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제공 : 한국연구재단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원문 보러 가기] NRIC전문연구정보중앙센터 저작권자 2022-09-05 ⓒ ScienceTimes 태그(Tag) #과산화수소 #그래핀 #글루코오스 #당뇨병 #연구정보중앙센터 #웨어러블 #혈당센서 관련기사 전기·태양광 없이 그린 과산화수소 만든다 개발된 그린 과산화수소·글리세르산 생산 시스템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외부 전기나 태양광 에너지 없이 그린 과산화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개발했다. 10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에너지화학과 장지욱 교수팀이 한국과학기술원(KAIST) 서동화 교수,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토머스 하라미요 교수팀 그래핀으로 극미량의 독소도 감지…'햄버거병' 잡아낸다 생명연·성균관대 공동 연구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성균관대 권오석 교수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무승 박사 공동 연구팀은 그래핀을 이용해 '용혈성요독증후군'(Hemolytic Uremic Syndrome)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일명 햄버거병으로 불리는 용혈성요독증후군은 생기원, 1.1㎏ 무릎 보조로봇 개발…"세계 최경량" 무릎 보조로봇 착용 모습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제공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사용자의 착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무게 1.1㎏의 무릎 보조로봇 '에어니'(AirKNEE)를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생기원 안범모 수석연구원 연구팀은 부품 수를 줄이고, 고성능 소형 모터를 적용해 세계 최경량 수준의 무릎 웨어러블 로봇을 개발했다 "납 없는 실리콘 초음파 패치 개발…웨어러블 혈압계 등 적용" 현재 상용화돼 병원 진단과 원격의료 등에 사용되는 납(Pb) 기반의 압전 세라믹 웨어러블 초음파 장치들과 달리 납을 전혀 쓰지 않고 실리콘을 기반으로 한 일회용 친환경 초음파 패치가 개발됐다. 친환경 실리콘 나노 기둥을 이용한 일회용 초음파 패치 응용 예시. 매일 일회용 초음파 패치를 통해 아침에 출근 동안에 심·뇌혈관 질환 조기 "체온으로 전기 만들어 기기 작동"…UNIST, 새 전지 개발 연구진 모습 UNIST 장성연 교수(왼쪽)와 백정예 연구원(제1저자).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몸에서 나오는 열로 AA 건전지 수준의 전압을 낼 수 있는 기술이 나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장성연 교수팀은 실제 전자 기기를 작동할 수 있을 만큼의 출력을 갖춘 n형 고체 열갈바닉 전지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 "주 3회 감자튀김 먹으면 제2형 당뇨병 위험 20% 증가" 영양소가 풍부하지만 혈당지수(GI)가 높은 감자는 어떻게 먹는 게 좋을까? 감자튀김(프렌치프라이)을 일주일에 3번 먹으면 제2형 당뇨병 위험이 20% 증가하지만 삶거나 굽거나 으깬 감자는 당뇨병 위험 증가와 관련이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어떤 형태 감자든 통곡물로 대체하면 제2형 당뇨병 위험이 감소하는 반면, 대신 흰쌀을 섭취하면 당뇨병 '주변 빛으로 배터리 전력↑' 24시간 웨어러블 건강 모니터링 무선 웨어러블 플랫폼 개요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전기및전자공학부 권경하 교수팀이 미국 노스웨스턴대 박찬호 박사팀과 주변 빛으로 심박수, 혈중산소포화도, 땀 성분 등을 분석하는 건강 모니터링 의료용 웨어러블 기기의 배터리 전력 부담을 줄인 적응형 무선 차세대 웨어러블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광 측 "사회적 고립·외로움, 노인 당뇨병 위험 30% 이상 높여" 사회적으로 고립되고 외로운 노인들은 당뇨병과 고혈당에 걸릴 위험이 그렇지 않은 노인들보다 34%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혈당 관리가 부실해질 확률도 75%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람이 그리운 노인.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 서던캘리포니아대(USC) 켁의과대학 사미야 칸 박사팀은 13일(현지시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역류가 대사 질환을 유도하는 메커니즘 발견 세포 속 발전소라 불리는 미토콘드리아는 산소를 소모하면서 에너지를 만들어낸다 ⒸGetty Images 정상적인 생리 활동을 유지하기 위해 우리 몸의 세포는 혈관을 타고 돌아다니는 영양분을 흡수하여 에너지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작업은 '세포 속 발전소'라 불리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이루어지는데, 미토콘드리아는 산소를 소모하면서 구멍 뚫린 탄소 촉매로 친환경 과산화수소 생산 효율 높인다 붕소를 도핑한 다공성 탄소 촉매 ⓒKIST 제공 생산에 많은 에너지를 쓰고 환경 오염도 일으키는 과산화수소를 친환경적이면서도 낮은 에너지로 생산할 수 있는 촉매가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극한물성소재연구센터 김종민 책임연구원과 계산과학연구센터 한상수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이재우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문준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화성에서 드디어 35억년 전 생명체의 강력한 증거를 발견하다 도파민 터지는 ‘숏폼’, 우리의 집중력은 ‘47초’ 초파리의 특이한 선물 공세 비밀을 풀다 동물들은 지진을 예측할 수 있을까 독감은 왜 노인에게 더 치명적일까…"ApoD 단백질 증가 때문" 중세 이후 가축은 커지고 야생동물은 작아졌다? "해양 온난화, 지구 산소 20% 생산하는 바다 박테리아 위협" UNIST, 기술이전 계약 자동 분석하는 AI 시스템 구축 스마트폰으로 자폐스펙트럼장애 선별…국내 연구진 AI 모델 개발 화성 퇴적암 분석해보니…"과거 생명체 서식 환경 가능성 시사" 속보 뉴스 "알츠하이머병 유전자 있으면 뇌 속 별세포 면역기억↓" "척수 별세포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 손상된 척수 회복 방해" "공룡은 거대한 생태공학자…멸종 후 지구 지형에 큰 변화" 초미세먼지 유발 암모니아 '정밀 관측'…UNIST, AI 모델 개발 전기연, 반도체 초정밀 공정서 활용 가능한 펄스 전원 개발 전기연, 반도체 초정밀 공정서 활용 가능한 펄스 전원 개발 원자력연, 원자로 '보조 운전자' 수준 AI 에이전트 개발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