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리터리 과학상식] 미숙한 승조원과 부실한 건조가 합쳐져 발생한 인재
스레셔 함 ⒸUS NAVY
미 해군의 원자력 잠수함 <스레셔(Thresher, 함번 SSN-593)>은 미국의 스레셔급(현 퍼밋 급) 원자력 잠수함의 네임 쉽(1번함)이다. 1960년에 진수, 1961년에 취역했다. 이 함은 취역한지 얼마 되지 않은 시점이던 1963년 4월 10일의 비극적인 침몰 사고로 유명해졌다. 당일 메사추세츠 주 보스턴 동쪽 350km 거리 앞바다에서 심해 잠수 실험을 하다가 침몰, 함장 존 웨슬리 하비 소령 이하 승조원 129명 전원이 순직했다. 이는 사상 최초의 원자력 잠수함 침몰 사고였다. 또한 프랑스 잠수함 <쉬르쿠프> 함 침몰(130명 사망)에 이어 역사상 두 번째로 많은 사망자가 나온 잠수함 사고였다.
그러나 사건을 조사한 미 해군의 자료 대부분은 이제까지 일반에 공개되지 않았다. 그 때문에 이 사건의 진짜 원인이 따로 있을 거라는 주장이 난무해 왔다. 그중에는 심지어 소련이 초능력자를 동원해 스레셔 함을 격침시켰다는 황당한 주장도 있었다. 잠수함 함장 출신의 미국의 군사 사학자 제임스 브라이언트는 스레셔 함 침몰의 진실을 밝히고자 미 해군을 상대로 정보 공개 청구 소송을 벌였다. 이 소송에서 작년 미연방 법원은 브라이언트의 손을 들어 주었고, 미 해군에 정보 공개를 명령했다.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역시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소련 해군의 신형 원자력 잠수함에 맞서 빨리 대책을 내놓아야 했던 당시 미 해군의 긴박한 사정이었다. 잠수함 부대를 급속히 늘리려다 보니 훈련도가 떨어지는 승조원도 데려가 써야 했고, 건조도 어느 정도 날림이 될 수밖에 없었다. 게다가 당시 미 해군 잠수함 승조원들은 배의 성능을 과신하고 있었다. 원자력 잠수함의 동력이 꺼질 일은 없다고 믿었던 것이다. 스레셔 함의 승조원들 역시 예외는 아니었다.
또한 스레셔 함의 침몰 사건을 조사한 미 해군 예심 법원에 따르면, 잠수함 내의 해수 파이프 연결 부분을 용접이 아닌 은땜을 사용한 것이 사고의 직접적 원인으로 추정되었다. 은땜은 용접보다 내구성이 낮다. 그 때문에 심해 잠항 중 이것이 수압을 못 이기고 터져 나가면서 잠수함 후방선체에 침수가 일어났다. 이로 인해 기관실이 침수되는 것은 물론 함의 전기 회로가 단락되어, 원자로가 긴급 정지됐다. 그러나 숙련도가 떨어지던 당시 스레셔 함의 승조원들은 발 빠르게 침수를 막을 수 없었다. 게다가 당시 원자로의 표준 재시동 절차는 워낙 길고 복잡해 긴급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없었다. 스레셔 함에 경험이 풍부한 원자로 제어 정담당관이 가내 사정으로 함에 탑승하지 않았고, 경험이 적은 부담당관이 근무를 서고 있었던 것도 문제를 더 키웠다. 긴급 상황에 맞지 않는 표준 재시동 절차를 시도하다가 황금 시간을 놓쳤다.
스레셔 함은 긴급 부상을 시도했다. 그러나 여기서도 문제가 발생했다. 긴급 부상하려면 밸러스트 탱크 내의 물을 빨리 내버려야 한다. 이 과정은 밸러스트 탱크 내에 고압 압축 공기를 주입해서 이루어진다. 그런데 그 공기가 지나다니는 파이프 안의 습기가 너무 높았던 것이다. 압축 공기가 분사되면서 파이프 온도를 급속히 낮추자, 습기는 얼음으로 변해서 파이프를 틀어막았다. 이 때문에 압축 공기는 조금 분사되다가 말았다. 때문에 스레셔 함은 긴급 부상에도 실패, 결국 침몰할 수밖에 없었다.
