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는 멀미와 어지럼증 없는 VR 콘텐츠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VR 콘텐츠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사용자의 어지럼증과 멀미 현상이 걸림돌이 돼 왔다. 하지만 국내 연구진이 VR 콘텐츠 이용 시 나타나는 어지럼증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면서, VR 기술의 고질적 문제에 대해 설루션이 마련될 전망이다.
지난달 26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인공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VR 멀미 정도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SW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한 ‘VR 휴먼팩터 기반 VR 멀미 분석 및 모니터링 도구’는 VR 사용자의 개인별 특성이 반영된 체험 데이터 500건 이상을 기계학습에 적용하고, 이를 통해 VR 요소들과 VR 멀미 간에 상관성을 도출하는 소프트웨어다. 이 기술은 VR의 멀미 경험도가 사용자별로 차이가 크다는 점을 고려하여 대규모 체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발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VR 콘텐츠 이용 시 나타나는 어지럼증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ETRI
무거운 데이터를 처리할 VR의 구원투수, 5G?
지금까지 VR 기술의 고질적 문제로 등장하는 것은 사용자의 어지럼증 호소와 데이터 처리 기술의 한계였다.
이러한 한계를 두고 VR 산업계에서는 VR 디바이스, 통신, 콘텐츠 등의 산업 인프라가 많지 않은 상태로 기술이 등장함으로써, 초기 정착 단계가 길고 험했다고 자평한다.
무엇보다도 기본적으로 데이터양이 많은 VR 콘텐츠를 종전에는 대부분 고성능 디바이스와 PC에 저장할 수밖에 없었다. 그렇다 보니 콘텐츠의 특성과 소비자 요구에 따라 고화질의 VR 영상을 제작·서비스하기에는 역부족이기도 하고, 고비용 이슈가 걸림돌이었다. 특히 인터랙티브 콘텐츠의 다중 접속이 점차 늘어나면서 데이터 처리에 난관을 겪었다.
이러한 VR 기술과 산업의 한계를 해결할 구원투수로써 5G 네트워크가 등장했다. 5G 네트워크로 인해 방대한 데이터를 쉽게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된 셈이다. 5G 에지 클라우드를 활용한 고성능·초경량 디바이스와 함께 앞으로 대용량 고품질의 실감형, 인터랙티브 VR 콘텐츠 구현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5G 네트워크의 등장으로 VR의 방대한 데이터를 쉽게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었다. Ⓒ게티이미지뱅크
시각과 전정 감각의 불균형이 VR 멀미를 일으킨다?
VR은 주로 사람의 머리에 HMD(Head Mounted Display) 기기를 착용하여 사용자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을 경험하게 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영상처리,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 다양한 기반 기술들이 합쳐진 융합 기술. 특히 가상의 효과를 디스플레이에 표현하는 스테레오 비전 및 영상처리 기술은 VR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술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VR의 가장 중요한 기술이 VR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곤 했다. VR 영상 콘텐츠의 시각 정보 특성과 HMD 기기의 하드웨어적 특성은 사용자들에게 어지럼증, 두통 등 신체 반응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먼저 사람의 시각과 전정 감각의 불균형이 멀미를 유발한다는 지적이 대표적이다. 움직이는 차 혹은 배에 탑승했을 때 느끼는 멀미의 원인과 같은 것으로, 시각 정보와 위치 감각 정보가 어긋날 때 감각 갈등이 일어나서 어지럼증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VR 콘텐츠가 만든 가상환경은 실제 환경의 경험 값과 다르기 때문에, 두 감각의 불균형이 발생하기 쉽다.
VR 이용자의 머리 움직임이 수직축으로 클수록 멀미 유발 정도가 높다는 결과도 있다. 즉 이용자의 머리나 주시하고 있는 화면이 위·아래로 움직이는 시간이 길수록 멀미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또 이용자의 시점이 VR의 가상 환경과 평형을 이루지 않을 때 멀미를 호소하는 사람도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별로 멀미를 유발하는 원인과 그 정도는 다양하다. 이번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발한 기술은 바로 이 사용자 체험의 다양성을 데이터로 활용한 기술이라는 점에서 더 가치가 있다.
