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에는 아무렇지 않던 풍경이 어느 날 몹시 이상하게 느껴졌던 적이 있다. 주변을 둘러봐도 차가운 콘크리트 건물밖에 안 보이고, 도로는 자동차가 꽉 채우고 있다. 이 세상에는 사람만 사는 것 같다. 다른 생명은 다 어디에 있는 걸까?
자연을 희생시키는 것에 익숙해진 사람들은 더 큰 이익을 위해 작은 것쯤은 희생시켜도 된다는 생각을 편하게 한다. 이러한 생각은 부메랑처럼 다시 돌아와 모두에게 위협이 된다.
‘생명에게 배운다’ 시리즈는 지구라는 커다란 마을에서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수많은 생명이 있다는 걸 보여 주는 책이다. 살아서 숨 쉬는 생명 하나하나 나름대로 살아가는 방식이 있고, 누구도 그 삶을 함부로 훼손해서는 안 된다는 걸 이야기한다.
생명에게배운다-살아있다는것ⓒ낮은산
‘살아 있다는 것’은 ‘생명이란 뭘까?, 살아 있다는 건 뭐지?’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다. 중학교에서 생물을 가르치는 교사이자,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과학 관련 도서를 꾸준히 기획하고 쓰고 옮긴 윤소영 선생님은 ‘생겨난다, 발생한다, 햇빛 에너지다, 촉촉하다, 세포로 되어 있다, 적응한다, 싸운다’ 등 열두 가지 키워드로 생명의 특징을 추려서 소개하며, 살아 있다는 것은 “생명의 그물 속에서 서로 돕고 사는 것”이라고 정리했다. 생명에 관련한 과학 정보를 얻는 것을 넘어 ‘살아 있다는 것’의 경이와 다른 생명을 대하는 태도까지 돌아보게 한다.
생명에게배운다-알아간다는것ⓒ낮은산
‘알아 간다는 것’은 다른 생명에 대해 알아가는 법에 대한 이야기로, 극지연구소에서 펭귄을 연구하는 이원영 박사가 글을 썼고, 직접 찍은 사진을 실었다. 이원영 박사는 해마다 펭귄 서식지를 찾아가 야영을 하며 펭귄을 지켜본다. 펭귄 몸에 GPS를 부착하고 사흘 밤낮을 기다렸다가 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렇게 모은 데이터로 펭귄에 대해 조금씩 알아간다. 남극에서 찍어 온 펭귄의 생생한 사진을 보고, 펭귄이 살아가는 이야기를 읽으며 펭귄에 대해 조금씩 알게 될수록 어느새 펭귄은 더 가깝게 다가온다. 알면 알수록 더 궁금한 펭귄 이야기를 통해, 다른 생명을 알아가는 과정은 곧 나도 모르는 사이에 마음이 가까워지는 일이라는 걸 느낄 수 있다.
생명에게배운다-함께산다는것ⓒ낮은산
‘함께 산다는 것’은 다른 생명과 함께 사는 법을 모색해보는 이야기다. 야생동물 수의사로 여러 동물원과 야생동물 구조센터에서 오랫동안 동물을 치료해온 마승애 선생님이 우리가 미처 알지 못했던 동물의 실제 삶을 소개한다.
길에 버려지는 동물들, 좁은 실내 동물원에 갇혀 병든 동물들, 밀렵되는 야생동물 등 쉽게 바뀌지 않는 현실에 대해 알려 준다. 돈을 벌기 위해, 순간의 즐거움을 위해 무수히 많은 동물을 학대하고 착취하지만, 이런 일에 익숙해지다 보면 뭐가 문제인지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동물이 처한 현실을 들여다보면 마음이 불편해진다. 이 불편한 현실을 돌아보지 않는다면, 결국 사람도 제대로 살아갈 수 없음을 이야기한다.
계절이 바뀌면 차가운 콘크리트 건물 옆 나무에도 푸른 잎이 돋아난다. 아스팔트로 덮인 도로 틈에서도 민들레는 꽃을 피운다. 비둘기, 까치, 참새는 도시의 하늘을 날고, 고양이는 길가에서 낮잠을 자며, 강아지는 산책한다. 눈에 잘 띄지 않는 수많은 곤충과 작은 동물도 치열하게 살아가고 있다.
사람만 사는 것 같은 도시라도 관심을 갖고 살펴보면 다양한 생명이 함께 산다는 걸 알 수 있다. ‘생명에게 배운다’ 시리즈를 통해 우리가 배워야 할 건 ‘모든 생명은 연결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670)
로그인후 이용 가능합니다.
전당뇨(prediabetes)가 2형 당뇨병 발병으로 이어지는 나이가 빠를수록 알츠하이머 치매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남극 인근 호주 허드섬에 있는 '빅벤' 화산에서 소규모 용암류가 관측됐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가디언은 유럽우주국(ESA)의 코페르니쿠스 센티넬-2 위성이 지난 25일 촬영한 빅벤 화산 사진에서 소규모 용암이 흘러내리고 있는 것이 확인됐다고 전했다. 퀸즐랜드대학 화산학자인 테레사 유바드 박사는 빅벤 화산이 20세기 초부터 분화를 해왔다면서 이번 분출은 2012년 9월 용암 분출 이후 계속되고 있는 소규모 분출 가운데 하나라고 설명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생명과학과 박찬영 교수 연구팀이 암세포의 새로운 세포 사멸 조절 기작을 발견, 암 발생에 대한 새로운 단서를 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현재 발견되고 있는 수많은 외계행성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왜소항성 주변 외계행성 중 3분의 1가량이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액체 상태 물이 있는 영역에 자리 잡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구 온난화를 비롯한 기후 위기가 전 세계적으로 미군의 역량을 약화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30일(현지시간) 미국 NBC 방송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위치한 싱크탱크 랜드연구소는 지난 24일 발간한 보고서를 통해 미군이 장·단기적 기후변화 과제들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랜드연구소는 기후변화가 미국의 병력 훈련, 정비 및 시설 정비, 국내외에서의 효과적 작전 수행 역량을 위태롭게 할 수 있다며 폭염, 홍수, 산불, 가뭄, 토지 황폐화, 열대 폭풍우 등을 기후위험으로 꼽았다.
/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돼 온라인 수업이 없어졌는데도 초·중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은 오히려 심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고생 대상 청소년 사이버 도박 조사에서는 3.3%가 중독 위험군인 것으로 확인됐다. 여성가족부는 29일 전국 학령전환기(초4·중1·고1) 청소년 약 128만명을 대상으로 지난 4월 3일∼28일 실시한 2023년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이용습관 진단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초등학생 39만9천129명, 중학생 43만9천655명, 고등학생 43만8천5명이
'슈퍼 박테리아'(항생제에 내성을 지녀 쉽게 제거되지 않는 세균)를 잡을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하는 데 인공지능(AI) 기술이 사용돼 주목된다. 25일(현지시간) 영국 BBC와 가디언 등에 따르면 캐나다 맥마스터대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연구진은 최근 과학저널 네이처 케미컬 바이올로지(Nature Chemical Biology)에 논문을 게재해 슈퍼 박테리아를 제거할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연구대상이 된 슈퍼 박테리아는 '아시네토박터 바우마니'(Acinetobacter baumannii)로, 세계보건기구(WHO)가 '치명적인(critical) 위협'으로 규정한 박테리아다.