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아이리시 메디칼 저널(Irish Medical Journal)’에 흥미로운 내용의 논문이 실렸다.
체내에 흡수된 비타민 D가 칼슘을 흡수하는 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코로나19를 유발하는 신종 바이러스(SARS-CoV-2)와의 싸움에서 면역계를 지원할 수 있다는 것.
논문을 작성한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Trinity College Dublin) 연구진은 유럽 12개국의 코로나19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에서 비타민 D가 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면역조절제 사이토카인(Cytokine)을 통해 면역기능을 강화하고 있다는 사실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비타민 D가 코로나19를 유발하는 신종 바이러스(SARS-CoV-2)와의 싸움에서 면역계를 지원할 수 있다는 논문이 발표되면서 의료계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 mdanderson.org
“코로나19와 연관성이 있다는 정황 증거”
당초 이 연구는 1999년 이후 유럽 성인을 대상으로 비타민 D와 치사율 간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연구였다.
그러나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유럽 12개국의 환자 관련 데이터를 입수해 비타민 D와 신종 바이러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비타민 D 섭취를 권장하는 국가에서 치사율이 낮아지는 추세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에 참여한 로즈 앤 케니(R. A. Kenny) 교수는 “비타민 D가 코로나19에 영향을 미친다는 임상시험 결과는 아직 없지만 비타민 D와 코로나19 간의 연관성이 있다는 중요한 정황 증거가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논문 제목은 ‘Vitamin D and Inflammation: Potential Implications for Severity of Covid-19’ 이다.
17일 ‘포브스’ 지에 따르면 비타민 D와 관련 유사한 내용의 논문이 지난 4월 8일 의학논문 사전 공개 사이트인 ‘매즈 아카이브(medRxiv)’에 실린 바 있다.
한국을 비록 독일, 중국, 스위스, 이란, 미국,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등의 국가에서 수집한 환자 데이터에 따르면 적정량의 비타민 D를 섭취한 환자의 사망률이 14.6%였던 반면 비타민 D 섭취가 부족한 환자의 경우 17.3%의 사망률을 기록했다는 것.
미국 노스웨스턴대가 작성한 이 논문 제목은 ‘The Possible Role of Vitamin D in Suppressing Cytokine Storm and Associated Mortality in COVID-19 Patients’이다.
‘매즈 아카이브’에 실린 이 논문은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코로나19가 발생하기 훨씬 이전부터 많은 의료진은 비타민 D와 호흡기 질환 간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감지하고 있었다.
의료현장 적용이 가능한지는 아직 미지수
실제로 지난 2017년 5월 ‘영국 내과학회지(BMJ)’에 비타민 D와 호흡기 질환 간의 연관성이 있다는 내용의 논문이 발표됐다.
이 논문은 비타민 D 섭취가 부족한 16세 이하 그룹에서 호흡기 질환 발생 확률이 높아지는 정황을 기술하고 있었다. 독감이나 감기와 같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억제하는데 비타민 D가 큰 도움을 주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논문 제목은 ‘Vitamin D supplementation to prevent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individual participant data’.
당시 연구에 참여한 영국 의료진은 비타민 D가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면역체계를 강화하고 있다며, (과다 복용이 아닌) 적정량의 비타민 D를 섭취하기를 당부하고 있었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비타민 D가 코로나19와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면서 의료계는 연구 결과를 담담하게 받아들이고 있는 중이다. 코로나19가 호흡기를 망가뜨리는 바이러스성 질환인 만큼 면역체계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학의 폴 헌터(Paul Hunter) 교수는 17일 ‘데일리 메일’에 보낸 이메일을 통해 비타민 D가 코로나19에 대항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는 연구 논문에 대해 “충분히 동의할 수 있는 연구 결과”라고 논평했다.
그러나 이번 논문과 관련,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17일 ‘포브스’ 지는 이론적으로 비타민 D가 코로나19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준다는 사실에 동의한다고 평했다.
