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에 대한 검색 결과 총 102 건 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5-02-11 AI로 생존율 100%, 뱀독 해독제 만들었다 2024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데이비드 베이커 미국 워싱턴대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진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새로운 뱀 해독제 후보물질을 설계하고, 그 연구 결과를 1월 14일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 세계는 지금 김민재 리포터 2024-10-28 AI 알고리즘, 무려 16만 개의 새로운 RNA 바이러스를 발견하다 바야흐로 인공지능(AI: Artifical Intelligence)의 시대이다. 최근 모든 학문에 ‘AI’라는 단어가 붙고 있는 것과 더불어 올해 노벨 물리학상, 화학상은 AI와 융합된 분야에 시상되기도 했다. 그만큼 AI는 우리 생활에 상당히 밀접해 있는 듯 보인다. 여기에, 최근 우리와 매우 가까워진 또 하나의 단어가 있다. 바로 코로나 이후 등장해 우리 생활을 지배하기 시작한 ‘RNA 바이러스’이다. 신호우(Xin Hou) 박사가 이끄는 중국 및 호주 국제 연구진이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두 가지 객체가 함께 어우러져 인류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내놓고 있다고 한다. 기초·응용과학 김민재 리포터 2024-10-14 2024년 노벨 물리학상은 인공지능 대부들에게로 2024년 10월 8일,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존 J. 호필드와 제프리 E. 힌튼에게 202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여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인공지능 분야의 연구가 물리학상을 수상한 첫 사례로 순식간에 과학계에도 큰 반향을 일으켰다. 생명과학·의학 김민재 리포터 2024-10-11 베지터리언과 비건: 건강과 환경을 위한 식생활의 과학 우리나라도 드디어 노벨 문학상이다. '채식주의자' 등의 작품을 쓴 한강 작가는 '역사적 트라우마를 직시하고 인간 삶의 연약함을 드러내는 강렬한 시적 산문'이라는 평을 받으며 최고의 문학 작품상을 거머지게 되는 영광을 얻었다. 이로써 한강 작가의 대표적인 소설 'Vegetarian'이 세계적으로 주목받으면서, 베지터리언과 비건 식단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이를 기념하여 사이언스타임즈 이번 기사에서는 베지터리언과 비건 식단의 과학적 근거, 건강상의 이점과 주의점, 그리고 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기초·응용과학 김민재 리포터 2024-10-10 2024년 노벨 생리의학상의 주인공, 앰브로스 교수와 러브컨 교수 스웨덴 카롤린스카 의과대학 노벨 어셈블리는 2024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University of Massachusetts Medical School의 빅터 앰브로스 교수(Prof. Victor Ambros)와 Harvard Medical School의 개리 러브컨 교수(Prof. Gary Ruvkun)에게 공동으로 수여한다고 발표했다. microRNA 초기 연구부터 해당 분야를 이끌던 수상자들의 지난 연구를 살펴본다. 기초·응용과학 김민재 리포터 2024-10-08 노벨상, 과학의 정점을 향한 120여년의 여정과 도전 2024년 노벨상 시상이 시작된 현재, 노벨상은 올해로 120주년을 맞이하고 있다. 1901년 첫 시상 이래 노벨상은 과학계 최고 권위를 상징하는 상으로 자리매김해왔다. 생리학·의학, 물리학, 화학, 문학, 평화, 경제학 등 6개 분야에서 수여되는 이 상은 ‘인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개인과 단체를 선정하여 그들의 업적을 기리고 있다. 노벨상, 과학의 정점을 향한 120년의 여정과 도전을 살펴본다. 기초·응용과학 김현정 리포터 2024-07-05 인류복지 공헌자에게 수여되는 ‘노벨상’이 제정되다 1901년 7월 1일, 다이너마이트의 발명가 알프레드 노벨의 마지막 유언에 따라 인류에 가장 큰 공헌을 한 사람에게 수여되는 노벨상이 최초로 제정되었다. 그로부터 124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인류의 발전과 평화를 위해 커다란 역할을 한 사람에게 메달과 표창장, 상금이 수여된다. 세계는 지금 김민재 리포터 2024-04-23 수줍음이 많았던 위대한 물리학자, 피터 힉스 94세의 나이로 영면에 들다 입자에 질량을 부여하며 우주를 하나로 묶는 힉스 입자를 발견한 공로로 201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피터 힉스(Prof. Peter Ware Higgs)가 지난 2024년 4월 8일 영국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의 자택에서 94세의 나이로 영면에 들었다.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픽터 힉스의 생애와 그의 공로를 살펴본다. 기초·응용과학 권예슬 리포터 2024-04-15 ‘노벨상 사관학교’ 수장, “통찰은 응용에 앞선다” 세계 최고 연구기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회가 한국과 '막스플랑크 센터' 설립을 본격적으로 준비하기로 했다. 오피니언 KOITA ReSEAT Program 김영덕 전문위원 2023-11-07 양자컴퓨터 기술개발 춘추전국 시대 우리나라 12대 국가전략기술에 포함된 양자컴퓨터 기술개발 추진이 탄력을 받을 수 있을지 우려와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지정학적 위치에서 꼭 이루어야 할 미래 산업 분야이기 때문일 것이다. 양자컴퓨터 기술개발 춘추전국 시대를 살펴본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9 10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못생긴 ‘심해어’, 새로운 계보 등장하나 해수담수화의 환경 딜레마 자석 하나로 우주에서 산소를 더 쉽게 만드는 방법 만성통증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근거 기반 의학에서 정밀 의료로 '극심 가뭄' 강릉서 차세대 바닷물 담수화 실증 나선다 원자력연, 원자로 '보조 운전자' 수준 AI 에이전트 개발 전기연, 반도체 초정밀 공정서 활용 가능한 펄스 전원 개발 재료연, 계란흰자 활용 '단백질 발포법'으로 방열 복합소재 개발 구조·기능 더 정밀하게 모사한 인공 신장 만들었다 "사람 근육의 30배 능력"…UNIST, 변형 자유로운 인공근육 개발 속보 뉴스 순천향대천안병원, 유방암 표적치료 차세대 진단 기술 공동 개발 KAIST, 사람과 비슷한 체격의 하체 로봇 개발…"시속 12㎞ 주행" "개들도 겉모양 아닌 기능에 따라 물건 분류할 수 있다" M87 블랙홀 4년만 자기장 뒤집혀…"예측보다 역동적이고 복잡" "식물 기반 건강 식단, 당뇨병 위험 32%↓, 온실가스 18%↓" 차세대 소듐냉각고속로 핵연료 제조 용기 신소재 개발 "美 서머타임 폐지하면 비만 260만·뇌졸중 30만명 예방 가능"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