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K3 녹아웃 미니돼지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김선욱 박사 연구팀이 유전자 편집과 형질전환 기술을 이용해 안전한 혈액 공급을 위한 면역 결핍 미니돼지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2019년 기준 전 세계 196개국 가운데 119개국이 혈액 부족 사태(미국 워싱턴대 조사 결과)를 겪을 정도로 혈액 공급이 전 지구적인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5-30 ⓒ ScienceTimes 태그(Tag) #면역결핍 #미니돼지 #유전자편집 #인공혈액 #혈액 #형질전환기술 관련기사 굶주린 세포의 DNA 복구 능력 이용해 유전자가위 정확도 높였다 자가포식 유도를 통한 유전자 정밀 편집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포에 자가포식(세포가 자신의 일부를 분해해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하는 과정)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유전자 정밀 편집의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한국화학연구원 남혜진 박사 연구팀은 서울대 의대 조동현·배상수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세포에 자가포식을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오류 줄인 고효율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 고효율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한 생명연 이대희 박사 연구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기존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한계를 극복한 고효율 다중 유전자 편집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유전자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디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 판다는 왜 대나무만 먹을까…"대나무 miRNA가 판다 식성 조절" 대나무 먹는 자이언트판다 '러바오' ⓒ연합뉴스 제공 육식동물 소화기관을 가진 자이언트판다가 대나무를 주로 먹는 것은 대나무 속의 마이크로RNA(miRNA)가 판다의 혈류에 들어가 먹이 습관 변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중국서화사범대학 펑 리 박사팀은 1일 과학 저널 수의학 프런티어스(Front 췌장암 조기 진단을 위한 새로운 검사법이 나온다 췌장암: 가장 치명적인 암 췌장암은 진단 후 첫해에 환자 네 명 중 세 명이 사망하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또한, 진단 후 5년 생존율이 고작 6-14%에 불과한, 생존하기 가장 어려운 암으로 꼽힌다. 췌장암 퇴치의 가장 큰 장벽은 종양을 조기에 발견하고 제거할 방법을 찾는 것이다. ©Getty Images 췌장암 퇴치 돼지→인간 장기 이식, 거부 반응 극복할 수 있을까 ▲ 기증 장기의 세계적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종 이식이 주목 받는다.ⒸGettyImages 의학 기술이 발달해도 어려운 분야가 있다. 바로 장기 기증이다. 2023년 기준 장기 이식 대기자 수는 5만 명이 넘는 데 반해, 기증자 수는 483명을 기록했다. 이종 장기 이식은 장기 부족 문제를 해결할 돌파구로 뽑힌다. 인류 유전자가위로 면역세포 편집, 암 진행 멈췄다 ▲ 크리스퍼 유전자가위(CRISPR-Cas9)는 원하는 부위의 유전자를 정교하게 잘라내고, 동시에 원하는 유전자를 삽입할 수 있는 유전자 편집 기술이다. ⓒFlickr 원하는 부위의 유전자를 정교하게 잘라내는 유전자 편집 기술인 ‘크리스퍼(CRISPR) 유전자가위’를 이용한 암 치료가 절반의 성공을 거뒀다. 유방암‧결장암 등 고형암 환자 16명을 대상 우주 장거리 여행 후 ‘뇌 변화’ 포착 그동안 과학자들은 우주여행 시 뇌 건강 문제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장기간의 임무를 마치고 지구로 귀환한 우주비행사들의 시신경이 붓는 등 시력에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 5명의 러시아 남성 우주비행사를 대상으로 (두부 외상이나 뇌 질환이 있는 사람들에게 흔히 볼 수 있는) 혈액 내 다양한 단백질 수준을 분석했는데 이들이 임무를 수행한 후 3주 동안 이전과 영국, 유전자 편집 작물 장벽 낮춘다 영국이 이제껏 규제하던 유전자편집(Genetic Editing, 이하 GE) 작물 장벽을 낮춘다. 브렉시트 이후 처음이다. 이 결정에 과학자들은 환영하는 반면, 환경 단체는 우려 섞인 목소리로 강하게 비난하고 있다. 영국은 EU 탈퇴 후 유전자 편집 식물의 규제를 완화할 예정이다. 법안이 만들어지면 유전자 편집 관련 연구에서 위험성 평가를 제출할 필요 WHO, 인간게놈편집 가이드라인 제시 지난 12일 세계보건기구(WHO)는 인간게놈편집을 규제하는 기준안을 담은 보고서를 발표했다. 2018년 배아의 특정 유전자를 교정한 사건에 대한 윤리적 논의 이후 WHO의 입장이다. 유전자 가위라는 효소로 DNA 일부를 자르거나 편집하는 유전자편집 기술. 인간을 대상으로 한 유전자편집에 대한 윤리적 평가에 관해 많은 과학자들의 논쟁이 있었다. ⓒ게티이 유기농업, EU의 GMO 규제 푸는 열쇠 될까? 생명공학 기술이 발전하면서 유럽연합(EU) 과학자들이 유전자 편집기술 사용 허가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독일 바이로이트 대학과 괴팅겐 대학을 포함한 국제 연구진은 식물학술지인 ‘트랜즈 인 플랜트사이언스(Trends in Plant Science)’에서 “유기농업 확장을 위해선 유전자 편집과 같은 새로운 육종기술을 허용토록 EU의 GMO 규제 법안을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30세까지 살았던 개 그리고 38년을 넘게 산 고양이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우주에도 색깔이 있다? 물에 시끄럽게 빠지는 법에도 과학이 있다 다시 돌아온 '오징어', 어획량은 늘었지만 남은 문제는? 식물은 어떻게 폭염에도 살아남나…유전자 조절 원리 밝혀 온난화로 바닐라향도 위기…"바닐라 식물-곤충 서식지 달라져" "사슬 구조 물질 내 스핀·전하 분리 현상 관측" 눈을 치료하는 윤부줄기세포 "외로움은 정신적·신체적 건강 악화 요인…정기 검사 필요" "2천400만년 된 동물 화석 이빨에서 단백질 복원 성공" 속보 뉴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같은 온도 유지…에너지자립 온실을 가다 암 연관 'ATM 유전자' 변이 2만7천여개 분석…"정밀의료 기대" 하이드로겔 이용해 인간의 뇌 닮은 신경세포 플랫폼 개발 '유전자·세포 도핑' 피 한방울로 찾는다…차세대 분석기술 개발 세계 최대 단백질 데이터세트 공개…노화·치매 생체표지 발굴 "세상을 경쟁 정글로 보는 사람에겐 비열한 리더가 똑똑해 보여" 부산서 스마트폰 기반 온라인 동영상 2D·3D 호환 기술 첫선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