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팬지 ©게티이미지뱅크
‘인간은 선한가 악한가’에 관한 질문에 답이 어려운 이유는 ‘인간은 서로 돕는 친사회적 행동을 한다’는 사실과 닿아 있다. 인간은 타인을 돕기도 하고 가진 자원을 나누기도 하는데, 이는 흔히 이타적인 행동으로 이해되지만, 그 해석은 그리 간단치만은 않다. 이는 협동을 통해 자신의 이익을 높일 수 있도록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행동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협력 관계가 기대한 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돕고 나누는 행동도 지속하기 어려워진다. 이것은 우리의 ‘공평성’이라는 감각과 연결되어 있기도 하다.
어떻게 자원을 배분할 것인가?
‘무엇이 우리를 (더) 친사회적으로 만드는 가’라는 흥미로운 질문에 통찰을 제공하는 여러 연구들이 있다. 예를 들어, 두 명의 참가자가 돈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가를 실험하는 ‘최후통첩 게임(Ultimatum game)’이 있다. 규칙은 간단하다. 먼저 첫 번째 참가자가 돈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 결정해 제안하면 두 번째 참가자가 그 결정을 수용하거나 거절할 수 있다. 수용할 경우 둘은 결정한 대로 돈을 배분해 갖게 되고, 거절할 경우 둘 다 돈을 받을 수 없다.
실험에 따르면 첫 번째 참가자들은 대개 40% 정도의 돈을 나눠주겠다고 제안했고, 두 번째 참가자들은 자기에게 돌아오는 지분이 20% 이하일 경우 거절했다. 이는 우리가 ‘친사회적’으로 보는 결정을 하는데 관여하는 동기를 잘 드러낼 뿐 아니라 불공평에 대한 저항의 심리를 보여주기도 한다.
그런데 이때, 두 번째 참가자가 수용이나 거절이라는 두 가지 선택지 외에 자신만 받을 수 있는 다른 대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실험을 수정하면 상황이 달라진다. 두 번째 참가자는 그 대안을 선택하거나 첫 번째 참가자에게 자신의 몫을 더 요구하기 시작했다. 자원 접근성의 변화가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이것은 우리의 경제적인 선택에 대한 질문이기도 해서 최후통첩 게임은 경제학에서 많이 연구되기도 했다.
침팬지, 보노보가 하는 최후통첩 게임
최근 ‘영국 왕립 학회지’에 실린 논문은 침팬지와 보노보를 대상으로 최후통첩 게임과 유사한 실험을 했다. 연구진은 이들이 사람과 마찬가지로 불공평에 대한 저항을 보일 뿐 아니라, 상대가 어떤 자원에 대안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가를 고려해 더 혹은 덜 친사회적인 결정을 한다고 밝혔다.
보노보 ©게티이미지뱅크
연구진은 독일 라이프치히의 동물원에 사는 침팬지와 보노보를 대상으로 실험했는데, 이곳은 영장류들을 대상으로 진화심리학 실험을 활발히 하는 곳이다. 침팬지, 보노보는 사람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두 마리씩 짝을 이루어 먹이 6개를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 결정해야 했다.
첫 번째 참가자가 먹이를 3개씩 나누어 놓은 트레이와 자신에게 5개 상대에게 1개가 배분된 트레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면, 두 번째 참가자가 이를 수용하거나 거절하는 방식이었다. 수용하면 그대로 먹이를 배분하게 되고, 거절하면 두 마리 모두 먹이를 얻지 못했다. 여기에 더해, 연구진은 두 번째 참가자가 선택하기 직전에 대안으로 선택할 수 있는 먹이를 따로 제시했다. 실험에 따라 각각 0, 2, 4개의 먹이를 대안으로 제안한 것이다. 두 번째 참가자가 이를 선택하면 자신은 선택한 먹이를 받을 수 있지만, 첫 번째 참가자는 아무것도 얻지 못했다.
친사회적이기보다 ‘전략적’
연구진에 따르면 대안으로 제시한 먹이의 숫자가 클수록 첫 번째 참가자가 공평하게 분배된 트레이를 선택할 확률이 높았다. 반대로, 대안으로 제시된 먹이가 0개일 때 첫 번째 참가자가 5:1로 분배된 트레이를 선택하는 확률이 높아졌다. 이들이 상대의 자원 접근성을 고려해 자신의 이익을 최대화하는 결정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번 연구를 이끈 알레한드로 산체스 아마로(Alejandro Sánchez-Amaro)는 “이 결과는 침팬지들이 친사회적이라는 것을 보여주기보다 이들이 전략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친사회성은 이렇게 당장의 협력으로 얻는 자원이라는 소득 외에도 정서적인 요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측면에 닿아있지만, 우리가 흔히 친사회적인 행동으로 인식하는 ‘공평한 분배’라는 것이 경제적 전략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특히 그것이 우리와 계통학적으로 가까운 침팬지와 보노보에서 얼마나 유사하게 나타나는지 보여주는 흥미로운 연구다.
(1052)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수소연료전지의 일종인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PEMFC)의 성능을 고온·건조한 악조건에서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19일 밝혔다. 이 연구는 트럭·선박·항공기 등으로 PEMFC의 활용 분야가 지금보다 크게 확대되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19 대유행을 계기로 늘어난 게임 과몰입(게임 중독)의 주된 동기로 '현실도피'를 꼽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0일 한국게임학회에 따르면 장예빛 아주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의 온라인게임 이용 동기와 온라인게임 과몰입에 관한 연구' 논문에서 이렇게 주장했다. 이 논문은 지난달 발간된 한국게임학회 논문지(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22권 2호에 게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022년 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성사업' 지원 대상 기업 15개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 사업은 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정보통신기술(ICT) 융·복합 분야 유망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해 해외진출, 자금 등 지원을 통해 미래 유니콘 기업으로 육성하려는 것이다.
주기적인 환기만으로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총부유세균'의 실내 농도가 절반가량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2월부터 11월까지 경기북부 업무시설과 어린이집 1곳씩을 선정해 63회에 걸쳐 실내공기질을 조사·분석해 이런 결과를 담은 보고서를 19일 발간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전기전자공학과 김효일 교수팀이 하이퍼루프 내 무선 통신 전파(통신 채널)를 분석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하이퍼루프는 진공에 가까운 관인 '튜브' 안에 '포드'라는 객차를 한 개씩 가속해 시속 1천200㎞로 달리게 하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다.
오는 25일(미국 동부시간) 미국에서 한국 첫 지구관측용 민간위성인 한컴인스페이스의 '세종1호'(Sejong-1)가 발사된다고 한글과컴퓨터가 18일 밝혔다. 세종1호는 25일 오후 2시25분(한국시간 26일 오전 3시 25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소재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미국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의 '팰컨9'(FALCON9) 로켓에 실려 발사된다.
국내 연구진이 이미지 변환이나 음성 변조에 활용되는 인공지능(AI)으로 가상뇌파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18일 한양대에 따르면 임창환 한양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팀은 '신경 스타일 전이'(neural style transfer) 기술을 최초로 뇌파에 적용해 뇌파신호 변환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신경망 모델(S2S-StarGAN)을 만들어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