이 더 심해지는지 아니면 통증 때문에 식단의 질이 낮아지는 것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워드 박사는 "건강하고 영양가 있는 식단은, 건강, 웰빙, 통증 관리에 다양한 이점을 가져다준다"며 "건강한 식단은 통증을 관리하고 줄일 수 있는 접근 가능하고 저렴하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출처 : Nutrition Research, Alison M. Hill et al., 'Better diet quality is associated with reduced body pain in adults regardless of adiposity: Findings from the Whyalla Intergenerational Study of Health', http://dx.doi.org/10.1016/j.nutres.2024.08.002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4-12-10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