스레셔 함 침몰 이후 5년이 지난 1968년, 미 해군은 스킵잭급 공격 원자력 잠수함 <스코피온> 함을 또 침몰 사고로 잃고 말았다. 이후 미 해군의 잠수함 건조와 승조원 훈련에 대대적인 손질이 가해졌고, 잠수함 안전국 SUBSAFE도 창설되었다. 이러한 자구 노력 덕택에 <스코피온> 함 이후 또 침몰한 미 해군 잠수함은 아직 없다. 또한 이번의 정보 공개로 인해, 그 동안 이 사건에 대해 떠돌던 수많은 음모론이 설 자리를 잃게 되었다는 점도 고무적이다.
(16256)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성인 암 생존자는 심부전, 뇌졸중 등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존스 홉킨스대학 의대 심장-종양 실장 로베르타 플로리도 교수 연구팀이 1987년에 시작된 '지역사회 동맥경화 위험 연구'(Atherosclerosis Risk in Communities Study) 참가자 1만2천414명(평균연령 54세)의 2020년까지의 기록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미국 과학진흥 협회(AAAS)의 과학 뉴스 사이트 유레크얼러트(EurekAlert)가 29일 보도했다.
오늘은 국제 소행성의 날입니다. 소행성 충돌 위험을 알리고 이에 대한 대응 노력을 국제사회에 요청하기 위해 2016년 유엔(UN)이 공식 지정했죠. 6월 30일은 1908년 러시아 시베리아 퉁구스카 지역 상공에서 지름 50m급 소행성이 폭발해 2천㎢의 숲을 황폐화한 날이기도 합니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Ⅱ)에 실려 궤도에 올라간 성능검증위성에서 조선대 학생팀이 만든 큐브위성(초소형 위성)이 성공적으로 사출(분리)돼 일부 상태 정보를 지상으로 보냈다. 다만 자세 안정화에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은 조선대팀 큐브위성 'STEP Cube Lab-Ⅱ'가 29일 오후 4시 50분께 성공적으로 분리된 뒤 30일 오전 3시 48분께 지상국이 이 큐브위성의 일부 상태정보(비콘신호)를 수신했다고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나노 입자를 제어해 폭은 좁고 키가 큰 섬모 구조를 제작하는 자가 조립 방식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UNIST에 따르면 기계학과 정훈의 교수 연구팀은 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 자성 입자를 위로 쌓아 올리는 방식으로 섬모 구조를 가늘고 길게 합성해 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섬모는 액체 속에서도 움직임이 자유롭고, 작은 외부 힘에도 민감하게 반응해 다양한 기능을 만들어낼 수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동쪽으로 약 100㎞ 떨어진 '간스바이' 해역은 바다의 최상위 포식자 중 하나로 꼽히는 백상아리가 자주 출몰하는 천혜의 집결지로 알려져 있다. 백상아리가 몰려들다 보니 바닷속 철창 안이나 배 위에서 이들을 가까이 보고 체험하려는 관광객이 자주 찾는 유명 관광지이기도 하다. 하지만 지난 2017년부터 범고래 한 쌍이 나타나 백상아리를 사냥하기 시작한 뒤 다른 백상아리들이 이들에 대한 두려움으로 간스바이의 특정 해역에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붉은 행성' 화성에서 고대 생명체 흔적을 확인하기 위해 로버가 활동 중이지만 이를 찾아내는 것이 예상보다 훨씬 더 어려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로버들은 약 5㎝를 드릴로 뚫고 토양과 암석 시료를 채취하는데, 화성 표면에 내리쬐는 우주선(線)으로 고대 생명체 흔적이 있었다고 해도 모두 분해돼 적어도 2m 이상 파고들어야 하는 것으로 제시됐기 때문이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고더드 우주비행센터의 알렉산더 파블로프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화성 환경 조건을 만들어 고대 생명체의 증거가 될 수 있는 아미노산의 분해를 실험한 결과를 과학저널 '우주생물학'(Astrobiology)에 발표했다.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억제 목표인 산업화 이전 대비 2℃ 이상 오르면 절정을 찍고 다시 떨어진다고 해도 이후에도 수십년에 걸쳐 생물다양성을 위협할 것이라는 비관적 전망이 나왔다. 지구촌이 합의한 기온 상승 억제 목표를 최종적으로 달성해도 중간 과정에서 이를 넘어서면 파괴적 영향이 이어지는 만큼 일시적으로라도 이를 넘어서지 않도록 시급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