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커뮤니케이터를 만나다 김민재 리포터 2024-08-01 닐 디그래스 타이슨을 만났던 천문학자, 한국 최고의 과학 커뮤니케이터가 되다 사이언스타임즈에서는 천문학자 겸 과학 커뮤니케이터와의 인터뷰를 진행 중이다. 두 번째로 초대한 천문학자는 이미 대중에게 너무도 유명한 과학자 겸 과학 커뮤니케이터이다. TV와 유튜브에서 과학이 나온다 싶으면 항상 출현하기에 연예인 등으로 자칫 오해할 수도 있지만, 강성주 박사는 텍사스대 물리학과와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아이오와 주립대에서 ‘적외선 및 전파 관측을 통한 별 생성 환경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은, 본업이 ‘찐’ 과학자이다. 하지만 한국 대중과의 활발한 소통도 게을리하지 않는 한국 최고의 과학 커뮤니케이터 중 한 명이다. 과학 커뮤니케이터를 만나다 김민재 리포터 2024-01-23 더욱 ‘체계적’이고 ‘세련되게’ 과학을 홍보할 수 있어야… 사이언스타임즈에서는 천문학자 겸 과학 커뮤니케이터와의 인터뷰를 진행 중이다. 첫 번째로 초대한 천문학자는 사이언스타임즈 독자들에게도 이미 잘 알려진 사람이다. ‘우주 덕후’라면 한 번쯤은 이 천문학자의 이름을 들어보았을 것이고 전문 교양 강연이나 TV, 유트브 등에서도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는 과학 커뮤니케이터이다. 무엇보다 미국에서 ‘한국 교육의 혜택을 받은 한인 천문학자’로 국위선양하고 있으며, 한국 대중과의 활발한 소통도 게을리하지 않는, 미국 우주망원경과학연구소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팀의 손상모 박사이다.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처음 페이지로 이동 이전 페이지로 이동 1 다음 페이지로 이동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침팬지도 힘들땐 모여서 음주를 한다 아폴로 13호를 무사히 귀환시킨 우주비행사, 달에 영원히 잠들다 [2025노벨상] 분자로 지은 '아파트'가 세상을 바꾼다 [2025노벨상] 면역계의 '브레이크' 발견이 가져온 의학 혁명 건강한 미토콘드리아를 활용한 재생 치료, 세포 속 에너지로 힘줄을 살리다. 한국 연구진, 노벨상 이론 뒤집어…"우주는 가속팽창하지 않아" "신생아에 치명적인 장 천공 조기에 찾는 AI 모델 개발" 수면 중 성장호르몬이 분비되는 뇌 회로 제시 하늘 아래 ‘같은 색’, 있다? 없다? 전기연, 욕창 예방 돕는 나노소재 기반 무선 센서 플랫폼 개발 속보 뉴스 코레일·샬롬엔지니어링, 열차 전방 장애물 감지 장치 개발 우주청, ADEX 2025 첫 참여…우주항공관서 한국 기술 선보인다 KAIST, 브랜드 상품 판매 수익으로 학생 연구 지원 원자력의학원, 암 진단·수술 동시 가능 이중영상 플랫폼 개발 너무 빨리 먹으면 비만 위험 증가…먹는 속도 측정 AI 개발 "150만년 전 파란트로푸스의 손뼈에 인류·고릴라 특징 공존" 낙동강생물자원관, 과수 탄저병 막는 담수 미생물 발견 QUICK LINK 사이언스올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기술연구기관 목록 사이언스타임즈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