VR 기술은 사용자의 어지럼증, 두통 등 신체 반응이 항상 걸림돌이었다. Ⓒhttp://ko.cinema9dvr.com
멀미와 재미를 잡는 VR의 등장
VR 기술의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돼 온 멀미, 어지럼증 유발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바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개발한 ‘VR 휴먼팩터 기반 VR 멀미 분석 및 모니터링 도구’는 사용자로부터 생체신호 정보를 얻어 인공지능으로 VR 멀미를 예측하는 학습 엔진 소프트웨어다.
VR 영상과 사용자의 행동 간 정보 차이를 엔트로피로 해석·활용한 소프트웨어가 VR 콘텐츠를 조정하거나 편집함으로써 간편하게 멀미를 저감할 수 있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특히 여러 데이터를 기계학습한 이 기술은 1~5단계까지 정량 지표를 바탕으로 객관적으로 콘텐츠를 조정할 수 있으며, 기존의 상용 게임엔진 프로그램과도 쉽게 호환되는 장점이 있다.
이미 개인 휴대형 생체신호 장비와 연동되어 심리·정신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로 쓰이며, 헬스케어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 연구진이 개발한 ‘VR 멀미 저감용 콘텐츠 저작 도구’는 콘텐츠 제작 과정에서 VR 요소들을 실시간으로 조절하여 멀미를 줄일 수 있어, 탑승형 놀이기구에 적용하는 등 개발 편의성이 한층 더 높아질 전망이다.
(582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지구 지각 160㎞ 아래에 암석이 부분적으로 녹아있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학계에 보고됐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학과 CNN 등에 따르면 이 대학 '잭슨 지구과학대학원'의 화쥔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 전체에 걸쳐 이런 층이 존재한다는 점을 밝힌 연구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 지구과학'(Nature Geoscience) 최신호(6일자)에 발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피부가 늘어나고 줄어드는 양과 방향을 정확히 측정해 재활 치료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진은 3개의 센서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인접 배치해 이들에서 나오는 신호의 조합으로 특정 부위 신축 방향과 변형량을 동시에 뽑아냈다.
멸종 인류인 네안데르탈인이 살던 선사시대 동굴에서 현대인도 즐겨 먹는 것과 같은 종의 게 껍데기가 무더기로 나와 9만 년 전에 이미 게 맛을 알고 즐겼던 것으로 제시됐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카탈루냐 인류고생물학 및 사회진화연구소'의 마리아나 나바이스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리스본 인근 피게이라 브라바 동굴에서 발굴된 게 껍데기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환경 고고학 프런티어스'(Frontiers in Environmental Archaeology)에 발표했다.
지스트(광주과학기술원)는 신소재공학부 권인찬 교수 연구팀이 산업 폐기물 속에 포함된 수소를 이용해 폐기물 속 이산화탄소를 연료전지의 원료인 '개미산(포름산)'으로 쉽게 전환하는 효소를 발굴했다고 8일 밝혔다. 지스트에 따르면 기후 온난화에 영향을 미치는 산업 폐가스를 유용한 화학연료로 전환하는 연구에서 핵심은 산업 폐가스에 포함된 다른 가스에 영향을 받지 않고 전기와 같은 별도의 에너지 공급이 필요 없는 공정을 개발하는 것이다.
우주에서 한반도와 주변 해역을 감시할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이 본격화한다. 정부는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을 위해 참여 부처, 개발기관, 소요기관 간 추진 계획을 공유하는 회의를 9일 대전에서 개최했다고 밝혔다. 초소형위성 체계 개발사업은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국방부 및 방위사업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경찰청, 국가정보원 등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추진한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외과 정한길·김택균 교수, 신경과 윤창호 교수 공동 연구팀은 두경부(머리와 목 부분)의 X-선 영상을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는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면무호흡증은 자는 동안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거나 호흡량이 줄어드는 상태를 말한다. 이런 상태가 장기간 지속되면 고혈압, 심근경색, 뇌졸중 등의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크게 높아진다.
한국재료연구원은 배터리 핵심 소재 리튬이온으로 차세대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를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8일 밝혔다. 뉴로모픽 반도체 소자는 인간 뇌를 모사해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 고효율로 인공지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반도체 소자다. 재료연구원 나노표면재료연구본부 김용훈·권정대 박사 연구팀이 이 기술을 개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