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프리카 ‘인류의 요람(the Cradle of Humankind)’ 동굴들에서 발굴된 화석들의 연대표가 처음으로 작성됐다. 이와 함께 이 지역에서 첫 인류 조상들이 살던 당시의 기후조건도 밝혀졌다.
남아공 케이프타운대 동위원소 지구화학자인 로빈 피커링(Robyn Pickering) 박사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과학저널 ‘네이처’(Nature) 21일자에 초기 인류족(hominin)이 거주한, 화석이 풍부한 남아프리카 동굴에 대한 새로운 연대측정 결과를 발표했다.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이 지역 동굴들이 서로 관련이 없다’고 추정해 왔다. 그러나 이번 연구결과는 이를 정면으로 반박하는 것이다.
연구팀은 또 인류조상들이 거주했던 동굴 화석들은 단지 여섯 개 특정시기에만 나타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인류족 화석 40%가 발견된 ‘인류의 요람’
피커링 박사는 “동굴 한 곳 혹은 동굴의 방 하나에만 집중했던 이전의 연대측정 작업과는 달리 우리는 8개 동굴의 연대를 직접 측정하고, 전 지역에서 나온 모든 화석들의 나이를 설명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제 개별 동굴들에서 발견된 결과물들을 서로 연결해 남부 아프리카에서의 인류 진화사에 대한 더욱 나은 그림을 창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1999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인류의 요람’은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북서쪽 50 km 지점에 위치한 석회암지대로, 여러 종류의 화석들이 많이 발견되는 동굴들로 이루어져 있다.
인류의 요람은 초기 인류족 유적이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곳으로 꼽힌다. ‘미세스 플레스(Mrs Ples)’란 별명이 붙은 유명한 오스트랄로피테쿠스(Australopithecus africanus) 두개골을 포함해 지금까지 알려진 인류 조상 화석의 거의 40%가 이곳에서 나왔다.
1947년 4월 남아프리카 ‘인류의 요람’에서 발굴된 미세스 플레스(Mrs. Ples)란 별명이 붙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두개골 화석. 연대측정 결과 205만년 전의 것으로 확인됐다. 프리토리아 국립박물관 소장. CREDIT: Wikimedia Commons/ José Braga; Didier Descouens
우라늄–납 연대측정으로 320만년~130만년 전 연대 밝혀
연구팀은 우라늄-납 연대측정법을 사용해 ‘인류의 요람’ 도처에 있는 8개의 동굴에서 화석이 풍부한 퇴적물 사이에 끼여있는 28개의 유석(flowstone) 층을 분석했다. 유석은 동굴의 벽이나 바닥, 암석 선반 등에 흐르는 물에 의해 엷은 석회질 침전물이 형성되는 것을 말한다.
분석 결과 이들 동굴에 있는 화석들은 320만년~130만년 전 사이 6개의 좁은 시간대에 위치한 것으로 밝혀졌다.
피커링 박사는 “유석들이 중요한 열쇠”라고 지적했다. 그는 “동굴 밖에서 비가 많이 내리는 습한 시기에는 유석들이 동굴 안에서만 생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며, “유석들의 연대를 측정해 강우량이 증가한 시기를 골라낸 다음. 그 사이 기간에 동굴이 열린 때와 현재 우리가 경험하는 것과 같은 좀 더 건조한 시기가 언제인가를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남아공 가우텡 지방 ‘인류의 요람’ 지역. 중요한 동굴이 있는 곳을 점으로 표시했다. CREDIT: Wikimedia Commons/ Chartep
이것은 이 지역에 살던 초기 인류족이 300만~100만년 전 사이에 적어도 여섯 번은 ‘습한 조건에서 건조한 조건까지의 커다란 지역 기후변화’를 경험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건조한 기후 시기만 동굴에 보존돼 있어 초기 인류의 진화 기록이 왜곡될 우려가 있었다.
남아프리카 기록, 동아프리카에 비해 해독 어려워
지금까지는 ‘인류의 요람’ 화석의 연대를 측정할 방법이 부족했기 때문에 아프리카 동부와 남부 인류종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기가 어려웠다.
더욱이 남아프리카의 기록은 화산재 층을 통해 정확한 연대 해독이 가능한 동부 아프리카에 비해, 종종 연대를 가늠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간주돼 왔다.
논문 공저자인 호주 라 트로브 대학의 앤디 헤리스(Andy Herries) 교수는 “남아프리카 기록은 아프리카가 인간 기원의 원점이라는 사실을 처음 보여주었으나, 동굴들의 복잡성과 이 동굴들의 연대 측정에 따르는 어려움으로 인해 그 해석이 어려운 채로 남아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 연구에서 우리는 동굴에 있는 유석이 동아프리카의 화산재와 거의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며, “유석은 서로 다른 동굴들에서 동시에 형성돼 이들의 순서와 화석들을 지역적 순서와 직접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해준다”고 설명했다.
