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타임즈 로고

환경·에너지
연합뉴스
2024-12-03

"150만년 전 호모 에렉투스-파란트로푸스 한 지역에 살았다" 국제연구팀 "케냐 호숫가에서 두 호미닌 발자국 함께 찍힌 화석 발견"

  • 콘텐츠 폰트 사이즈 조절

    글자크기 설정

  • 프린트출력하기

아프리카 케냐의 투르카나 호수 인근에서 150만년 전 종이 다른 호미닌(사람족)인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와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Paranthropus boisei)가 같은 시기 같은 지역에 살았음을 보여주는 발자국 화석이 발견됐다. 연구팀은 이는 다른 종의 호미닌이 같은 때 고대 호숫가를 걸어갔다는 것을 보여주는 첫 사례라며 이 발견이 인류의 진화와 종 사이의 협력과 경쟁 등에 대해 더 많은 통찰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원시인류 파란트로푸스와 호모 에렉투스 발자국이 한 곳에". 케냐 투르카나 호수 인근에서 발견된 150만년 전 원시인류 발자국 화석을 3D 컴퓨터 모델로 재현한 결과,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Paranthropus boisei)의 발자국과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의 발자국이 수직으로 엇갈리게 찍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vin Hatala/Chatham University 제공

"원시인류 파란트로푸스와 호모 에렉투스 발자국이 한 곳에". 케냐 투르카나 호수 인근에서 발견된 150만년 전 원시인류 발자국 화석을 3D 컴퓨터 모델로 재현한 결과,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Paranthropus boisei)의 발자국과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의 발자국이 수직으로 엇갈리게 찍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vin Hatala/Chatham University 제공

미국 피츠버그 채텀대학 케빈 하탈라 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29일 과학 저널 사이언스(Science)에서 투르카나 호수 근처에서 뒤엉킨 형태로 발견된 원시인류의 발자국을 분석한 결과 주인공이 종이 다른 호미닌인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와 호모 에렉투스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케냐 쿠비포라 지역의 투르카나 호수 근처에서 새 발자국 등과 뒤엉켜 발견된 원시인류의 발자국을 최신 기법을 사용해 3D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발의 해부학적 구조와 운동 패턴 등을 분석했다.

새 발자국과 두 호미닌 종의 발자국이 섞여 있는 화석(A)과 이 화석의 3D 모델(B) ⓒScience, Kevin G. Hatala et al. 제공

새 발자국과 두 호미닌 종의 발자국이 섞여 있는 화석(A)과 이 화석의 3D 모델(B) ⓒScience, Kevin G. Hatala et al. 제공

하탈라 교수는 "발자국 화석을 분석하면 수백만년 전 원시인류가 어떻게 돌아다녔고, 서로 또는 다른 동물과 어떻게 상호 작용했는지 알 수 있다"며 "이는 뼈나 석기 등으로부터는 얻을 수 없는 정보"라고 말했다.

같은 장소를 교차해 걸어간 원시인류 발자국의 형태와 보행 패턴 등을 분석한 결과 발자국 주인공은 서로 다른 종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탈라 교수는 걸음걸이와 자세에 대한 정보를 분석한 결과 발자국 주인공은 호모 에렉투스와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로 추정된다며 이것은 두 호미닌의 발자국이 같은 곳에서 확인된 최초의 증거라고 말했다.

원시인류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위)와 호모 에렉투스 발자국 화석. 케냐 투르카나 호수 인근에서 발견된 150만년 전 원시인류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Paranthropus boisei.위)와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의 발자국 화석.ⓒKevin Hatala/Chatham University 제공

원시인류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위)와 호모 에렉투스 발자국 화석. 케냐 투르카나 호수 인근에서 발견된 150만년 전 원시인류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Paranthropus boisei.위)와 호모 에렉투스(Homo erectus)의 발자국 화석.ⓒKevin Hatala/Chatham University 제공

공동 연구자인 럿거스대 크레이그 페이벨 교수는 발자국이 만들어진 것은 150만 년 전이며, 발자국 표면 퇴적 상태를 분석한 결과 두 호미닌은 불과 몇시간 차이를 두고 부드러운 퇴적층을 밟고 지나간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발견은 호모 에렉투스와 파란트로푸스 보이세이가 아프리카 같은 지역에서 포식자를 피하고 식량을 확보하는 어려움을 극복하면서 동시대에 살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확실한 증거라고 말했다. 이어 이 연구는 두 호미닌의 생활 근거지가 겹치고 호수 주변이 두 종에게 모두 서식지로 중요했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두 종 사이에 다양한 수준의 공존과 경쟁, 생태 지위 분할 등 상호작용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출처 :Science, Kevin G. Hatala et al., 'Footprint evidence for locomotor diversity and shared habitats among early Pleistocene hominins', www.science.org/doi/10.1126/science.ado5275

연합뉴스
저작권자 2024-12-03 ⓒ ScienceTimes

관련기사

목록으로
연재 보러가기 사이언스 타임즈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주제의 이야기들을 확인해보세요!

인기 뉴스 TOP 10

속보 뉴스

ADD : 06130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길 22, 4~5층(역삼동, 과학기술회관 2관) 한국과학창의재단
TEL : (02)555 - 0701 / 시스템 문의 : (02) 6671 - 9304 / FAX : (02)555 - 2355
정기간행물 등록번호 : 서울아00340 / 등록일 : 2007년 3월 26일 / 발행인 : 정우성 / 편집인 : 윤승재 / 청소년보호책임자 : 윤승재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운영하는 모든 사이트의 콘텐츠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사이언스타임즈는 과학기술진흥기금 및 복권기금의 지원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