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지원, “내 입맛에 맞춰 고른다”

올 해 정부 창업·지원사업 공략 방법

일자리 절벽이라는 암울한 현실 속에서도 자세히 살펴보면 길이 보인다. 창업자라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많은 정부 지원 사업에 관심을 가져보자.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당시 일자리 창출을 제 1 과제로 삼았다. 대선 공약은 그대로 정부 정책 기조로 이어져 현재 정부지원사업의 규모는 역대 최대 수준이다.

하지만 국가지원사업 종류가 아무리 많고 지원 자금이 풍부해도 나와 맞지 않으면 무용지물이다. 자신의 사업 분야에 맞게 전략적인 지원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정부 기업 과제를 보면 신생 기업에 맞는지 중견 기업에 맞는지 과제별로 전부 다르다. 올 해 정부지원사업에 어떻게 도전해야 할까.

내 사업의 목적을 정확히 설정 후 맞는 지원사업 골라라

정부지원사업이란 스타트업의 창업 촉진 및 일자리 창출을 위해 창업자에게 지원하는 창업교육, 창업시설 및 공간, 멘토링 등의 컨설팅, 정책자금, R&D, 판로 개척, 해외 진출 등을 통칭한다. 문재인 정부는 기존 중소기업청을 부로 승격한 중소벤처기업부를 통해 지원사업을 관장하고 있다. 수행기관은 창업진흥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중소기업진흥공단,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으로 나뉜다.

8일 서울 강남구 창업지원센터 마루180에서 스타트업들을 위한 올 해 정부지원사업 공략방법 설명회가 열렸다. ⓒ 김은영/ ScienceTimes

8일 서울 강남구 창업지원센터 마루180에서 스타트업들을 위한 올 해 정부지원사업 공략방법 설명회가 열렸다. ⓒ 김은영/ ScienceTimes

가장 먼저 할 일은 정부지원사업의 목적을 정확하게 정하는 것이다. 지원사업이 기업 개발 영역과 제품 특성, 창업 연한 및 연령, 성별에 맞는지 파악하고 도전해야 선택될 확률이 높다. 각각의 정부과제는 해당 조건이 면밀히 제시되어 있다.

김진아 이앤에스컨설팅 창업 지원 컨설턴트는 8일 서울 강남구 창업지원센터 마루180에서 열린 ‘정부지원사업의 이해’ 설명회에서 맞지 않는 과제를 하며 사업을 소홀히 한 결과 회사에 손실을 가져오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만 39세 이하 창업 후 3년 이내의 기업이라면 ‘청년창업’에 맞는 사업을 찾는 것이 좋다. ‘스마트벤처캠퍼스’ 지원 사업은 만 39세 이하의 청년사업으로 특화되어 있다. 청년(39세)과 중장년(40세 이상)간 팀을 구성한 경우라면 세대융합 창업캠퍼스 사업에 도전하는 것이 좋다.

창업에 실패한 경험이 있는 창업자들에게는 재도전 패키지가 준비되어 있다. 여성 창업자라면 여성을 위한 전문 특화사업 지원과제에 도전하면 유리하다. 여성창업경진대회와 여성벤처창업케어 프로그램은 여성 창업자들의 창업 아이템을 발굴 육성하기 위한 지원 사업이다.

기술개발 지원 사업은 총 13개 세부사업을 나뉘어 운영된다. 4차 산업혁명 과제라면 창업성장 기술개발 지원 사업 중 ‘디딤돌 창업과제’에 도전하면 좋다. 정부 출연금 비중은 80%이내이며 최대 1년 1.5억 원까지 지원된다. 디딤돌 창업과제와 같은 경우 지원방식을 잘 봐야 한다.

김 컨설턴트는 “지원방식 중 품목지정 방식에는 아무나 들어갈 수 없다. 전년도에 수요 조사를 하고 이에 응했던 기업만 지원할 수 있다”며 “자유공모 방식을 공략하라”고 조언했다.

지원받을 수 있는 자금의 종류, 상황에 맞게 신청해라    

정부지원자금은 대출해주는 방식의 ‘융자자금’, 연구 및 기업개발 과제를 수행하는 주관기업에 반대급부 없이 지원해주는 ‘출연자금’, 창업 활성화 등 정부나 지자체가 공익적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지원해주는 ‘지원자금’, 창업투자회사 등을 통해 기업의 주식 또는 회사채를 인수하는 방식으로 자본의 일부를 현금이나 현물의 형태로 제공하는 ‘투자자금’으로 나뉜다.

김진아 창업컨설턴트는 사업의 목적성, 사업의 일관성, 인력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김은영/ ScienceTimes

김진아 창업컨설턴트는 사업의 목적성, 사업의 일관성, 인력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김은영/ ScienceTimes

창업자들이 가장 관심 있는 자금은 ‘지원자금’이다. 갚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자금은 자신의 상황에 맞게 받는 것이 좋다. 창업 공간 또는 사업화 지원을 위해 창업 전이나 사업개시 1년 이내 조달하는 자금으로는 ‘지원자금’이 좋다. 이 후 시제품 개발 완료 후에는 ‘융자자금’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좋다.

김진아 컨설턴트는 융자자금 중에서 청년 창업자들이 눈여겨봐야 할 자금으로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청년전용창업’ 자금을 꼽았다. 2% 고정 금리로 대출 이율이 낮고 1억 원까지 대출된다. 청년전용인 만큼 나이 제한이 있다. 대표자가 만 39세 이하로 업력 3년 미만의 중소 및 창업 준비자에 한한다.

올 해부터는 지난 정부 때와는 달리 지원 자금을 주는 방식이 실용적으로 변화했다. 과거에는 사업계획서를 내고 해당 PT를 통해 자금을 바로 지급했으나 청년 창업 실패율이 증가함에 따라 자금신청을 하면 멘토링을 통해 창업을 조언해주고 함께 마케팅 진단, 평가 후 예산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변했다.

기술지원과제에 ‘서비스업’이 포함된 것도 올 해 달라진 사항이다. R&D 과제로 포함됐다. 서비스업이 일자리 창출에 많은 기여를 한다는 판단이 들어갔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초기 단계의 지원을 받는 경우를 제외하고서 창업한 이 후 자금을 지원 받기 해서는 먼저 기술 인력과 인프라가 일정 수준 준비되어 있어야 한다. 자금을 지원해주면 인력을 뽑겠다고 하면 이미 늦는다. 정부과제는 과제를 완료해야 하는 기간이 있다. 정해진 기한을 맞추고 수익창출기간까지 여유가 있으려면 빨리 활용할 수 있는 IT 인력과 계획이 세워져 있는 기업이 유리하다.

사업계획에는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 모든 투자를 받는 과정이 그렇지만 사업계획서는 앞과 뒤가 같아야 한다. 김진아 컨설턴트는 “설명하다 보면 앞에서 설명한 숫자와 결과에 설명되어 있는 숫자가 다른 기업도 비일비재하다. 이런 경우 결과는 보나마나”라며 “사업계획에는 스토리가 일관성 있게 연결되야 한다”고 조언했다.

(14434)

태그(Tag)

전체 댓글 (0)

과학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