“화석 발견 이래 가장 중요한 진전”
피커링 박사는 2005년 박사과정 연구의 일환으로 ‘인류의 요람’ 동굴들의 연대를 측정하기 시작했다. 이번 논문은 지난 13년 간에 걸친 연구의 결실로, 남아프리카와 호주, 미국의 과학자 10명과 함께 작업을 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인류의 요람’을 인류사 연구의 최전선으로 다시 돌려놓고, 과학자들이 이 지역 인류사의 복잡한 의문들에 답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연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미국 조지워싱턴대의 저명한 고인류학자인 버나드 우드( Bernard Wood) 교수는 “로빈 교수팀은 인류 진화에 대한 이해에 중요한 기여를 했다”고 평했다.
우드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화석 자체가 발견된 이래 가장 중요한 진전”이라고 평가하고, “화석은 연대가 매우 중요한데, 이번 남아프리카 화석 연구는 시간 및 퇴적 조건의 맥락에서 모범적으로 이뤄졌다. 그렇기에 이 화석의 연구 가치는 몇 배나 증가했다”라고 밝혔다.
이번 발견을 통해 향후 관련 연구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보인다. 인류의 기원이 동아프리카인지 아니면 수많은 인류족 유적이 발굴된 남아프리카인지, 그리고 그 연계 관계는 어떻게 이어지는지 등 후속 연구에 귀추가 주목된다.
(3457)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29일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은 우리나라 극한소재 실증연구 역량을 강화하고 기술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교두보 마련의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경남 창원 한국재료연구원을 방문해 극한소재 실증연구 기반조성 사업 현황을 점검한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과기정통부가 전했다. 이 사업은 초고온·극저온·특정극한 등 미래 유망소재
/ 금융권에서 전산장애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당국과 각 금융협회가 가이드라인 제정에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29일 금융 정보기술(IT) 안전성 강화를 위한 가이드라인 제정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이날 금감원 본원에서 각 금융협회와 첫 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TF는 오는 6월까지 성능관리, 프로그램 통제, 비상대책 등 3개 과제를 검토하고, 각 협회는 금융회사 의견을 수렴해
/ 시각이나 촉각 센서 도움 없이 계단을 오르내리고 울퉁불퉁한 곳에서도 넘어지지 않고 움직이는 사족보행 로봇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명현 교수 연구팀은 잠에서 깬 사람이 깜깜한 상태에서 시각적인 도움 없이도 화장실을 갈 수 있는 것 같은 블라인드 보행(blind locomotion)을 가능케 하는 로봇 제어 기술 ‘드림워크’(DreamWaQ)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 챗GPT 등장 이후 인공지능(AI)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AI를 바르게 활용할 ‘리터러시’(문해력)를 키워야 한다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서울시교육청은 29일 학교 AI 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현장 교원의 의견을 수렴하는 ‘챗GPT 시대의 AI 리터러시’ 토론회를 이날과 31일 양일간 개최한다고 밝혔다. 토론회에서는 ‘서울형 AI 윤리교육 모델’을 상세히 소개하고 학교의
/ 서울디지털재단은 이달 28∼31일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리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스마트시티 전시인 ‘SCSE(Smart City Summit & Expo) 2023’에 서울관을 최초로 설치했다고 29일 밝혔다. 올해 SCSE 주제는 ‘스마트시티의 새로운 차원으로 이끄는 디지털 전환’이다. 47개국에서 1천700개 부스를 마련했다. 서울관은 서울시의 디지털 포용정책 등을 알리는 정책존, 서울의 혁신 서비스와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소개하는
/ “사람마다 속도나 원인이 다른 관절의 노화를 어떻게 하면 제어할 수 있을지 고민이 많았지요.” 휴대전화 센싱(sensing) 기술로 관절의 노화 인자를 찾아내 치료하는 연구에 성공한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진은정 교수는 28일 유전자 전사체(유전체에서 전사되는 RNA 총체)를 먼저 설명했다. 사람마다 얼굴이 다르듯 유전자의 발현 양상이 천차만별인데, 이를 분석·통제하는 게 생명과학 연구의 기본이다. 유전자의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올해 들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3종을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대상으로 지정했다고 27일 밝혔다. 지정된 제품은 딥노이드의 뇌동맥류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코어라인소프트의 뇌출혈 뇌영상검출·진단보조소프트웨어, 메디컬에이아이의 심부전·심전도분석소프트웨어다. 혁신의료기기 통합심사·평가 제도는 식약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순차적으로 진행하던 평가를 통합적으로 진행해, 의료기기가 허가와 동시에 신속하게 의료 현장에 진입하게 하는 제도다. 딥노이드 제품은 뇌혈관 MRA(자기공명혈관조영술) 영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