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은 서식지 파괴라는 어두운 면이 있으나 생태와 진화의 관점에서 생물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강력한 힘도 있다.
최근 들어 이와 관련된 주목할 만한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 올 초 호주에서 발생한 최악의 산불 탓에 산림과 생물 서식지 파괴로 이어져 산불에 관한 관심이 높아진 가운데, ‘생태학과 진화의 경향(Trends in Ecology & Evolution)’ 저널에는 산불을 진압하는 동물의 행동에 대한 호주 연구팀의 논문 리뷰가 게재됐다.
이 연구는 사바나 산림지대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연구진은 산불이 발생하는 데 재료가 되는 연료의 양, 구조, 상태 등 세 가지 특성을 동물이 어떤 행동방식을 통해 변형시켜 화재 예방에 영향을 끼치는지를 관찰했다.
자연에서는 항상 산불의 위험성이 도사리고 있다. 산불 발생 위험에 반응하는 동물의 행동에 집중하는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 Pixels
초식동물 존재가 산불 발생 최소화
연구진은 초식동물의 존재 여부에 따라 산불 발생의 피해 정도가 다른 사실을 알아냈다.
호주 국립대학 보전생물학자이면서 연구교수인 클레어 포스터(Claire Foster) 박사는 “사바나 산림지대를 대상으로 관찰한 결과 소나 염소, 코뿔소 등 대형 초식동물이 서식하지 않는 곳에 발생한 화재는 불 온도가 높고, 피해 면적도 증가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초식동물의 유무가 화재진압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화재 진압에 대한 대형 초식동물의 영향력이 주로 건조한 기후와 강변에서는 증가하지만, 기후와 지리적 특성도 고려할 대상이라고 설명했다.
연료 재배치로 화재 확산 줄여
연구진은 서식지 내 살아있거나 죽은 식물의 위치, 연료 밀도 등 연료의 구조를 미세하게 바꾸는 동물의 행동도 화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즉 연료가 재배치되면 연료 층 내 열과 공기 흐름이 제어되고, 불꽃 높이와 열 확산이 변화하는 등 동물이 연료 구조를 바꾸는 의미 있는 행동에 과학자들은 주목했다.
포스터 박사는 “풀숲 무덤새(닭목 무덤새과)는 주변에 떨어진 식물 재료로 흙무더기 형태의 둥지를 만드는 행동으로 화재가 일어날 만한 식물 즉, 연료의 위치를 바꿔 화재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초스터 박사는 “코끼리가 식물을 짓밟아 압축하거나 폭이 넓은 이동통로를 만드는 행동이나 그 외 동물이 숲 내부에 숲길을 만드는 행동은 산불 발생 시 화염의 높이를 낮추고 화재 확산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
곤충, 식물 가해로 연료 가연성 높여
또한 식물의 수분 함유와 화학 조성에 따라 연료가 연소하는 정도가 달라지는데, 곤충의 행동방식이 이런 식물의 상태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딱정벌레가 소나무와 가문비나무를 가해하면 나무는 보유한 습기를 낮추고, 가연성이 증가하는 상태를 관찰했다. 곤충의 공격으로 인해 식물이 보유한 수분을 감소하게 하고, 수분이 감소할수록 가연성이 높아져 산불이 발생할 가능성을 높인다는 것이다.
흰개미의 서식처인 거대한 형태의 흙더미는 산불 발생 시 다른 동물에게 피난처가 되기도 하고, 대형 초식동물을 흙더미 주위로 끌어들여 주변 식물을 먹이로 제공해 산불 발생률을 떨어뜨린다. ⓒ게티이미지
이번 리뷰에서 연구진은 식물의 종 다양화에 직·간접적으로 역할을 하는 산불은 동물의 서식지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소라고 설명했다. 산불을 대하는 동물의 처지에서 생존을 위한 필연적인 행동일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이다.
포스터와 공동연구자이면서 호주 서부대학교 레오니 발렌타인(Leonie Valentine) 야생생물학자는 “가축 동물의 방목과 야생동물의 개체 수 변화가 화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미세할지라고 이를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연구팀은 화재진압을 위해 동물의 개체군이 변화하는 과정을 추가로 연구할 계획이다.
(761)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지구 지각 160㎞ 아래에 암석이 부분적으로 녹아있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학과 CNN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잭슨 지구과학대학원'의 화쥔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 전체에 걸쳐 이런 층이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 최신호(6일자)에 발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피부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양과 방향을 정확히 측정해 재활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3개의 센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접 배치해 이들에서 나오는 신호의 조합으로 특정 부위 신축 방향과 변형량을 동시에 뽑아냈다.
멸종 인류인 네안데르탈인이 살던 선사시대 동굴에서 현대인도 즐겨 먹는 것과 같은 종의 게 껍데기가 무더기로 나와 9만 년 전에 이미 게 맛을 알고 즐겼던 것으로 제시됐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카탈루냐 인류고생물학 및 사회진화연구소'의 마리아나 나바이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리스본 인근 피게이라 브라바 동굴에서 발굴된 게 껍데기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환경 고고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Environmental Archaeology)에 발표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신소재공학부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산업 폐기물 속에 포함된 수소를 이용해 폐기물 속 이산화탄소를 연료전지의 원료인 '개미산(포름산)'으로 쉽게 전환하는 효소를 발굴했다고 8일 밝혔다. 지스트에 따르면 기후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 폐가스를 유용한 화학연료로 전환하는 연구에서 핵심은 산업 폐가스에 포함된 다른 가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와 같은 별도의 에너지 공급이 필요 없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주에서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감시할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이 본격화한다. 정부는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을 위해 참여 부처, 개발기관, 소요기관 간 추진 계획을 공유하는 회의를 9일 대전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사업은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방부 및 방위사업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추진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