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가포식 유도를 통한 유전자 정밀 편집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세포에 자가포식(세포가 자신의 일부를 분해해 에너지원으로 재활용하는 과정)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유전자 정밀 편집의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한국화학연구원 남혜진 박사 연구팀은 서울대 의대 조동현·배상수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세포에 자가포식을 유도해 유전자 정밀 교정 기술인 '상동 재조합'(HR)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5-05-27 ⓒ ScienceTimes 태그(Tag) #DNA #DNA손상복구 #교정 #유전자가위 #유전자편집 #자가포식 관련기사 무려 4천5백년전, 이집트인의 직업을 맞춰본다 4,500년 전 이집트 도공의 DNA 분석으로 밝혀진 고대 이집트 유전적 역사 고대 이집트 문명은 인류 역사상 가장 매혹적인 문명 중 하나로 여겨진다. 단적인 예로 피라미드와 미라, 상형문자로 대표되는 이 문명의 기원과 발전 과정은 오랫동안 고고학자들과 역사학자들의 관심사였다. 하지만 고대 이집트인들의 유전적 기원과 인구 이동 패턴에 대한 연구는 현재 "비흡연자 폐암 증가, 대기오염이 주요 원인일 수 있어" 세계적인 흡연 감소 추세 속에 비흡연자 폐암 비율이 증가하는 것은 대기오염 등이 비흡연자에게 폐암 관련 유전자 돌연변이를 일으키기 때문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세먼지에 갇힌 서울. 기사 내용과 직접 관련 없음 ⓒ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 샌디에이고)와 미 국립암연구소(NCI) 공동 연구팀은 3일 "하얼빈에서 발견된 고대 인류 두개골 주인공은 데니소바인" 2021년 신종 고대 인류로 추정된다는 연구 결과로 세계적인 관심을 끈 14만6천년 전 인류 화석 하얼빈 두개골(Harbin cranium)이 데니소바인 계통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새로운 고대 인류 '호모 롱기'로 분류됐던 하얼빈 두개골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중국과학원 고척추동물 및 고인류학 연구소 푸차오메 KAIST, 원하는 RNA만 골라 변형시키는 유전자 가위 기술 개발 KAIST 연구팀, RNA 화학 변형시키는 유전자 가위 기술 개발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허원도 교수 연구팀이 리보핵산(RNA) 유전자 가위(유전자 교정 기술)를 이용해 RNA를 화학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RNA 유전자 가위는 코로나바이러스 등 바이러스의 RNA를 "혈액 부족 문제 해결" 생명硏, 면역 결핍 미니돼지 개발 JAK3 녹아웃 미니돼지 개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김선욱 박사 연구팀이 유전자 편집과 형질전환 기술을 이용해 안전한 혈액 공급을 위한 면역 결핍 미니돼지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2019년 기준 전 세계 196개국 가운데 119개국이 혈액 부족 사태(미국 워싱턴대 조사 결과)를 겪을 정도로 혈액 공급이 UNIST·IBS "DNA 연결고리 자르는 단백질 작동 방식 규명" LEM-3 단백질의 기능과 각 영역별 역할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우리 몸의 세포 분열 과정에서 DNA 연결고리가 사라지지 않으면 염색체가 비정상적으로 나뉘어져 유전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 연결고리를 자르는 단백질의 작동 방식이 밝혀졌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의과학대학원 안톤 가트너 특훈교수와 기초과학연구원(IBS) 부산대 연구팀, 유전자 가위 부작용 예측 맞춤형 도구 개발 유전자 가위 부작용 예측하는 맞춤형 도구 알고리즘 개요도 ⓒ부산대 제공 부산대학교 연구팀이 유전자 가위의 부작용을 예측하는 맞춤형 도구 개발에 성공했다. 부산대학교 의생명융합공학부 박정빈 교수 연구팀은 강원대학교 생명과학과 김혜란 교수와 협력해 개인별 유전체 변이를 고려해 유전자 가위의 정확한 작용 위치와 잠재적 부작용 위치를 예측 치즈냥·삼색냥 털색깔 비밀은…고양이 애호가 日교수가 풀었다 삼색얼룩털 고양이와 사사키 히로유키 규슈대 교수. 2025년 5월 15일(현지시간) 생명과학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고양이 털 색깔에 관한 유전학적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을 발표한 일본 규슈대 사사키 히로유키 교수가 삼색얼룩털 고양이를 어루만지고 있다. ⓒ사사키 히로유키 규수대 교수 제공 영어권에서 '진저 캣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오류 줄인 고효율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 고효율 유전자 편집 기술 개발한 생명연 이대희 박사 연구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기존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의 한계를 극복한 고효율 다중 유전자 편집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유전자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디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 "미세조류의 탄소 포집 능력 극대화"…생명硏, 유전자 가위 개발 새로 개발한 유전자 가위가 핵 내부로 전달되는 모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희식 박사 연구팀은 광합성 미생물의 이산화탄소 포집 능력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유전자가위 기술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흔히 미세조류로 알려진 광합성 미생물은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빠르게 흡수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AI로 이메일 쓰면 ‘이것’이 사라진다? 가짜 과학 연구의 조직적 확산, '과학에 대한 신뢰를 파괴하고 있다' 딸부잣집, 아들부잣집. 우연이 아닐지도 몰라 거센 파도에도 ‘착’, 초강력 접착제 개발 새의 성염색체 균형을 유지하는 미스터리가 풀리다 인간 뇌신경 구조 닮은 이미지 센서 개발…보는 AI에 적용 노화 속도 늦추는 단백질 찾았다…RNA 수준 규명 생성형 AI 미래, 한국형 기술자립 전략을 묻다 "두 격자 간 어긋남으로 나타나는 '물결 무늬' 정밀 제어" "코로나19 감염 여성, 혈관 노화 5년가량 더 빨라진다" 속보 뉴스 발열 섬유 이용해 저전력으로 이산화탄소 포집…95% 회수 물위 달리는 소금쟁이 비밀 풀었다…초소형 로봇으로 구현 성공 풀리지 않는 목성의 핵 수수께끼…"거대 충돌로는 형성 안 돼" "복부지방·고혈압 등 대사증후군, 파킨슨병 위험 크게 높여" "수면 주기 불규칙한 심부전 환자, 6개월 내 재발 위험 2배" 혈액 속 마이크로RNA, AI로 학습시켜 간암 조기 진단 '산소 운반' 헤모글로빈이 활성산소 분해…"뇌질환 치료에 기여"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