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준 가톨릭대 의과대학 연구계약교수
2022년 노벨물리학상은 양자역학의 얽힘(entanglement) 현상을 실험으로 입증한 알랭 아스페(Alain Aspect), 존 프랜시스 클라우저(John Francis Clauser), 안톤 차일링거(Anton Zeilinger)에게 수여되었다. 양자 얽힘이란 양자역학 세계에서 두 입자가 분리되어 있더라도 마차 하나의 상태처럼 존재해서, 하나가 특정 상태가 되면 다른 하나도 동일한 상태가 된다는 의미다. 이 현상은 20세기 초반 양자역학이 정립되던 시기부터 논란이 되었던 주제다. 지금은 이 분야를 양자역학의 토대(foundations of quantum mechanics)라고 부른다.
토대의 기원을 찾아 거슬러 올라가면 양자역학의 영웅들을 만나게 된다. 보어, 하이젠베르크, 아인슈타인, 슈뢰딩거. 자연의 실재에 근거를 두어야 한다고 본 아인슈타인과 슈뢰딩거, 과거의 결정론을 버리고 확률을 받아들여야 한다는 보어와 하이젠베르크의 논쟁은 교양과학과 문학에서도 자주 다루어지는 이야기이다. 최근 필자도 이 주제를 다룬 책을 인상적으로 읽었다. (벵하민 라바투트,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길 멈출 때》, 노승영 옮김, 문학동네, 2022.) 올해 9월에는 극단 <외계공작소>에 올린 연극 <양자전쟁: 무엇이 진짜인가?>를 관람했다. 또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핵무기 개발을 둘러싼 보어와 하이젠베르크의 갈등을 다룬 연극 <코펜하겐>도 종종 재공연된다. 이처럼 연극에서도 양자역학 영웅들의 이야기는 자주 호출된다. 양자역학의 토대는 왜 사람들의 흥미를 끌까?
대체로 물리학 연구실에서 양자역학의 토대는 인기 있는 주제가 아니다. 이 주제로는 연구비를 받기도 어렵고 논문 출판도 쉽지 않다. 필자가 연구하고 있는 생물물리학도 광학과 분자생물학이 이론적 · 실험적 근거가 되지, 슈뢰딩거의 파동방정식이나 하이젠베르크의 행렬역학을 계산하지는 않는다. 물리학과에서 개설된 양자역학 수업 시간에도 계산만 할 뿐, 토대에 관한 내용은 잠깐 언급만 하고 넘어간다.
필자도 수업이 끝난 다음에야 친구들과 이 주제를 얘기할 수 있었다. 그런데 양자역학을 쉽게 풀어쓴 교양과학책과 예술 분야로 오면 분위기가 다르다. 여러 작가와 예술가들이 양자역학의 토대에 관심을 갖고 이것을 작품으로 표현한다. 연구실의 안과 밖에서 토대는 왜 이렇게 다른 관심을 받을까?
필자는 이 질문에 대한 가설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Marvel Cinematic Universe)를 제안한다. 할리우드 영화제작사 마블 스튜디오에서 만든 이 시리즈 영화에는 슈퍼히어로들이 떼를 지어 나와 악을 물리치고 세상을 구한다. 슈퍼히어로마다 성공과 아픔을 간직한 이야기가 있다. 이 이야기들이 정합적으로 들어맞으면서 시리즈들이 이어진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는 새롭게 구축된 세계가 있으며(그래서 ‘유니버스’이다), 관람객은 그 세계관 속으로 들어가 슈퍼히어로에 공감하게 된다.