면역계를 구성하는 중요한 세포인 림프구와 세포에서 분비되는 단백질 면역조절제 사이토카인(Cytokine)을 조절해 신종 바이러스의 복제를 막고, 더 나아가 중환자의 사망률을 줄일 수 있다는 것.
그러나 이런 이론이 현실에 맞을지는 아직 미지수라고 밝혔다. 코로나19에 직면한 환자 입장에서 실제로 면역체계에 도움을 줄 수 있을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고, 그 가능성 역시 아직 확실하지 않다는 것.
그런 만큼 일반인의 입장에서 비타민 D를 적정량 섭취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신종 바이러스를 막을 수 있는 것처럼 복용량을 갑자기 늘리는 것에 대해서는 우려를 표명했다. 오히려 너무 많은 양을 복용했을 때 부작용이 우려된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381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김상욱 교수 연구팀이 매번 다른 형태를 형성하는 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패턴의 새로운 사물인터넷(IoT) 보안·인증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연구팀이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김봉훈 교수, 성균관대 권석준 교수와 공동으로 개발한 인증 기술은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수십억 개 나노 패턴을 저비용으로 만들어낼 수 있다.
거미가 사람처럼 한밤중에 이른바 '렘수면' 상태의 행동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공개돼 서구 과학계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졌다. 9일 AP 통신,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독일 콘스탄츠대에서 진화생물학을 연구하는 다니엘라 뢰슬러는 한밤중 줄에 매달린 작은 깡충거미의 행동을 카메라로 살펴본 결과 마치 렘수면 상태에 빠진 것처럼 다리를 씰룩거리고 눈을 깜빡이는 모습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올해 연말을 목표로 하는 중국의 독자 우주정거장 건설 작업이 순항하고 있다. 10일 인터넷 매체 펑파이 등에 따르면 중국 유인항천공정 판공실은 우주정거장 '톈궁'(天宮)의 두 번째 실험실 모듈 '멍톈'(夢天)을 최근 하이난 원창 우주발사장으로 옮겼다고 밝혔다. 각종 테스트 작업 등을 거친 뒤 오는 10월 발사해 핵심 모듈인 톈허(天和)와 도킹하면 'T'자형 우주정거장의 기본 골격이 완성된다.
30년 전인 1992년 8월 11일, 노태우 당시 대통령은 우리나라의 첫 인공위성 '우리별1호'가 남미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 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됐다는 소식을 알리며 이렇게 말했다. 질량 48.6㎏의 아주 작은 위성인데다가 제작도 해외 대학(영국 서리대)과 함께 했지만, 우리별 1호의 개발과 발사는 우주과학기술 불모지였던 한국이 발전의 초석을 다지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한국은 우리별 1호가 우주로 올라가면서 세계에서 22번째로 국적 위성을 보유한 국가가 됐고, 이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위성개발 능력을 확보해 오늘날 자력으로 위성을 제작하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고분자 시뮬레이션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물리학과 김재업 교수 연구팀은 일주일 정도 소요되던 계산을 하루 안에 끝낼 수 있는 'AI 고분자 시뮬레이션 기술'을 개발해 오픈소스 프로그램으로 공개했다. 옷감이나 플라스틱 등 우리 일상에는 고분자로 만든 재료가 많고, 특히 나노 기술은 고분자의 자기조립 성질을 이용하는 경우가 흔하다.
서울대 연구진이 차세대 리튬금속 배터리 전해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유기-물리화학적 성질을 최초로 발견했다. 서울대는 임종우 자연과학대 화학부 교수 연구진이 불소를 제거한 유기분자로 리튬금속음극 안정성을 대폭 향상해 1천500회 이상 충·방전 사이클을 구동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그린수소 생산 기술로 불리는 물 전기분해의 효율을 높이는 전극 코팅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에너지화학공학과 류정기 교수 연구팀은 전극 표면에 수화젤(Hydrogel)을 코팅해 물 전기분해의 성능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물 전기분해는 물에 담긴 전극에 전류를 흘려 물을 산소와 수소로 분해하는 기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