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커뮤니케이터를 만나다 김민재 리포터 2024-08-01 닐 디그래스 타이슨을 만났던 천문학자, 한국 최고의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되다 사이언스타임즈에서는 천문학자 겸 과학 커뮤니케이터와의 인터뷰를 진행 중이다. 두 번째로 초대한 천문학자는 이미 대중에게 너무도 유명한 과학자 겸 과학 커뮤니케이터이다. TV와 유튜브에서 과학이 나온다 싶으면 항상 출현하기에 연예인 등으로 자칫 오해할 수도 있지만, 강성주 박사는 텍사스대 물리학과와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아이오와 주립대에서 ‘적외선 및 전파 관측을 통한 별 생성 환경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본업이 ‘찐’ 과학자이다. 하지만 한국 대중과의 활발한 소통도 게을리하지 않는 한국 최고의 과학 커뮤니케이터 중 한 명이다. 과학 커뮤니케이터를 만나다 김민재 리포터 2024-01-23 더욱 ‘체계적’이고 ‘세련되게’ 과학을 홍보할 수 있어야… 사이언스타임즈에서는 천문학자 겸 과학 커뮤니케이터와의 인터뷰를 진행 중이다. 첫 번째로 초대한 천문학자는 사이언스타임즈 독자들에게도 이미 잘 알려진 사람이다. ‘우주 덕후’라면 한 번쯤은 이 천문학자의 이름을 들어보았을 것이고 전문 교양 강연이나 TV, 유트브 등에서도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는 과학 커뮤니케이터이다. 무엇보다 미국에서 ‘한국 교육의 혜택을 받은 한인 천문학자’로 국위선양하고 있으며, 한국 대중과의 활발한 소통도 게을리하지 않는, 미국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팀의 손상모 박사이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딸부잣집, 아들부잣집. 우연이 아닐지도 몰라 거센 파도에도 ‘착’, 초강력 접착제 개발 무려 4천5백년전, 이집트인의 직업을 맞춰본다 깊은 바닷속끼리 서로 연결되어 있다면 콜레라의 재출현: 분쟁 지역에서 급증하는 치명적 수인성 질병 자랑스러운 우리 ‘해녀’, 바다포유류급 잠수 능력 입증돼 '산소 운반' 헤모글로빈이 활성산소 분해…"뇌질환 치료에 기여" 전선·옷 등 변형 물체도 능숙하게 다루는 로봇 기술 개발 "유해가스·미세먼지 99.9% 제거" 통합형 공기정화시스템 개발 "생선기름 속 오메가-3 지방산, 어린이 근시 예방 효과" 속보 뉴스 스마트팩토리 공정 바뀌어도 불량 정확히 탐지하는 AI 개발 "머리에 빛 자극 주자 음주 욕구·알코올 의존도 감소" "영장류 엄지손가락-뇌 함께 진화…엄지 길수록 뇌 더 커져" 건축 전문가 꿀벌…"어떤 공간에든 적응해 최적의 집 짓는다" "지중해 식단으로 알츠하이머병 유전적 위험 상쇄할 수 있다" "체온으로 전기 만들어 기기 작동"…UNIST, 새 전지 개발 알츠하이머의 두 원인단백질 서로 소통하며 독성 조절한다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