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 포커스 이성규 객원기자 2021-12-24 금성에서 발견된 또 하나의 생명체 증거 금성은 크기, 중력, 표면 구성물질 등의 유사성으로 인해 지구의 쌍둥이 행성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환경은 전혀 딴판이다. 표면 온도는 약 470℃에 이르러 납을 녹일 만큼 뜨거우며, 기압은 지구의 92배에 이를 만큼 높다. 그야말로 불지옥이 따로 없는 셈이다. 그럼에도 금성은 외계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행성으로 줄곧 거론되어 왔다. 고도 40~60㎞ 사이의 금성 대기층은 온도가 30~60℃이며, 기압도 지구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금요 포커스 이성규 객원기자 2021-12-17 지구 최초 생명체가 사용한 에너지는? 진화론의 창시자인 찰스 다윈은 1859년에 펴낸 ‘종의 기원’에서 모든 생명체의 형태에 대해 단 하나의 기원 세포가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즉, 지구 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생명체들의 조상을 거슬러 올라가면 기원이 되는 공통 조상 하나로 귀착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금요 포커스 이성규 객원기자 2021-12-10 식물인간 뇌가 에너지를 과소비하는 이유는? 인간의 뇌는 약 1,000억 개의 신경세포와 그것들을 연결하는 수백조 개의 시냅스를 가지고 있다. 이처럼 복잡한 구조와 강력한 성능 덕분에 뇌는 체중의 2%에 불과하지만, 몸 전체 에너지의 20%를 사용한다. 다른 기관에 비해 약 10배의 에너지를 더 많이 소비하는 셈이다. 금요 포커스 이성규 객원기자 2021-12-03 ‘생체 로봇’이 자손을 낳다 생명체의 가장 중요한 특성 중 하나는 번식을 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번식 방법도 핵분열, 발아, 유성생식, 처녀생식, 자웅동체성, 포자 형성 등의 다양한 형태로 진화해왔다. 그런데 이처럼 다양한 번식 방법에도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 성장한 다음에 자기 복제를 진행한다는 점이 바로 그것이다. 그런데 미국 버몬트대학, 터프츠대학, 하버드대학의 과학자들은 이때까지 전혀 관찰되지 않았던 새로운 형태의 생물학적 번식을 발견했다. 외부 환경에서 재료를 조립해 자신의 후손을 생성하는 비성장 기반의 자기복제 방식이 바로 그것이다. 금요 포커스 이성규 객원기자 2021-11-26 기묘한 양자 효과, 30년 만에 증명 그가 박사후 연구원으로 1990년 MIT에 처음 왔을 때 지도교수였던 데이비드 프리차드(David Pritchard) 교수는 ‘파울리 차단(Pauli blocking)’이라는 양자 효과 하나를 예측했다. 만약 원자를 초저온 상태에서 고밀도로 배치하게 되면 투명해져서 보이지 않게 만들 수 있다는 주장이 바로 그것이었다. 금요 포커스 이성규 객원기자 2021-11-19 달에서 발견된 ‘드라이아이스’ 광산 태양계에서 가장 추운 곳은 바로 인간이 유인 착륙을 한 유일한 천체인 달에 있다. 태양과의 거리가 40배나 더 먼 명왕성보다 달의 특정 지역이 더 추운 데는 이유가 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할 때 회전축이 23.5도로 기울어져 있다. 금요 포커스 이성규 객원기자 2021-11-12 110년 만에 새로운 ‘초전도 현상’ 밝혀낼까 1911년 네덜란드의 물리학자 헤이커 카메를링 오너스는 수은의 온도를 절대영도에 가까운 극저온으로 내리는 실험을 하던 중 이상한 현상을 발견했다. 전기의 저항이 완전히 없어지는 사실을 확인한 것. 이처럼 전기 저항이 0이 되는 것을 초전도 현상이라 한다. 금요 포커스 이성규 객원기자 2021-11-05 가혹한 사막에서 발견된 ‘유전자 금광’ 칠레의 아타카마 사막은 북극과 남극을 제외하고 지구상에서 가장 가혹한 환경을 지닌 곳이다. 1년 내내 단 한 방울의 비도 내리지 않는 곳이 있으며 미생물조차 찾아보기 어렵다. 때문에 몇 천 년 전에 죽은 동물과 식물들이 부패하지 않고 햇빛에 구워진 채로 남아 있다. 금요 포커스 이성규 객원기자 2021-10-29 음악의 기원, 여우원숭이가 알려줄까? 인간이 어떻게 음악을 만들고 즐기게 됐는지는 아직도 베일에 싸여 있다. 진화론의 기초를 확립한 찰스 다윈은 음악의 기원에 대해 구애 행위의 일부라는 ‘성적 충돌설’을 주장했다. 원시 시대에 사냥이나 집단 노동을 할 때 표현과 소통을 더 잘하기 위한 목적에서 음악이 탄생했다는 ‘집단 노동설’을 주장하는 학자들도 있다. 금요 포커스 이성규 객원기자 2021-10-22 정크 DNA, 포유류의 발달에 중요하다 30억 염기쌍에 달하는 인간 게놈 중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는 약 2%에 불과하다. 나머지 98%는 분열되거나 부서진 유전자, 게놈에 달라붙어 절단되거나 침묵된 바이러스 등으로 진화의 파편물에 불과하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6 7 8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2 3 4 5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30세까지 살았던 개 그리고 38년을 넘게 산 고양이 [과학이 밝혀낸 101가지 놀라운 사실들] 우주에도 색깔이 있다? 3,500년 전 누군가는 사후세계를 위해 치즈를 준비했다? 물에 시끄럽게 빠지는 법에도 과학이 있다 식물은 어떻게 폭염에도 살아남나…유전자 조절 원리 밝혀 다시 돌아온 '오징어', 어획량은 늘었지만 남은 문제는? "섬 침입한 쥐 퇴치했더니…주변 산호초 생태계까지 회복" 배고플 때 포도당만 골라 인식하는 장∼뇌 회로 찾았다 사람-챗GPT 색깔 인지 비교해보니…'모방과 경험 차이 드러나" UNIST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수율 5.6배 높이는 공정 개발" 속보 뉴스 "세상을 경쟁 정글로 보는 사람에겐 비열한 리더가 똑똑해 보여" 부산서 스마트폰 기반 온라인 동영상 2D·3D 호환 기술 첫선 "위험할 때만 대응" 효율적으로 반응하는 인공감각 신경계 개발 "대기오염·사회 불평등·정치 불안정도 노화 가속 요인" ETRI가 개발한 인공지능 기술 체험 플랫폼 공개 AI로 귀금속 성능 뛰어넘는 다원소 합금 수전해 촉매 설계 "사회적 고립·외로움, 노인 당뇨병 위험 30% 이상 높여"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