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승일의 과학융합예술] 관객과 소통하는 인터렉티브 아트
캐나다 온타리오 틸슨버그(Tillsonburg)시 출신의 현대미술가 데이비드 로크비(David Rokeby, 1960~)는 80년대 초반부터 주로 상호대화형 사운드 아트와 비디오 설치미술 분야에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는 작가로서, 오스트리아 ‘Prix Ars Electronica’와 캐나다 ‘Governor General’s Awards in Visual and Media Arts’, ‘Petro Canada Media Arts Award’를 수상했으며, 영국 ‘British Academy of Film and Television Arts’ 최초로 인터랙티브 아트 부분에서 수상했다.
데이비드 로크비의 초기 작품 ‘Very Nervous System’(1982-1991)은 인간의 신체적 · 물리적 동작을 실시간 대화형 음향 환경으로 변환하는 인터랙티브 아트의 선구적인 작품으로, 캐나다 예술위원회와 온타리오 예술위원회 후원으로 제작되었으며, 국제적으로는 1986년 베니스 비엔날레(Venice Biennale)에서 선보였다.
Very Nervous System Ⓒ David Rokeby
‘Very Nervous System’의 초기 버전은 데이비드 로크비 본인이 직접 시연했으며, 애플 II(Apple II) 컴퓨터와 비디오 카메라, 프레넬 렌즈(Fresnel lens), 신시사이저(synthesizer), 그리고 64개의 광센서가 사용되었고, 1982년부터 10여 년 동안 지속적으로 기술적인 진화를 해왔다.
‘Very Nervous System’의 사운드는 듣는 음악이 아니라, 관객이 몸으로 직접 작품을 체험하면서 느끼는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대하여 데이비드 로크비는 “이 설치미술은 관객들이 자신의 몸을 가지고 노는 일종의 도구이다. 나는 관객과 시스템 사이에 복잡하고 공명(共鳴)적이고 발전하는 관계를 만드는 것에 관심이 있다”라고 하였다. <관련동영상>
‘Very Nervous System’은 캐나다 ‘Techno Art’, 독일 ‘European Media Arts Festival’, 멕시코 ‘Net@Works’, 이탈리아 ‘Art Media 2’와 ‘Arte, Technologia e Informatica’, 미국 ‘Siggraph 88 Art Show’, 프랑스 ‘Festival des Arts Electroniques’, 네덜란드 ‘Second International Symposium on Electronic Art’, 필란드 ‘MuuMedia Festival’, 벨기에 ‘Corps et Machines’, 브라질 ‘Arte No Seculo XXI’ 등 세계 각국에서 전시되었으며, 1993년에는 독일 포츠담(Potsdam) 도심 거리에도 설치된 바 있다.
Silicon Remembers Carbon Ⓒ David Rokeby
데이비드 로크비의 사운드 & 비디오 설치미술 ‘Silicon Remembers Carbon’은 1993년 독일 ‘Diechtorhallen Hamburg’ 지원으로 처음 제작되어 네덜란드 ‘World Wide Video Festival’과 독일 ‘Mediale’에서 설치 전시되었으며, 2000년 영국 ‘Lowry Centre’의 지원으로 두 번째 버전이 만들어졌다. 작품은 4미터 x 3미터 크기의 모래 바닥에 투사된 비디오 영상과 상단의 4개의 스피커, 그리고 4대의 적외선 카메라로 구성되었고, 관객의 실루엣이 레이어 이미지로 바닥에 함께 투사되기도 하며, 움직임은 사운드로 변환된다. <관련동영상>
Minimal Object Ⓒ David Rokeby
데이비드 로크비의 2012년 작품 ‘Minimal Object – with time on your hands’는 움직임을 소리로 변환하는 그의 일련의 대화형 사운드 설치미술 가운데 하나로서, 회색 캔버스 천과 뒷면의 두 개의 스피커 세트, 그리고 상단의 동작 감지 카메라로 구성되었으며, 보이지 않는 촉각적 사운드와 공간적 존재를 탐구한다. <관련동영상>
‘Minimal Object’에는 300개의 사운드 소스가 숨겨져 있는데, 손을 캔버스 천에 가까이 대고 이동하면 소리가 겹쳐지면서 3차원적 음원을 체험한다. 사운드들은 각종 기계음, 전기음, 인간음, 동물음, 자연음 등의 다양한 소스로 구성되었으며, 리듬감 있고 반복적인 사운드는 무수한 조합을 형성한다. 동작이나 손 움직임의 감지는 캔버스 천 앞면 공간 70cm 범위에서 이루어진다.
