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알수록 더 가깝게 느껴지는 생명이야기 생명에게 배운다 시리즈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평소에는 아무렇지 않던 풍경이 어느 날 몹시 이상하게 느껴졌던 적이 있다. 주변을 둘러봐도 차가운 콘크리트 건물밖에 안 보이고, 도로는 자동차가 꽉 채우고 있다. 이 세상에는 사람만 사는 것 같다. 다른 생명은 다 어디에 있는 걸까?

자연을 희생시키는 것에 익숙해진 사람들은 더 큰 이익을 위해 작은 것쯤은 희생시켜도 된다는 생각을 편하게 한다. 이러한 생각은 부메랑처럼 다시 돌아와 모두에게 위협이 된다.

‘생명에게 배운다’ 시리즈는 지구라는 커다란 마을에서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수많은 생명이 있다는 걸 보여 주는 책이다. 살아서 숨 쉬는 생명 하나하나 나름대로 살아가는 방식이 있고, 누구도 그 삶을 함부로 훼손해서는 안 된다는 걸 이야기한다.

생명에게배운다-살아있다는것ⓒ낮은산

‘살아 있다는 것’은 ‘생명이란 뭘까?, 살아 있다는 건 뭐지?’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다. 중학교에서 생물을 가르치는 교사이자,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과학 관련 도서를 꾸준히 기획하고 쓰고 옮긴 윤소영 선생님은 ‘생겨난다, 발생한다, 햇빛 에너지다, 촉촉하다, 세포로 되어 있다, 적응한다, 싸운다’ 등 열두 가지 키워드로 생명의 특징을 추려서 소개하며, 살아 있다는 것은 “생명의 그물 속에서 서로 돕고 사는 것”이라고 정리했다. 생명에 관련한 과학 정보를 얻는 것을 넘어 ‘살아 있다는 것’의 경이와 다른 생명을 대하는 태도까지 돌아보게 한다.

생명에게배운다-알아간다는것ⓒ낮은산

‘알아 간다는 것’은 다른 생명에 대해 알아가는 법에 대한 이야기로, 극지연구소에서 펭귄을 연구하는 이원영 박사가 글을 썼고, 직접 찍은 사진을 실었다. 이원영 박사는 해마다 펭귄 서식지를 찾아가 야영을 하며 펭귄을 지켜본다. 펭귄 몸에 GPS를 부착하고 사흘 밤낮을 기다렸다가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렇게 모은 데이터로 펭귄에 대해 조금씩 알아간다. 남극에서 찍어 온 펭귄의 생생한 사진을 보고, 펭귄이 살아가는 이야기를 읽으며 펭귄에 대해 조금씩 알게 될수록 어느새 펭귄은 더 가깝게 다가온다. 알면 알수록 더 궁금한 펭귄 이야기를 통해, 다른 생명을 알아가는 과정은 곧 나도 모르는 사이에 마음이 가까워지는 일이라는 걸 느낄 수 있다.

생명에게배운다-함께산다는것ⓒ낮은산

‘함께 산다는 것’은 다른 생명과 함께 사는 법을 모색해보는 이야기다. 야생동물 수의사로 여러 동물원과 야생동물 구조센터에서 오랫동안 동물을 치료해온 마승애 선생님이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동물의 실제 삶을 소개한다.

길에 버려지는 동물들, 좁은 실내 동물원에 갇혀 병든 동물들, 밀렵되는 야생동물 등 쉽게 바뀌지 않는 현실에 대해 알려 준다. 돈을 벌기 위해, 순간의 즐거움을 위해 무수히 많은 동물을 학대하고 착취하지만, 이런 일에 익숙해지다 보면 뭐가 문제인지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동물이 처한 현실을 들여다보면 마음이 불편해진다. 이 불편한 현실을 돌아보지 않는다면, 결국 사람도 제대로 살아갈 수 없음을 이야기한다.

계절이 바뀌면 차가운 콘크리트 건물 옆 나무에도 푸른 잎이 돋아난다. 아스팔트로 덮인 도로 틈에서도 민들레는 꽃을 피운다. 비둘기, 까치, 참새는 도시의 하늘을 날고, 고양이는 길가에서 낮잠을 자며, 강아지는 산책한다. 눈에 잘 띄지 않는 수많은 곤충과 작은 동물도 치열하게 살아가고 있다.

사람만 사는 것 같은 도시라도 관심을 갖고 살펴보면 다양한 생명이 함께 산다는 걸 알 수 있다. ‘생명에게 배운다’ 시리즈를 통해 우리가 배워야 할 건 ‘모든 생명은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김지혜 객원기자
xxxxxxx777@nate.com
저작권자 2021-04-27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