양자역학의 토대를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 대입해서 보면, 문학과 예술에서 이 주제에 관심을 갖는 이유를 추정할 수 있다. 우선 토대 논쟁에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 반드시 필요한 세계관이 두 개나 있다. 결정론적 ‘세계관’과 확률론적 ‘세계관’. 두 세계관은 토머스 쿤의 용어처럼 공약 불가능(incommensurability)처럼 보인다. 이 세계관들은 중간에서 타협하기 어려워, 승자와 패자가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현재 양자역학 수업에서는 슈뢰딩거의 파동방정식과 하이젠베르크의 행렬역학을 모두 다룬다.) 토대 이야기에는 양쪽을 대변하는 슈퍼히어로들(보어, 하이젠베르크 대 아인슈타인, 슈뢰딩거)이 있다. 특히 1927년 10월 개최된 솔베이 회의는 토대 논쟁의 클라이맥스였다. 여기가 모든 히어로들이 한꺼번에 등장해서 장엄하게 이야기를 끝내는 장면이다.
물리학에서 중요한 연구 대상인 빛이 파동인지 입자인지를 측정하는 것, 슈뢰딩거의 고양이처럼 양자역학 세계에서 측정이 어떤 의미인지를 이해하는 것은 여전히 알쏭달쏭하다. 하지만 양자역학의 토대를 놓고 논쟁했던 물리 영웅들의 이야기는 그것만으로도 멋진 장면이 그려지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로 볼 수 있다.
박상준 카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연구계약교수
* 외부 필진의 기고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3674)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은 폐암 세포의 성질을 변환시켜 전이를 막고 약물 저항성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폐암 세포를 전이시킬 능력이 없는 상피세포가 전이 가능한 중간엽세포로 변하는 '천이 과정'(EMT)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암세포 상태를 수학모델로 만들었다.
중성자별끼리 충돌해 초강력 폭발을 일으키며 금을 생성하는 '킬로노바'(Kilonova)의 모든 조건을 갖추고 이를 준비 중인 쌍성계가 처음으로 관측됐다. 이런 쌍성계는 1천억개가 넘는 우리 은하 별 중에서도 열 손가락 안에 꼽을 정도로 극히 드문 것으로 제시됐다.
2016년 알파고가 바둑을 둘 때 소모한 전력은 가정집 100가구의 하루 전력 소모량과 맞먹고, 2021년 테슬라가 발표한 자율주행용 인공지능(AI) 학습 서버 한 대의 전력소모량이 알파고의 10배를 넘는다. 에너지 위기 시대에 초저전력·고성능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메모리 소자인 스핀트로닉스(spintronics·전자의 회전 방향을 제어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는 소자) 기술 혁명이 필요한 이유다.
멸종한 인류의 사촌인 네안데르탈인이 아시아 코끼리의 2∼3배에 달하는 '일직선상아 코끼리'를 사냥해 먹을 만큼 큰 집단을 유지하고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네안데르탈인은 기껏해야 20명이 넘지 않은 작은 집단을 이뤄 생활한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최대 13t에 달하는 고대 코끼리를 잡고 그 고기를 모두 소모한 걸로 볼 때 훨씬 더 큰 집단 생활을 한 거로 추정된다는 것이다.
드론은 저렴한 가격과 기동성으로 소방·정찰·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운용 주체·의도를 숨길 수 있어 군뿐만 아니라 범죄 집단, 테러리스트들도 쓰는 도구가 되고 있다. 최근 각국 정부는 공항·국가 중요 시설을 대상으로 한 테러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안티드론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전쟁이 안티드론 기술 평가장이 되고 있다.
진화적으로 인간과 가장 가까운 동물 중 하나인 침팬지도 10대 때는 사춘기 청소년처럼 충동적이고 위험한 행동을 보이지만 인내심은 오히려 10대 청소년보다 강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CNN 방송은 30일 미시간대 알렉산드라 로사티 교수팀이 콩고공화국 보호구역에서 태어난 야생 침팬지 40마리를 대상으로 충동성과 위험 감수 경향, 인내심 등을 측정하는 실험을 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보도했다.
지진이 발생하면 냉장고 디스플레이에 경고가 뜨고 가스 밸브가 자동으로 잠긴다면 훨씬 안전할 수 있다. 기상청은 '지능형 사물인터넷'(사물지능융합기술·AIoT) 기술을 활용한 지진정보 전달체계를 마련하는 '차세대 지진재난문자 서비스 연동방안 연구'를 올해 진행한다고 29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