n-Cha(n)t Ⓒ David Rokeby
그가 2001년 제작한 또 다른 대화형 사운드 설치미술 ‘n-Cha(n)t’는 1987년부터 시작된 오스트리아 ‘Prix Ars Electronica’에서 인터랙티브 아트 부문 ‘Golden Nica’ 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캐나다 ‘Banff Centre for Arts’ 지원으로 제작되었으며, ‘Walter Phillips Gallery’에서 발표되었다. 작품은 전시장 천장에 매달린 7대의 애플 컴퓨터와 모니터, 그리고 스피커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언어와 소리의 새로운 연관성을 탐구한다. <관련동영상>
인체를 작품에 직접적으로 연계시키는 인터랙티브 아트 분야의 개척자 데이비드 로크비의 그 밖의 주요 상호대화형 실시간 설치미술 작품으로는 프랑스 ‘Le Fresnoy Studio National des arts contemporains’의 의뢰로 제작한 ‘Hand-held’(2012), ‘International Feel’(2011), ‘Dark Matter’(2010~2015), ‘Quaver’(2010), ‘Surface Tension’(2009), ‘Sorting Daemon’(2003), ‘Cheap Imitation’(2002), ‘inter / face’(2002), ‘steamingmedia.org’(2002), ‘Guardian Angel’(2001), ‘Watched and Measured’(2000), ‘Watch’(1995-2008), ‘Border Patrol’(1995), ‘Petite Terre’(1992), ‘The Master of Space’(1990), ‘Echoing Narcissus’(1987), ‘Reflexions’(1983) 등이 있으며, ‘The Computer as a Prosthetic Organ of Philosophy’, ‘The Construction of Experience’, ‘The Harmonics of Interaction’ 등의 글을 저술하였다.
(585)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9일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은 우리나라 극한소재 실증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교두보 마련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경남 창원 한국재료연구원을 방문해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 현황을 점검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과기정통부가 전했다. 이 사업은 초고온·극저온·특정극한 등 미래 유망소재
/ 금융권에서 전산장애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당국과 각 금융협회가 가이드라인 제정에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29일 금융 정보기술(IT)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이날 금감원 본원에서 각 금융협회와 첫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TF는 오는 6월까지 성능관리, 프로그램 통제, 비상대책 등 3개 과제를 검토하고, 각 협회는 금융회사 의견을 수렴해
/ 시각이나 촉각 센서 도움 없이 계단을 오르내리고 울퉁불퉁한 곳에서도 넘어지지 않고 움직이는 사족보행 로봇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명현 교수 연구팀은 잠에서 깬 사람이 깜깜한 상태에서 시각적인 도움 없이도 화장실을 갈 수 있는 것 같은 블라인드 보행(blind locomotion)을 가능케 하는 로봇 제어 기술 ‘드림워크’(DreamWaQ)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 챗GPT 등장 이후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AI를 바르게 활용할 ‘리터러시’(문해력)를 키워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29일 학교 AI 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현장 교원의 의견을 수렴하는 ‘챗GPT 시대의 AI 리터러시’ 토론회를 이날과 31일 양일간 개최한다고 밝혔다. 토론회에서는 ‘서울형 AI 윤리교육 모델’을 상세히 소개하고 학교의
/ 서울디지털재단은 이달 28∼31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전시인 ‘SCSE(Smart City Summit & Expo) 2023’에 서울관을 최초로 설치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SCSE 주제는 ‘스마트시티의 새로운 차원으로 이끄는 디지털 전환’이다. 47개국에서 1천700개 부스를 마련했다. 서울관은 서울시의 디지털 포용정책 등을 알리는 정책존, 서울의 혁신 서비스와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소개하는
/ “사람마다 속도나 원인이 다른 관절의 노화를 어떻게 하면 제어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았지요.” 휴대전화 센싱(sensing) 기술로 관절의 노화 인자를 찾아내 치료하는 연구에 성공한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진은정 교수는 28일 유전자 전사체(유전체에서 전사되는 RNA 총체)를 먼저 설명했다. 사람마다 얼굴이 다르듯 유전자의 발현 양상이 천차만별인데, 이를 분석·통제하는 게 생명과학 연구의 기본이다. 유전자의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들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3종을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지정된 제품은 딥노이드의 뇌동맥류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코어라인소프트의 뇌출혈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메디컬에이아이의 심부전·심전도분석소프트웨어다.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제도는 식약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던 평가를 통합적으로 진행해, 의료기기가 허가와 동시에 신속하게 의료 현장에 진입하게 하는 제도다. 딥노이드 제품은 뇌혈관 MRA(자기공명혈관조영술) 영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