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방엽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에 대한 검색 결과 총 4 건 찾기 내용 지우기 항공·우주 김방엽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 2015-11-24 달 탐사에 15개 출연연 융합연구 앞으로 5년 후에 발사 예정인 우리나라 최초의 달착륙선. 한국 우주개발 역사에 있어 또 하나의 중요한 이정표가 될 이 일을 위해 각 연구기관에서는 어떤 준비들을 하고 있을까.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비롯해서 15개 정부출연 연구기관들(아래 기관목록 참조)은 지난해부터 각 기관별로 자체 예산을 투입해서 달 탐사 사업에 필요한 기반 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항공·우주 김방엽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 2015-11-10 달 탐사 위해 확보해야할 기술들 1992년 8월, 국내 최초의 인공위성인 우리별 1호를 발사한 이래 우리나라는 아리랑위성, 과학위성, 천리안위성 등 크고 작은 10개 이상의 위성을 개발해 왔다. 소형 저궤도위성은 수출도 할 수 있는 수준의 기술을 보유하게 되었다. 지구 궤도의 인공위성 개발에 필요한 기계, 전기, 전자, 소프트웨어 기술은 해외 기술 도입 없이도 해낼 정도의 수준에 올랐다. 위성 운영과 자료 처리 부분에서도 위성자료 수요자들의 요구사항을 큰 무리 없이 처리할 수 있는 상황이다. 항공·우주 김방엽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 2015-11-03 도대체 왜 달에 가려는 걸까? “달에 우주기지를 짓기 위해서”, “헬륨-3와 희토류 같은 달의 자원을 찾기 위해서”, “미래 우주 식민지의 지분을 선점하기 위해서” 등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사람들이 가장 재미있어하는 구실은 이것이다. “아폴로 우주선의 달 착륙이 진짜였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기초·응용과학 김방엽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책임연구원 2015-10-20 한국 달탐사 계획을 미리 본다 지난 주, 박근혜 대통령의 미국 고다드 우주센터 방문과 함께 한미간의 우주탐사 협력이 주요 뉴스토픽 중 하나로 떠오른 듯 하다. 2018년에 시험용 궤도선, 2020년에는 궤도선과 함께 착륙선, 게다가 달 표면을 돌아다닐 로버까지 한꺼번에 우리의 발사체로 달에 보낸다는 것이 정부의 계획인데 이에 대비해서 우리나라는 어떤 준비를 하고 있을까.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열’ 오른 전자장치, 新냉각 기술이 필요해 첫 100일의 기적까지 "'체온 반응해 항원 방출' 신개념 나노입자 결핵백신 효과 입증" "제주 해녀는 유전자가 다르다…잠수 적응 돕는 변이 확인" 늘어나고 있는 쌍둥이 출산, 보다 안전한 출산이 필요하다 미국 흑인 여성들의 합성 가발, 그들의 건강을 위협한다? '전통 한의학에 AI 적용', 대전대 한의대, 교육 모델 개발 "온실가스 못 줄이면…기후재난 피해 젊은 세대에게 돌아간다" 2025년-양자과학기술 100년, 양자산업의 원년? 물속에서 '빛으로 움직이는' 소프트 로봇용 인공 근육 개발 속보 뉴스 한밭대 박준식 교수팀, 1천500도 초고온 내산화 코팅 기술 개발 부산대, 차세대 표적 항암제 후보물질 개발…종양 40% 감소 "백금 사용량 100분의 1" KAIST, 프로필렌 생산 촉매 개발 "1세대 비만약 삭센다, 비만 암 예방효과 비만수술보다 41% 커" "20세 이후 체중 크게 늘고 첫 출산 늦으면 유방암 위험 3배" "탄소배출권거래제의 역설" 독성물질 배출은 오히려 늘었다 천문연·기업, 美달탐사 실릴 한국 큐브위성 부탑재체 개발 협력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