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을 조금만 자게 할 뿐만 아니라 수면 부족에서 오는 기억력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초의 유전자가 발견됐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학(UCSF)의 잉후이 푸 신경학 교수팀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인 ‘사이언스 중개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최신호(10월 16일 자)에 발표했다.
보통 사람들의 적절한 수면 시간은 7~9시간이다. 그런데 푸 교수팀은 매일 평균 5.5시간과 4.3시간밖에 자지 않는 아버지와 아들에게서 NPSR1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확인했다. 이 유전자는 수면을 조절하는 기능과 관련이 있다.
만성적으로 수면이 부족하게 되면 비만, 당뇨병, 심혈관질환, 우울증, 인지능력 결여 등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보통 사람들보다 2~4시간이나 적게 자는 이들 부자는 수면 부족으로 인한 어떠한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그들은 평범한 사람보다 더 낙관적이며 멀티태스킹에 능숙한 것으로 알려졌다.
UCSF 연구진은 잠을 조금 자게 할 뿐만 아니라 수면 부족에서 오는 기억력 감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초의 유전자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 Image by congerdesign from Pixabay
연구진은 이들 부자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조사한 결과, 뉴런 표면에 자리 잡고 있는 신호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NPSR1이라는 유전자에서 돌연변이가 나타났음을 알아차렸다. 이 같은 돌연변이는 400만명 중 1명도 안 되는 사람들에게서 일어나는 매우 희귀한 사례라고 연구진은 밝혔다.
푸 교수팀은 이 유전자의 기능을 이해하기 위해 유전자 조작으로 NPSR1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일으킨 생쥐들을 대상으로 일련의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돌연변이를 가진 생쥐는 일반 쥐들보다 평균 71분 정도 잠을 덜 자는 데도 신체적으로는 더 활동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잠을 적게 자도 평상시 기억력 유지
연구진은 생쥐들에게 기억력 테스트도 실시했다. 특수 설계된 방에 쥐들을 넣고 몇 분 동안 새로운 환경을 탐색할 수 있게 한 다음 발에 전기 자극을 가해 약간의 충격을 준 것. 잠을 충분히 잔 보통 쥐들은 하루 후 그 방에 다시 돌아왔을 때 그 전기 충격을 기억해서 방을 더 천천히 탐색하는 행동을 보였다.
하지만 수면이 부족한 보통 쥐의 경우 전기 충격을 받은 지 하루 후 다시 그 방에 돌아왔을 때 전기 충격을 전혀 기억하지 못한 채 마음대로 돌아다녔다. 그런데 NPSR1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생쥐들은 수면 부족에도 불구하고 전기 충격을 정확히 기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잉후이 푸 교수는 “NPSR1은 짧은 수면을 촉진할 뿐만 아니라 수면 부족에서 오는 기억력 문제를 예방한다. 이것은 수면 부족의 많은 부작용들 중 하나에 대해 보호 효과를 발휘하는 최초의 유전자이다”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NPSR1 단백질이 세포 표면 수용체이므로 언젠가는 이 유전자를 활성화시키거나 방해하는 약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즉, 수면 장애 치료에 도움이 되거나 수면 부족과 관련된 특정한 인지적 결손을 예방할 수 있는 미래의 치료법을 개발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이번에 연구 대상이 된 아버지와 아들은 자신들이 직접 연구진에게 연락을 취해 와 실험이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푸 교수팀이 이전에 발표한 연구 결과를 봤기 때문이다.
푸 교수팀이 짧은 수면 유전자를 처음으로 발견한 것은 10년 전인 2009년이다. 당시 발견한 유전자는 DEC2인데,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사람은 하루 평균 6.25시간밖에 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후 푸 교수팀은 짧은 수면을 취하는 다른 유전자를 찾기 위한 연구에 나섰다. 짧은 수면을 취하는 이들이 모두 DEC2 유전자 변이를 갖고 있었던 것은 아니기 때문이었다.
세 번째 발견된 짧은 수면 관련 유전자
그러다 10년 만인 지난 8월에 두 번째 짧은 수면 유전자인 ‘ADRB1’을 발견했다. 이 유전자를 발견하는 데 10년이나 걸린 이유는 3대 연속 짧은 수면 체질을 타고난 한 가족을 그때야 발견했기 때문이다.
ADRB1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긴 생쥐들은 보통 생쥐들에 비해 평균 55분 정도 잠을 적게 자는 것으로 밝혀졌다. ADRB1 유전자는 호흡이나 심장박동 등 생명유지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간의 배(背)측 뇌교 부위에서 발현도가 유난히 높게 나타났다.
뇌간의 기능 중 하나가 수면 및 각성 상태를 조절하는 것인데, ADRB1 돌연변이가 나타난 생쥐는 수면 단계에서 각성을 촉진하는 뉴런이 더 쉽게 활성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에 발표된 NPSR1 유전자는 푸 교수팀이 발견한 세 번째 짧은 수면 관련 유전자다. 잉후이 푸 교수는 “현재 이 분야는 훨씬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이제서야 유전자가 잠을 잘 자게 하는 데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알기 시작했다고”고 전했다.
미국 과학매체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의 보도에 의하면, 푸 교수팀은 이 유전자들의 배후 메커니즘을 계속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연구진은 앞으로 약 10개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으며, 그렇게 되면 언젠가는 수면의 비밀에 대한 전체적인 윤곽을 알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8279)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종양 내부에 발생하는 저산소증만 감지해 암을 진단할 수 있는 신개념 조영기술이 개발됐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 박사 연구팀은 미국 텍사스대 세슬러 교수 연구팀과 공동으로 종양의 저산소증에 반응해 신호를 내는 감응성 바이모달(MRI·광학 혼합) 이미징 프로브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인공지능(AI) 기술이 국가안보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 우리나라가 대응해 필수적인 AI 기술을 중점 육성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4일 학계에 따르면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최근 펴낸 '국가안보를 위한 인공지능과 3대 전략 기술'보고서는 우리 정부가 보호·육성해야 할 AI 기술로 ▲ 지능형 반도체 ▲ 자율무기 ▲ 생성적 적대 신경망(GAN) 등 3가지를 제시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빛 없이도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새로운 광촉매 기술을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신소재공학과 신형준 교수 연구팀은 기존 이산화 티타늄 광촉매 위에 탄소나노소재를 증착시킨 형태로 광촉매를 설계해 햇빛이 없을 때도 유기 오염물질 제거·살균 효과가 있는 광촉매를 개발했다. 광촉매가 물을 분해해 만드는 수산화 라디칼은 미세플라스틱, 폐염료 등 유기 오염물질 분해와 살균 효과가 있어 폐수 처리나 공기 정화 기수에 사용할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25일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를 열어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의 2차 발사일을 6월 15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다만 기상 등에 따른 일정 변경 가능성을 고려해 발사예비일을 내달 16∼23일로 설정했다. 정확한 발사시각은 발사 당일에 2차례 열릴 발사관리위원회에서 확정되며, 시간대는 지난 1차 발사(2021년 10월 21일 오후 5시)와 비슷하게 오후 3∼5시 사이에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미세먼지 중에서도 가장 입자가 작은 나노미세먼지가 허파에 깊숙이 침투해 오래 머무르면서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23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에 따르면 바이오융합연구부 홍관수·박혜선 박사 연구팀은 형광 이미징이 가능한 초미세·나노미세먼지 모델입자를 제작해 생체에 주입한 뒤 최대 한 달 동안 장기별 이동 경로와 세포 수준에서의 미세먼지 축적량을 비교·분석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립전파연구원은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부문(ITU-T) 정보보호 연구반(SG17) 회의에서 우리나라 주도로 개발한 표준 4건이 사전 채택됐다고 23일 밝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장재범 교수와 전기및전자공학과 윤영규 교수 연구팀이 기존보다 5배 더 많은 단백질 바이오마커(생체지표)를 동시에 찾아낼 수 있는 '멀티 마커 동시 탐지 기술'을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한 번에 15∼20개 단백질 마커를 동시에 탐지할 수 있는 피카소(PICASSO) 기술은 동시 탐지 기술 가운데 가장 많은 수의 단백질 마커를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가장 빨리 탐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